KBS 뉴스 7

![]() ![]() KBS NEWS 7 | |
장르 | 뉴스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KBS 1TV, KBS 월드 |
방송 기간 | 1965년 4월 5일 ~ 1965년 7월 9일 1967년 10월 30일 ~ 1968년 10월 11일 1970년 4월 13일 ~ 1981년 1월 30일 1981년 9월 7일 ~ 1985년 11월 1일 1986년 11월 3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
방송 분량 | 40분 |
추가 채널 | U-KBS STAR, KBS 24시 뉴스 |
기획 | 한국방송공사 |
제작자 | 한국방송공사 |
진행자 | 이규봉, 김솔희 (아나운서) 오수진 (기상캐스터) |
여는 곡 | KBS 뉴스 7 (2019년 1월 1일 ~ 현재) OP 음악 |
닫는 곡 | KBS 뉴스 7 (2019년 1월 1일 ~ 현재) ED 없음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폐쇄자막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생방송 |
관련 프로그램 | KBS 8 뉴스타임 (KBS 2TV), KBS 뉴스 9, KBS 뉴스 (주말) KBS 뉴스특보, 코로나19 통합뉴스룸 (불시 편성)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프로그램 |
외부 링크 | KBS 뉴스 7 홈페이지 |
비고: |
《KBS 뉴스 7》(KBS NEWS 7)은 KBS 1TV에서 매주 평일 저녁 7시에 방송중인 한국방송공사의 저녁종합뉴스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 / 개요[편집]
- KBS 정통 저녁 종합 뉴스 프로그램 KBS 뉴스 7! '1시간 빠른 정통 저녁 종합 뉴스'로 타사의 8시 메인 뉴스보다 1시간 빨리 그 날 일어난 다양한 소식을 전달합니다. 기존 35분에서 40분으로 늘어나 알찬 소식을 빠르게 전하겠습니다.
- 신속과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저녁종합뉴스 프로그램이다.
- KBS 7시 뉴스로 읽는다.
- 유일하게 KBS 1TV 편성표 및 검색 결과의 이미지의 2014년 12월 이전에 이후 2015년 1월부터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전의 기준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KBS 뉴스 7의 대본에 나와 있지만 동영상에서는 자막이 처리되어 대본 멘트 내용의 차이가 있다.
- 1999년 하반기부터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의 실시하여 현재 제공하고 있다.
- 속보성이 강한 날의 뉴스 또는 특집 뉴스로 방송되는 경우에는 한국 수어(수화) 통역을 제공한다.
방송 시간[편집]
- 명절 연휴에는 일부 결방하거나 방송되지 않으며, 15분 ~ 25분 정도 방송된며, 특집으로 편성될 경우 편성 변경되며, [1] 긴급 뉴스와 특집 뉴스가 편성되면 특집으로 KBS 뉴스특보로 방송된다.
- 1995년 9월 11일 ~ 2000년 4월 29일 까지 토요일에 방송되었다. (KBS 뉴스 네트워크)
- 2001년 11월 5일 ~ 2002년 10월 25일 까지 KBS 2TV에서만 KBS 뉴스7(2TV) 로 편성되었다.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BS 1TV | 1965년 4월 5일 ~ 1965년 7월 9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5분 (5분) |
1967년 10월 30일 ~ 1968년 10월 11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15분 (15분) | |
1986년 11월 3일 ~ 1987년 2월 27일 | ||
1970년 4월 13일 ~ 1970년 12월 18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 |
1972년 4월 3일 ~ 1972년 10월 20일 | ||
1977년 4월 4일 ~ 1980년 4월 4일 | ||
1972년 10월 23일 ~ 1973년 10월 7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주말 저녁 7시 ~ 저녁 7시 10분 (10분) | |
1973년 10월 8일 ~ 1973년 11월 30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8시 5분 (25분) 토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25분 (25분) 일요일 오후 7시 ~ 오후 7시 10분 (10분) | |
1973년 12월 3일 ~ 1974년 4월 21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7시 55분 (15분) 주말 저녁 7시 ~ 저녁 7시 15분 (15분) | |
1974년 4월 22일 ~ 1974년 6월 15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토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15분 (15분) | |
1974년 6월 17일 ~ 1974년 9월 14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7시 55분 (15분) 토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15분 (15분) | |
1974년 9월 16일 ~ 1975년 4월 20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주말 저녁 7시 ~ 저녁 7시 20분 (20분) | |
1975년 4월 21일 ~ 1976년 1월 11일 | 매주 평일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토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20분 (20분) 일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15분 (15분) | |
1976년 1월 12일 ~ 1976년 2월 15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토요일 저녁 6시 ~ 저녁 6시 30분 (30분) 일요일 저녁 6시 ~ 저녁 6시 20분 (20분) | |
1976년 2월 16일 ~ 1976년 4월 11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주말 저녁 6시 ~ 저녁 6시 20분 (20분) | |
1976년 4월 12일 ~ 1976년 7월 4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토요일 저녁 6시 ~ 저녁 6시 20분 (20분) 일요일 저녁 6시 ~ 저녁 6시 15분 (15분) | |
1976년 7월 5일 ~ 1976년 10월 31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주말 저녁 6시 ~ 저녁 6시 15분 (15분) | |
1976년 11월 1일 ~ 1977년 4월 2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20분) 토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20분 (20분) | |
1980년 4월 7일 ~ 1980년 7월 25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5분 (25분) | |
1980년 7월 28일 ~ 1980년 9월 5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30분 ~ 저녁 6시 55분 (25분) | |
1980년 9월 8일 ~ 1981년 1월 30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30분 ~ 저녁 7시 (30분) | |
1981년 9월 7일 ~ 1982년 9월 17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오후 7시 20분 (20분) | |
1988년 3월 7일 ~ 1988년 4월 29일 | ||
1982년 9월 20일 ~ 1984년 1월 5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30분 ~ 저녁 6시 40분 (10분) | |
1984년 1월 6일 ~ 1984년 3월 9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15분 ~ 저녁 6시 25분 (10분) | |
1984년 3월 12일 ~ 1985년 3월 8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 저녁 6시 10분 (10분) | |
1985년 3월 11일 ~ 1985년 11월 1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10분 (10분) | |
1987년 3월 2일 ~ 1987년 10월 9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25분 (25분) | |
1989년 3월 6일 ~ 1992년 4월 3일 | ||
1987년 10월 12일 ~ 1988년 3월 4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30분 (30분) | |
2002년 10월 28일 ~ 2016년 4월 22일 | ||
1988년 5월 2일 ~ 1989년 3월 2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40분) | |
1992년 4월 6일 ~ 1993년 4월 30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55분 ~ 저녁 7시 20분 (25분) | |
1993년 5월 3일 ~ 1993년 10월 14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25분 (25분) | |
1993년 10월 18일 ~ 1994년 2월 18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40분) 금요일 저녁 6시 15분 ~ 저녁 7시 30분 (75분) | |
1994년 2월 21일 ~ 1994년 3월 25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40분) 금요일 저녁 6시 15분 ~ 저녁 7시 35분 (80분) | |
1994년 3월 28일 ~ 1994년 10월 7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7시 ~ 7시 40분 (40분) 금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25분 (1시간 10분) | |
1994년 10월 10일 ~ 1995년 9월 8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35분 (35분) | |
1998년 10월 12일 ~ 1999년 10월 15일 | ||
2000년 5월 1일 ~ 2001년 11월 2일 | ||
2016년 4월 25일 ~ 2018년 1월 23일 | ||
2018년 2월 5일 ~ 2018년 12월 31일 | ||
1995년 9월 11일 ~ 1998년 10월 10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35분 (35분) 토요일 저녁 7시 ~ 저녁 7시 30분 (30분) | |
1999년 10월 18일 ~ 2000년 4월 29일 | ||
2018년 1월 24일 ~ 2018년 2월 2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15분 (15분) | |
2019년 1월 1일 ~ 현재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40분) | |
KBS 2TV | 2001년 11월 5일 ~ 2002년 10월 25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저녁 7시 45분 (45분) |
코너[편집]
코너명 | 진행자 |
---|---|
헤드라인 | 이규봉 아나운서, 김솔희 아나운서 |
날씨 | 오수진 기상캐스터 |
앵커[편집]
- 현재 앵커의 남성은 2020년 6월 29일, 여성은 2019년 1월 1일 이후와 이 중 남성 앵커는 재진행에 한해서만 진행한다.
- 2001년 11월 2일까지 남성 앵커는 아나운서가 진행하였으나 2001년 11월 5일부터 남성 앵커는 보도국 기자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가 2002년 10월 28일부터 남성 앵커는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환원되었으며, 2014년 3월 3일부터 남성 앵커는 보도국 기자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환원되었다가 2018년 2월 12일부터 남성 앵커는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환원되었다.
- 참고로 역대 앵커의 여자 아나운서 중 이씨 성을 가진 아나운서는 3명(이병혜 前 아나운서, 이한숙 前 아나운서, 이규원 아나운서)이 있었으나 <KBS 뉴스 7>에서만 이씨를 가진 여자 아나운서는 없다. (임시 앵커 포함)
현재 앵커[편집]
※ 명절 연휴에 KBS 뉴스로 10분 정도 방송될 경우 이 뉴스의 두 앵커 중 1명이 단독으로 진행하며, 긴급 뉴스나 특집 뉴스로 편성되어 KBS 뉴스특보 또는 특집으로 방송될 경우 이 뉴스의 두 앵커가 함께 진행하거나 이 뉴스의 두 앵커 중 1명이 단독으로 진행한다.
역대 앵커[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타이틀 변천사[편집]
현재 타이틀은 KBS 1TV의 2011년 5월 30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기수 | 타이틀 | 방송 기간 |
---|---|---|
1기 | KBS 뉴스 | 1965년 4월 5일 ~ 1965년 7월 9일 1967년 10월 30일 ~ 1968년 10월 11일 |
2기 | KBS 뉴스와 일기해설 | 1970년 4월 13일 ~ 1971년 10월 8일 |
3기 | KBS 오늘의 뉴스 | 1971년 10월 11일 ~ 1977년 4월 2일 |
4기 | KBS 뉴스 | 1977년 4월 4일 ~ 1981년 1월 30일 |
5기 | KBS 7시 뉴스 | 1981년 9월 7일 ~ 1982년 9월 17일 |
6기 | KBS 뉴스 | 1982년 9월 20일 ~ 1984년 10월 26일 |
7기 | KBS 뉴스센터 | 1984년 10월 29일 ~ 1985년 11월 1일 |
8기 | KBS 7시 뉴스 | 1986년 11월 3일 ~ 1987년 2월 27일 |
9기 | KBS 전국 7시 뉴스 | 1987년 3월 2일 ~ 1988년 4월 29일 |
10기 | 와이드 정보 700 | 1988년 5월 2일 ~ 1989년 3월 3일 |
11기 | KBS 저녁뉴스 | 1989년 3월 6일 ~ 1993년 10월 15일 |
12기 | KBS 뉴스네트워크 | 1993년 10월 18일 ~ 2001년 11월 2일 |
13기 | KBS 뉴스 7 | 2001년 11월 5일 ~ 2002년 10월 25일 |
14기 | KBS 뉴스네트워크 | 2002년 10월 28일 ~ 2011년 5월 27일 |
15기 | KBS 뉴스 7 | 2011년 5월 30일 ~ 현재 |
지역권뉴스[편집]
경인방송센터, 울산방송국을 제외한 9개 방송총국은 월요일 ~ 목요일에 40분 동안 지역권 종합뉴스를 방송하며(금요일에는 본사 뉴스 수중계 중간에 자체뉴스 방송), 경인방송센터, 울산방송국은 본사 뉴스 수중계 중간에 지역권뉴스를 방송한다.
네이버,카카오,유튜브,DMB에서는 지역뉴스가 방송되지않고 수도권 뉴스로만 나온다.
방송국 | 프로그램 타이틀 | 진행자 |
---|---|---|
KBS경인방송센터 | KBS 뉴스 7 경기·인천 | 강승희 |
KBS부산방송총국 | KBS 뉴스 7 부산 | 차재환 |
KBS울산방송국 | KBS 뉴스 7 울산 | 김다은 |
KBS창원방송총국 | KBS 뉴스 7 경남 | 이아롬, 김진웅 (월요일 ~ 목요일) 김진웅 (금요일) |
KBS대구방송총국 | KBS 뉴스 7 대구·경북 | 진유현, 고선영 (월요일 ~ 목요일) 고선영 (금요일) |
KBS대전방송총국 | KBS 뉴스 7 대전·세종·충남 | 박병준, 손지화 (월요일 ~ 목요일) 손지화 (금요일) |
KBS광주방송총국 | KBS 뉴스 7 광주·전남 | 류성호, 유도희 (월요일 ~ 목요일) 유도희 (금요일) |
KBS전주방송총국 | KBS 뉴스 7 전북 | 이화연, 이광엽 (월요일 ~ 목요일) 이광엽 (금요일) |
KBS청주방송총국 | KBS 뉴스 7 충북 | 양문석, 박종화 (월요일 ~ 목요일) 박종화 (금요일) |
KBS춘천방송총국 | KBS 뉴스 7 강원 | 윤석황, 김수연 (월요일 ~ 목요일) 김수연 (금요일) |
KBS제주방송총국 | KBS 뉴스 7 제주 | 나종훈, 박아름 (월요일 ~ 목요일) 박아름 (금요일) |
동시간대 경쟁 뉴스 프로그램[편집]
- 채널A 뉴스 TOP 10 (채널A)
- MBN 뉴스와이드 (MBN)
각주 및 임시 앵커[편집]
- ↑ 단, 2011년 2월 2일부터 2013년 9월 20일까지, 2015년 2월 18일부터 2015년 2월 20일까지, 2016년 2월 8일, 2016년 2월 10일, 2018년 9월 18일부터 2020년 1월 27일까지 명절 연휴에는 KBS 뉴스로 10분 정도 방송되었다.
- ↑ 김승한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1988년 3월 7일 ~ 1988년 3월 11일 방송분은 (故)이창호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홍지수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1992년 4월 30일 ~ 1992년 5월 1일 방송분은 김병찬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1993년 1월 7일 ~ 1993년 1월 9일 방송분은 서기철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다.
- ↑ 황수경 前 아나운서는 KBS 저녁뉴스 진행한 지 2년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 ↑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1997년 1월 7일 ~ 1997년 2월 26일 방송분은 박용호 前 아나운서와 안희재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황정민 아나운서는 2년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 ↑ 전인석 아나운서는 5개월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 ↑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1999년 7월 13일 ~ 1999년 7월 26일 방송분은 이세진 前 아나운서와 이미선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전인석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1년 2월 5일 ~ 2001년 2월 13일 방송분은 김관동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는 KBS 저녁뉴스 진행한 지 8년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 ↑ 윤영미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1년 7월 16일 방송분은 지승현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1년 7월 17일 ~ 2001년 7월 20일, 2001년 9월 10일 ~ 2001년 9월 11일 방송분은 박현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황정민 아나운서는 KBS 뉴스네트워크 진행한 지 3년 만에 KBS 뉴스 7 (KBS 2TV) 재진행
- ↑ 황정민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하여, 2002년 3월 18일 ~ 2002년 3월 22일 방송분은 공정민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민경욱 前 기자의 평일 KBS 뉴스 9 대리 진행으로 인하여, 2002년 8월 5일 ~ 2002년 8월 9일 방송분은 당시 주말 KBS 뉴스 9의 진행을 맡고 있던 김철민 해설위원(現. 뉴스 중계탑 앵커)이 대신 진행했다.
- ↑ 전인석 아나운서는 KBS 뉴스네트워크 2차 진행한 지 1년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이규원 아나운서(現. KBS 뉴스 2 앵커)는 3년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 ↑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는 2년 만에 KBS 뉴스네트워크 재진행. 이로서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의 생전 마지막 TV 뉴스 프로그램이 되었다.
- ↑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3년 10월 13일 ~ 2003년 10월 15일 방송분은 홍소연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4년 1월 22일 ~ 2004년 1월 23일, 2004년 1월 28일 ~ 2004년 2월 13일 방송분은 당시 KBS 뉴스 5의 진행을 맡고 있던 김은성 아나운서(現. 평일 KBS 930 뉴스 앵커)가 대신 진행했고, 2003년 9월 29일 ~ 2003년 10월 2일, 2004년 1월 26일 ~ 2004년 1월 27일 방송분은 이성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한상권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5년 6월 27일 ~ 2005년 7월 1일 방송분은 오태훈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05년 11월 21일 ~ 2005년 11월 25일 방송분은 박노원 아나운서(現. 평일 KBS 뉴스 9 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 ↑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4년 6월 21일 ~ 2004년 6월 25일 방송분은 정은승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05년 7월 4일 ~ 2005년 7월 13일 방송분은 신성원 아나운서(現. KBS 아침뉴스타임 앵커)가 대신 진행했으며, 2006년 3월 3일 ~ 2006년 3월 10일 방송분은 김지윤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한상권 아나운서(現. 토요일 KBS 뉴스광장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6년 11월 27일 ~ 2006년 12월 1일 방송분은 오태훈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김지윤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6년 10월 30일 ~ 2006년 11월 3일 방송분은 변우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06년 12월 18일 방송분은 최윤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2007년 9월 17일 ~ 2007년 9월 21일 방송분은 당시 KBS 뉴스 (1800)의 진행을 맡고 있던 김윤지 아나운서(現. KBS 뉴스타임 (1500) 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 ↑ 위서현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8년 12월 15일 ~ 2008년 12월 19일 방송분은 윤수영 아나운서(前 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 ↑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2009년 7월 22일 방송분은 전인석 아나운서와 유애리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위서현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09년 12월 28일 ~ 2009년 12월 31일 방송분은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이 대신 진행했고, 2010년 7월 9일 ~ 2010년 7월 16일 방송분은 최윤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김은성 아나운서(現. 평일 KBS 930 뉴스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0년 8월 9일 ~ 2010년 8월 13일 방송분은 이규봉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윤수영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2년 9월 4일 ~ 2012년 9월 6일 방송분은 가애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오정연 前 아나운서는 2014년 2월 28일까지 김희수 아나운서와 함께 KBS 뉴스 7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2014년 2월 18일에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인해 KBS 뉴스 7에서 하차하게 되어, 2014년 2월 19일 ~ 2014년 2월 28일 방송분은 윤수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2014년 5월 19일 ~ 2014년 5월 28일 방송분은 김민정 前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했고, 2014년 5월 29일 ~ 2014년 6월 5일 방송분은 (故)박태남 前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대신 진행했다.
- ↑ 박주경 기자(現. 평일 KBS 뉴스광장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4년 8월 18일 ~ 2014년 8월 22일 방송분은 당시 주말 KBS 뉴스 9의 진행을 맡고 있던 최문종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 김진희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5년 4월 6일 ~ 2015년 4월 10일 방송분은 박사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5년 12월 8일 ~ 2015년 12월 11일 방송분은 최윤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2016년 2월 17일 ~ 2016년 2월 19일 방송분은 박주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이승기 기자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6년 10월 31일 ~ 2016년 11월 2일, 2017년 5월 29일 ~ 2017년 5월 30일 방송분은 당시 주말 KBS 뉴스 9의 진행을 맡고 있던 송영석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가결 관련 소식 및 세월호 인양 관련 소식으로 인하여 2016년 12월 9일, 2017년 3월 23일 방송분은 이승기 기자가 단독으로 KBS 뉴스특보로 진행했다.
- ↑ 박지현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6년 12월 20일 ~ 2016년 12월 23일 방송분은 당시 토요일 KBS 뉴스광장의 진행을 맡고 있던 장수연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제19대 대선 방송연설 및 후보자 토론 중계방송으로 인하여, 2017년 4월 24일 ~ 2017년 4월 27일, 2017년 5월 1일, 2017년 5월 3일 ~ 2017년 5월 4일, 2017년 5월 8일 방송분은 이승기 기자가 단독으로 진행했고, 2017년 4월 28일 방송분은 박지현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KBS 뉴스로 진행했으며, 2017년 5월 2일 방송분은 당시 KBS 뉴스 5의 진행을 맡고 있던 김희수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KBS 뉴스로 대신 진행했고, 2017년 5월 5일 방송분은 당시 KBS 뉴스 5의 진행을 맡고 있던 김윤지 아나운서(現. KBS 뉴스타임 (1500) 앵커)가 단독으로 KBS 뉴스로 대신 진행했다.
- ↑ 김윤지 아나운서(現. KBS 뉴스타임 (1500) 앵커)는 4년 만에 KBS 뉴스 7 재진행.
- ↑ 김윤지 아나운서의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9월 4일 ~ 2018년 2월 2일 방송분은 이승기 기자가 단독으로 진행했다.
- ↑ 김은성 아나운서(現. 평일 KBS 930 뉴스 앵커)는 KBS 뉴스네트워크 진행한 지 8년 만에 KBS 뉴스 7 재진행.
- ↑ 김윤지 아나운서(現. KBS 뉴스타임 (1500) 앵커)의 휴가 또는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18년 6월 4일 ~ 2018년 6월 8일 방송분은 당시 주말 KBS 스포츠 9의 진행을 맡고 있던 이혜성 前 아나운서(前 KBS 스포츠 9 주말 앵커, 前 누가누가 잘하나 여자MC 前 연예가중계(종영) 여자MC, 前 도전! 골든벨(現 임시 중단) 여자MC)가 대신 진행했고, 2018년 9월 27일 ~ 2018년 10월 5일 방송분은 당시 KBS 뉴스라인의 진행을 맡고 있던 이각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박노원 아나운서(現. 평일 KBS 뉴스 9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8년 12월 3일 ~ 2018년 12월 7일 방송분은 위재천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 김솔희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눈병 치료 관계로 인하여, 2019년 1월 28일 ~ 2019년 2월 1일 방송분은 박은영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9년 9월 16일 ~ 2019년 9월 20일, 2019년 12월 6일 ~ 2019년 12월 18일, 2020년 4월 21일 ~ 2020년 4월 27일, 2020년 5월 4일 방송분은 윤수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2020년 3월 24일 ~ 2020년 3월 27일 방송분은 주말 KBS 뉴스 9의 앵커인 박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0년 4월 28일 ~ 2020년 5월 1일, 2020년 5월 5일 ~ 2020년 5월 8일 방송분은 엄지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박노원 아나운서(現. 평일 KBS 뉴스 9 앵커)의 휴가 또는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19년 7월 15일 ~ 2019년 7월 19일 방송분은 당시 평일 KBS 뉴스 9의 진행을 맡고 있던 최동석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0년 1월 28일 ~ 2020년 1월 31일, 2020년 5월 27일 방송분은 강성규 아나운서(前 도전! 골든벨 (現 임시 중단)남자 MC)가 대신 진행했다.
- ↑ 이규봉 아나운서는 6년 8개월 만에 KBS 뉴스 7 재진행. 그러나 재진행 남자 앵커일때 진행자의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 ↑ 2020년 추석 연휴 또는 KBS 특별생방송 더 나은 삶 안전한 대한민국 편성으로 인하여, 2020년 9월 30일 ~ 2020년 10월 1일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했고, 2020년 10월 2일, 2021년 3월 17일 방송분은 이규봉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했다.
- ↑ 김솔희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20년 10월 8일 ~ 2020년 10월 16일, 2021년 3월 31일 ~ 4월 8일 방송분은 박소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0년 12월 10일 ~ 2020년 12월 18일 방송분은 KBS 뉴스타임 (1500)의 앵커이자 38~40기 앵커인 김윤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1년 4월 9일 방송분은 이각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이규봉 아나운서의 휴가로 인하여, 2020년 11월 23일 ~ 2020년 11월 27일 방송분은 김태규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이 대신 진행했다.
KBS 1TV 평일 프로그램 | ||
이전 | KBS 뉴스 7 | 다음 |
6시 내고향 |
| |
저녁 6시 |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
우리말겨루기와 최불암의 한국인의 밥상을 제외한나머지는 수도권방송(단 DMB는 제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