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 내고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6시 내고향ALL 이상 시청가
6 o'clock My Hometown
장르 시사교양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1TV
방송 기간 1991년 5월 20일 ~ 방영중
방송 시간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
방송 분량 1시간
방송 횟수 7796회 (2023년 5월 29일 기준)
추가 채널 KBS 라이프 (재송신)
소상공인방송
기획 KBS 시사교양본부
총감독 김창길
프로듀서 오은일
감독
  • 김송이
  • 박재록
제작자 DMS
보물썸
S&J
초이스
현피니넷
해담미디어
미디컴
혜화아이
하얀소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랑
개미TV
세상기록
지역 연결의 지역총국 및 지역국의 네트워크 연결
케이아트
아름다운세상
각본
  • 남수진
  • 박정은
  • 이시회
  • 문효정
  • 김성주
진행자 윤인구(24기)[1]
가애란[2]
출연자 본문 참조 (요일별 코너(패널) 출연자 포함)
KBS 지역국 지역 연결 - KBS 지역(총국) 리포터 및 아나운서
해설 가애란(상품소개)</ref>2023년 1월 16일<7704회> ~ 부터 현재MC 여자3번 재진행 소개중
김기현 (인생은 행복해)
김영옥, 홍소연[3] (청산에 살리라)
여는 곡 OP 및 로고(해당 금일 및 오늘 방송분의 회차 표시와 오늘의 예고 및 하이라이트 영상 모습) (2020년 3월 30일 ~ 현재)
닫는 곡 해당 방송일 ED 음악흐르는 소리와 상품소개 이후 월 ~ 금의 코너별 지역 영상 풍경의 항공 모습·일반 풍경 모습 영상과 ED 및 로고(해당 금일 및 오늘 방송분의 엔딩(ED)멘트의 내일 및 다음주 방송 고지 자막 표시) (2020년 3월 30일 ~ 현재)[4]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TV 방송
관련 프로그램 2TV 생생정보
생방송 오늘저녁
생방송 투데이
외부 링크  KBS 1TV 6시 내고향 홈페이지(2023년 1월 2일 ~ 기준)

비고:
폐쇄 자막 방송
KBS 위성2TV,1TV 재송신 편성
지역 자체 네트워크 연결(본문 참조)
방송 하기 직전 코너별 이미 출연하여 방송함
7000회 특집 편성 이후 특집 방송분의 상단 회차 및 특집을 표기하지 않고 및 코너 미표기와 그냥 로고만 표기함
해당 회차의 방송분에서 2022년 이후 방송분은 키워드 없이 제목으로 표기함
2020년 8월 ~ 2023년 3월 28일<7754회> 방송분까지 예고 및 미리보기 했음 이후, 같은 해 3월 30일<7756회> 방송분부터 폐지함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일부 해당 요일별 코너의 한 회의 [다시보기] 및 [관련 클립영상] 은 해당 요일별 코너만 기재하거나 이후 다음 날 올리며, 해당 한 회의 다시보기에 따라 제공하지 않을수 있음
《전국 장수자랑》(매주 목요일 편성) 코너에서는 홈페이지의 해당 출연한 지역만 표기하며, 해당 출연한 어르신의 다시보기 나온 내용은 없으므로 저작권 문제로 내용을 제공하지 않음
※ 역대 MC 남성의 1980년대 ~ 1990년대 출생의 남자 아나운서를 가진 사람은 없음 (임시로 진행한 1980년대 출생 남자 아나운서는 2명 - 前 김선근(41기), 오승원(37기) 아나운서)
현재 진행자 중 1명의 여자 MC는 3번이상 재진행 MC 진행자(가애란 아나운서)
현재 2명의 MC는 남성과 모두 첫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음

6시 내고향》은 한국방송공사KBS 1TV에서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에 방송되는 KBS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전국 지역 고향 전문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편집]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삶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며, 영농정보와 유통정보의 제공으로 농어가 소득증대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KBS 1TV 1991년 5월 20일 ~ 1991년 10월 3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1991년 10월 7일 ~ 1992년 4월 3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7월 9일 ~ 방영중 [5]
1992년 4월 6일 ~ 1993년 4월 30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 6시 50분 [6]
2001년 11월 5일 ~ 2002년 10월 25일 [7]
1992년 10월 11일 ~ 1993년 4월 25일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8]
1993년 5월 3일 ~ 1993년 5월 6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35분 [9]
1993년 5월 10일 ~ 1993년 7월 2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10]
1993년 8월 2일 ~ 1993년 8월 5일 매주 월요일 ~ 화요일 저녁 5시 45분 ~ 6시 30분 [11]
매주 수요일 저녁 6시 ~ 6시 30분
매주 목요일 저녁 5시 30분 ~ 6시 15분
1993년 8월 9일 ~ 1993년 8월 12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5시 45분 ~ 6시 30분 [12]
1993년 8월 16일 ~ 1993년 10월 14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7시 [13]
1993년 10월 18일 ~ 1994년 2월 17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14]
1994년 5월 2일 ~ 1994년 10월 6일 [15]
1994년 2월 21일 ~ 1994년 4월 28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30분 ~ 7시 [16]
1994년 10월 10일 ~ 1995년 9월 1일 [17]
1995년 9월 4일 ~ 1998년 10월 9일 [18]
1998년 10월 12일 ~ 1999년 4월 2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19]
1999년 7월 5일 ~ 2001년 11월 2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 6시 55분 [20]
2002년 10월 28일 ~ 2016년 12월 30일 [21]
2017년 1월 2일 ~ 2018년 6월 2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22]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9월 11일 ~ 2017년 9월 22일 매주 월요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3]
매주 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2017년 10월 2일 ~ 2017년 10월 6일 매주 월요일 ~ 수요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10분 [24]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0월 9일 ~ 2017년 10월 13일 매주 월요일 저녁 6시 ~ 7시 10분 [25]
매주 화요일 ~ 수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0월 23일 ~ 2017년 10월 27일 매주 월요일 ~ 화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26]
매주 수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0월 30일 ~ 2017년 11월 3일 매주 월요일 ~ 화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7]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1월 6일 ~ 2017년 11월 10일 매주 월요일 ~ 화요일,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8]
매주 수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1월 13일 ~ 2017년 11월 17일
2017년 11월 27일 ~ 2018년 1월 26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9]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1월 21일 ~ 2017년 11월 24일 매주 화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30]
매주 수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1월 29일 ~ 2018년 2월 2일 매주 월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31]
매주 화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2월 12일 ~ 2018년 2월 16일 매주 월요일 ~ 수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32]
매주 목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2월 19일 ~ 2018년 2월 23일 매주 월요일 ~ 화요일,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33]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3월 5일 ~ 2018년 7월 6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34]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 7시

진행자[편집]

현재 MC[편집]

역대 MC[편집]

남자[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제1대 박용호 前 아나운서 1991년 5월 20일 ~ 1999년 10월 11일 역대 남자MC 8년간 최장 진행자
[35]
제2대 김선동 前 아나운서[36] 1999년 10월 11일 ~ 1999년 11월 26일 남자MC 최단 1개월간 진행자
제3대 이성민(21기) 아나운서 1999년 11월 29일 ~ 2000년 4월 28일 [37]
제4대 이형걸 청주방송총국장[38] 2000년 5월 1일 ~ 2003년 2월 19일 남자MC 최장기간 3년간 진행자[39]
제5대 김재원(21기)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40] 2003년 2월 20일 ~ 2004년 2월 24일 [41]
제6대 오태훈 아나운서[42] 2004년 2월 25일 ~ 2004년 4월 30일 [43]
제7대 전인석 前 아나운서[44] 2005년 8월 16일 ~ 2007년 3월 30일 [45]
제8대 서기철 前 아나운서[46] 2007년 4월 2일 ~ 2008년 11월 14일 [47]
제9대 성세정 아나운서[48] 2008년 11월 17일 ~ 2013년 4월 5일 [49]
제10대 김재원(21기)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50] 2013년 4월 8일 ~ 2018년 5월 25일 [51]
제11대 윤인구 아나운서 2018년 5월 28일 ~ 2023년 5월 이후 물러날 예정 [52]
제12대 아나운서 미정 2023년 이후 남자 진행 예정 [53]

여자[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제1대 이금희(16기) 前 아나운서/방송인[54] 1991년 5월 20일 ~ 1994년 10월 7일 [55]
제2대 진양혜 前 아나운서/방송인[56] 1994년 10월 10일 ~ 1995년 3월 3일 [57]
제3대 이한숙 前 아나운서[58] 1995년 3월 6일 ~ 1996년 3월 1일 [59]
제4대 김성은(19기) 아나운서[60] 1996년 3월 4일 ~ 1997년 10월 17일 [61]
제5대 유정아(16기) 前 아나운서/방송인[62] 1997년 10월 20일 ~ 1998년 10월 9일 [63]
제6대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64] 1998년 10월 12일 ~ 1999년 10월 8일 [65]
제7대 홍소연 아나운서[66] 1999년 10월 11일 ~ 1999년 11월 26일 여자MC 최단 1개월간 진행자[67]
제8대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68] 1999년 11월 29일 ~ 2000년 4월 28일 [69]
제9대 오유경(20기)前 아나운서[70] 2000년 5월 1일 ~ 2001년 4월 27일
제10대 김성은(19기) 아나운서 2001년 4월 30일 ~ 2002년 3월 29일
제11대 오유경(20기) 前 아나운서 2002년 4월 1일 ~ 2005년 5월 6일 [71]
제12대 최원정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72] 2005년 5월 9일 ~ 2007년 3월 30일 [73][74]
제13대 윤수영(31기) 아나운서[75] 2007년 4월 2일 ~ 2008년 3월 28일
제14대 이지애 前 아나운서[76] 2008년 3월 31일 ~ 2008년 11월 14일 [77]
제15대 오정연 前 아나운서[78] 2010년 5월 10일 ~ 2013년 4월 4일 [79]
제16대 가애란 아나운서 2013년 4월 5일 ~ 2014년 4월 1일 여자MC 3번째로 첫진행[80]
제17대 김솔희 아나운서[81] 2014년 4월 2일 ~ 2018년 4월 13일 [82]
제18대 이지연 (37기) 아나운서[83] 2018년 4월 16일 ~ 2018년 5월 25일
제19대 가애란 아나운서 2018년 5월 28일 ~ 2022년 8월 19일 [84]
제20대 김진희(30기) 아나운서[85] 2022년 8월 22일 ~ 2022년 12월 30일 [86]
제21대 가애란 아나운서[87] 2023년 1월 2일 ~ 2023년 5월 이후 물러날 예정 [88]
제22대 아나운서 미정 2023년 이후 여자 진행 예정

구성[편집]

2020년 8월 26일 이후 방송일 편성 기준 방송시작 OP 이후 예고는 네트워크 생략의 제외로 주요 코너로 해당 회차의 요일별 코너에서만 오늘의 예고 편을 한다.
단 특집편에서 경우에는 구성이 야외촬영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요일 코너명 출연자(MC 및 진행자)
(패널 및 출연자)
제작사
(제작진)
비고
평일 오프닝 영상(OP) 2020년 3월 30일부터 기준 KBS 본사 제작 [89]
오늘의 하이라이트 오늘의 예고 및 이야기 [90]
오프닝 멘트(OP) 윤인구(24기) 아나운서(남)
가애란 아나운서(여)(3번째 재진행)
엔딩 멘트(ED) [91]
엔딩 영상(ED) 해당 방송일 요일의 코너별 지역 영상 풍경 모습
및 ED 및 로고
[92]
상품소개 가애란 (여) 아나운서 (3번째 재진행) [93]
전국 네트워크 연결 KBS 지역방송국 아나운서 및 리포터 KBS 지역국 본문 아래 참조
월요일 속(心) 풀어드립니다 자두(가수)[94] DMS[95] 매주 마다 무작위
1982년생 방송인 출신의 여자 리포터
붕붕이가 간다 손헌수 (개그맨) 보물썸[96]
인생은 행복해 김기현 (내레이션)
(성우)
스카이픽쳐스[97] 내레이션으로 전해드림
화요일 홍보장사 만만세 백승일 (가수) S&J[98] 부인 홍주와 가수부부
오! 만보기 이정용 (배우) 해담미디어[99]
고향 情 가게 백봉기 (배우)
라마 (가수)
초이스[100] 패널은 무작위로 출연함
전국 각지 음식점 및 식당을 차아 고향의 소식을 전해줌
수요일 밥상원정대 - 네박자 신성, 황윤성
노지훈, 김경민
이상 가수
젤리쿠키[101] 트로트 유명 가수는
패널은 무작위로 출연함
1명 중 신성은 아침마당 도전!꿈의무대 5승 가수 주인공이다.
발길따라 고향기행 임대호 (배우)
박애리 (국악인)
혜화아이[102] 2명 중 1명은 국악인이다.
패널은 무작위로 출연함
수요일엔 수산물 기성 앤더슨(귀화 미국 출신)(방송인)[103] 미디컴[104] 귀화 미국 출신 및 방송인
목요일 힘내라 전통시장 송준근 (개그맨)[105]
강혜연 (가수)[106]
하얀소 엔터테인먼트[107] 전국 지역의 시장 순회를 찾음
2022년 1월 13일<7448회> 패널 출연자의 여자 변경
청산에 살리라 김영옥 (배우) (내레이션)
홍소연 (아나운서)
미디어 랑[108] 내레이션으로 전해드림
금요일 60초를 잡아라 신승태 (가수)|신승태]] (가수) (스튜디오)[109]
조항리(39기) (아나운서)[110]
미디컴[111] 전국 지역 시장을 순회하여
60초로 대결하는 지역시장상인
(정식 남자MC)
고향기행 박은하 (1인 방송 기획자) 최석구 개미TV[112] 패널은 무작위로 출연함
셰프의 선물 최인선, 최형진, 명현지
미카엘 아쉬미노프
(이상 셰프 출연자)
세상기록[113] 패널은 세프가 출연함

네트워크 및 지역 연결[편집]

다음 지역 연결 코너의 경우 각 지역 방송국에서 직접 제작한 내용을 방송되면 KBS 각 지역방송국 소속 아나운서/리포터에서만 진행한다. 금요일에도 지역연결을 한다.
KBS 지역방송국의 소속 아나운서 및 리포터가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방송국 타이틀 리포터
(아나운서)
제작사
(제작진)
네트워크 권역 비고
KBS부산총국 6시 내고향 부산,울산,경남 동부 백수정 리포터 KBS 부산총국[114]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동부(김해시,양산시,밀양시) 3개 지역 일부
KBS 울산국 수중계
KBS창원총국 6시 내고향 창원 소유 리포터

이수민 리포터

KBS 창원총국[115] 경상남도 전역 일부
(김해시,양산시,밀양시 3개 일부지역 제외)
(경남 중북부,서부,남부)
KBS 진주국 수중계
KBS춘천총국 6시 내고향 춘천 김민솔 리포터 KBS 춘천총국
BR미디어[116]
강원 영서 북부(춘천)
영서 남부(원주)
KBS 원주국 수중계
KBS 춘천-외주제작 공동기획
외주제작 일부 - BR미디어
(일부 공동제작)
KBS강릉국 6시 내고향 강릉 장원석 리포터 KBS 강릉국[117] 강원 영동 동해안 일부 및 일원
(인제군,평창군 2개 지역 일부)
유일하게 남자 리포터로 함
KBS광주총국 6시 내고향 광주,전남 김나윤 리포터[118] KBS 광주총국[119]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전역 일원 KBS 목포국,KBS 순천국
2개 지역방송국 수중계
KBS대전총국 6시 내고향 대전,세종,충남 최해정 리포터 KBS 대전총국[120] 대전광역시,충청남도,세종특별자치시 전역 일원
KBS전주총국 6시 내고향 전북 유민경 리포터 영상공작소 틀[121] 전라북도 전역 일원 KBS전주총국 기획
외주제작으로 함
KBS청주총국 6시 내고향 충북 양소라 리포터 KBS청주총국[122] 충청북도 전역 일원 KBS 충주국 수중계
KBS대구총국 6시 내고향 대구,경북 표나리 리포터 KBS 대구총국[123] 대구광역시,경상북도 전역 일원 KBS 안동국,KBS 포항국
2개 지역방송국 수중계
KBS제주총국 6시 내고향 제주 전유경 리포터 현피디네[124] 제주특별자치도 전역 일원 KBS제주총국 기획
외주제작으로 함

사건[편집]

  • 2014년 4월 7일부터 진행자 교체 문제로 제작진이 반발하고 있어 이에 대해 KBS본부 노조는 가애란 아나운서 복직 시위에 들어가 김솔희 아나운서(現 아침마당 여자MC)가 가애란 아나운서(당시 여자 첫진행 및 재진행MC) 후임으로 진행하였다.
  • 그러나 교체된지 4년만에 가애란 아나운서가 첫진행 이후 재진행 하여 진행자 자리에 다시 복귀하였으나 2022년 출산휴가로 인하여 4개월간 방송활동을 중단하다가 다음 해인 2023년 1월 2일 7694회 방송분의 새해 아나운서실 복귀로 재개하여 다시 여자 MC로 진행을 재개하게 된다.

특집 방송[편집]

  • 2006년
    • 방송 15주년을 맞아 5월 22일 오후 5시15분부터 105분 동안 특집방송을 내보냈다.
  • 2016년
    • 방송 6,000회를 맞아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서울 여의도 KBS홀 앞 광장에서 '토종씨앗축제'로 방송되었다.
  • 2020년
    • 3월 3일 6981회 (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지금 만나러 갑니다] 6시 내고향 열혈 팬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25]
    • 3월 31일 [7,000회 특집] <6시 내고향 함께 해준 당신, 고맙습니다>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26]
    • 4월 8일 : 7007회 [특집 함께 삽시다 내고향 상생장터]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27]
    • 4월 24일에는 오후 5시 30분과 저녁 7시 40분에 특별생방송 함께 삽시다라는 명칭으로 총 1, 2부로 방송되었다.
    • 9월 3일 7105회 시청자주간 특집 편성으로 인하여 17:30 ~ 19:00으로 30분 확대하여 1시간 30분 확보되어 이후까지 편성이 변경되었다.[128]
  • 2021년
    • 3월 3일 7232회 공사창립 48주년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29]
    • 5월 17일 ~ 5월 21일에는 [시청자와 함께 30년 6시 내고향] (30주년 특집 (1부 ~ 5부 포함)으로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었다.[130]
    • 12월 31일<7439회> 방송분은 송년특집 관계로 송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 2022년
    • 1월 1일<7440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 1월 31일<7460회> ~ 2월 1일<7461회> ~ 2월 2일<7462회> 방송분은 설날특집 관계로 설특집으로 방송편성되으며, 스튜디오로 설특집에서만 장식 스튜디오 모습으로 모양 및 모습을 변경했다.
  • 2023년
    • 1월 2일<7694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방송편성 및 가애란 아나운서 여자MC 재진행 이후 4개월 만에 출산 방송 중단 이후 복귀[131]
    • 2월 27일<7734회> ~ 3월 3일<7738회>(당신의 오랜 벗,공사창립 특집 1부 ~ 5부 ) 5일간 공사창립 특집으로 방송했다.[132]

방영 목록[편집]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편집]

※ 해당 연도 에피소드 목록 결방 참조

2023년
  • 3월 16일 : KBS 뉴스 5 [수화] 40분 확대편성으로 인하여 이후 곧이어 1740 동물의 왕국 40분 추가편성 이후 저녁 6시 20분 KBS 뉴스특보 [수화] (뉴스제작3부 제작) 《한일 정상회담(공동기자회견)》(앵커:이재석 기자[133])(저녁 6시 20분 ~ 7시 방송분) 편성 관계로 결방[134]
  • 5월 24일 : 누리호특선다큐 편성으로 인한결방
  • 5월 25일 : KBS 뉴스특보[수화] 《누리호 발사 관련 비행 종료》 (뉴스제작3부)(앵커:임재성 기자[135]) 편성으로 인한 결방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2018년 5월 28일<6536회> 부터 기준 및 이후 4년 10개월 넘게 진행자가 변경하지 않고 있음
  2. 2023년 1월 2일<7694회> 부터 기준, 출산휴가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재복귀 및 이름 부르지 못함
  3. 前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4. 단 특집 때에는 야외특집 방송편성할 경우 ED 무대의 가수로 출연한다.
  5. 2018년 10월 26일<6639회(연천군 야외 현지 특집)>, 2019년 1월 28일<6701회> · 5월 20일<6777회>(임시 여자MC 대신 진행 및 진행자의 이름 부른것의 이후 미확정, 이후 최종 불가,없음) · 8월 23일 <6845회>(이후 최종 불가) · 10월 9일 <6877회> · 12월 31일<6936회>(송년특집 및 보호된 이후 불가) ~ 2020년 1월 1일 <6937회>(2020 신년특집, 보호된 이후 불가), 1월 15일<6947회>, 1월 20일<6950회>, 1월 22일<6952회> ~ 1월 23일<6953회> (2일 연속) · 2월 7일<6964회> · 2월 13일<6968회> · 3월 3일<6981(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 5월 25일 <7037회> · 7월 13일 <7072회>, 2021년 10월 4일<7376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2022년 4월 12일<7509회> · 6월 17일<7556회> · 11월 30일 <7671회>(이후 불가), 2023년 1월 10일 <7701회>(특집- 2023 설맞이 농수산물, 전통식품대전)(이후 불가) · 5월 26일 <7795회>(남원춘향제 특집) 이후 방송분은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이후 다시보기 22회 불가이며, 해당 방송분의 7795회(남원춘향제 특집) 은 1회 아쉽게 올리지 않았다. 2019년 6915회, 2020년 [7,000회 특집] 함께 해준 당신, 고맙습니다 특집 방송분의 다시보기 창 밑에 부제 미표기 · 7103회(이후 최종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올리지 않았으며, 지역만 표기하지 않아, 해당 방송분의 내용을 올리지 않았음) · 7187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 - 지역만 표기함), 2021년 7318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 · 7361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 · 7365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 7367회(추석특집 2부) ~ 7368회(추석특집 3부), 7376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2022년 <7492회>(해당 방송분은 네트워크 연결을 제외하고는 [60초를 잡아라]/[고향길 사랑하길]/[셰프의선물] 코너의 방송내용 미확정 및 미표기) · 7637회 · 7646회(전남 해남군 특집-맛의 고장 해남군), 7795회(남원춘향제 특집) 14회 방송분은 방송 내용을 올리지 않았다.
  6. 1992년 봄개편으로 인하여 1TV의 평일 50분으로 방송시간을 변경했다.
  7. 2001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1TV의 평일 50분으로 환원하여 방송시간을 변경했다.
  8. 1992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일요일 추가 방송시간을 추가했다.
  9. 1993년 봄개편으로 인하여 1주일간 1TV의 월~목으로 35분으로 축소 변경했다.
  10. 1993년 봄개편 이후 부분조정으로 인하여 1주일간 1TV의 월~목으로 5분 확대로 40분으로 변경했다.
  11. 1993년 엑스포 주관방송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8월 2일 ~ 5일 방송분은 월~화,수,목으로 편성했다.
  12. 1993년 엑스포 주관방송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8월 9일 ~ 12일 방송분은 월~목으로 편성했다.
  13. 1993년 엑스포 주관방송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8월 16일 ~ 10월 14일 방송분은 까지 편성했다.
  14. 1993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요일로 금요일 제외로 방송되어 45분으로 축소되었다.
  15. 1994년 5월 봄 2차 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요일로 금요일 KBS 94 프로야구 중계방송 제외로 방송되어 45분으로 축소되었다.
  16. 1994년 봄 1차 개편으로 인하여 월 ~ 금요일로 방송되어 30분으로 축소되었다.
  17. KBS 1TV의 광고폐지 이후 1994년 가을 개편으로 인하여 월 ~ 금요일로 방송되어 확대 편성으로 30분으로 축소되었다.
  18. 1995년 가을 1차 개편으로 인하여 월 ~ 금요일로 방송되어 확대 편성으로 30분으로 축소되었다.
  19. 1998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요일로 금요일 제외로 방송되어 45분으로 축소되었다.
  20. 1999년 여름 부분조정 개편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55분간 편성했다.
  21. 2013년 2월 21일 <5213회>, 3월 20일 <5232회> ~ 3월 21일 <5233회> ~ 3월 22일 <5234회> 방송분은 저작권 문제로 3회 방송내용을 올리지 않아 미확정이다.
  22. KBS의 2017년 신년 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 55분, 금요일 1시간까지 편성이 변경되었다.
  23.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9월 11일 ~ 동년 9월 22일 방송분은 월,금 1시간, 화 ~ 목 55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4.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과 추석특집 방송분은 월, 수,금 1시간 10분, 목요일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으며, 10월 3일<6376회>(추석특집 2부)(남자 및 여자 임시 2명 MC)(이후 최종 불가) · 10월 5일<6378회> 방송분은 다시보기 2회 불가이다.
  25.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0월 9일 ~ 2017년 10월 13일 방송분은 월 1시간 10분, 화 ~ 수 55분, 금요일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6.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0월 23일 ~ 2017년 10월 27일 방송분은 월 ~ 화 55분, 수 ~ 목 40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7.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0월 30일 ~ 2017년 11월 3일 방송분은 월 ~ 화 40분, 목 55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8.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1월 6일 ~ 2017년 11월 10일 방송분은 월 ~ 화, 목 40분, 수 55분, 금 1시간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9.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과 고대영 사장의 해임으로 인하여, 2017년 11월 6일 ~ 2017년 11월 17일, 동년 11월 27일 ~ 2018년 1월 26일(고대영 사장의 해임 기준)까지 방송분은 월 ~ 목 40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으며, 2018년 1월 2일<6437회> 방송분은 최종 다시보기 1회 불가이다.
  30.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1월 21일 ~ 2017년 11월 21일 방송분은 월요일 《특별생방송 포항 지진피해, 우리가 함께 합니다》의 결방으로 화~수~목 40분, 금요일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1.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8년 1월 29일 ~ 2018년 2월 2일 방송분은 월 40분, 화 ~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2.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1TV <평창올림픽 라이브> ) 및 같은 해 2월 16일 방송분은 2018 평창 패럴림픽 동계올림픽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하여 2018년 2월 12일 ~ 2018년 2월 16일 방송분은 월 ~ 수 40분, 목 ~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3.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1TV <평창올림픽 라이브> ) 및 같은 해 2월 16일 방송분은 2018 평창 패럴림픽 동계올림픽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하여 수요일 방송분은 결방하여 2018년 2월 19일 ~ 2018년 2월 23일 방송분은 월 ~ 화, 목 55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으며, 2018년 2월 19일<6468회> 방송분은 다시보기 불가 및 미확정이다.
  34.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 끝 이후 방송시간 복귀의 편성으로 인하여 2018년 3월 5일 ~ 2018년 7월 6일 방송분은 월 ~ 목 55분, 금요일 50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5. 박용호 전 아나운서는 진행 기간 동안 KBS 아나운서실 1994년 TV담당 부주간, 이중 1995년 아나운서연협회장, 1998년 아나운서실장을 역임하여 1999년 10월 11일 고별방송 이후 퇴사하여 정치인으로 활동하여, 현재 방송인이다. 그의 아들인 박태원 아나운서이다.
  36. 아나운서실 R뉴스담당차장,외주담당차장, TV차장, 현업총괄차장, 역대아나운서사 자료조사팀장, 인터넷운용팀장, 제주방송총국 아나운서부장, 현업총괄뉴스 부주간, 아나운서팀 1직급 부장아나운서 이후 정년퇴임으로 퇴사
  37. 이성민 아나운서는 이후 2017년 KBS창원방송총국 아나운서 지역순환근무로 최단기간 동안 근무하여 이후 본사에 복귀했다.
  38. 2003년 노조에 참여하다 이후 청주총국장 재임중
  39. 이형걸 아나운서(前 피플 세상속으로 내레이션 겸 MC)는 남자MC가 진행이 끝난 후 2003년 2월부터 2005년 초까지 KBS본부 노동조합의 조합원의 조직국장을 역임하여 활동했으며, 2017년 KBS춘천방송총국 아나운서 지역순환근무하여 이후 2019 ~ 2021년까지 아나운서실 실장을 역임했으며, 같은 해 연말 12월에는 KBS청주방송총국 총국장을 역임하여 현재 재직 중이다.
  40. 現 아침마당 남자 재진행 MC
  41. 당시 1995년 공채 21기 아나운서 입사 후 '김재민'이란 본명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2022년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
  42. 2021년까지 前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 역임, 現 제1라디오 - 《라디오 매거진 위크앤드》 (2023.1.28 ~ ) 진행자
  43. 오태훈 아나운서의 남성 MC의 65일(2개월 5일) 미만의 최단 진행자, 2021년까지는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을 역임했다.
  44. 前 춘천방송총국 아나운서 근무, 제주방송총국 아나운서, 2022년 정년 퇴임
  45. 2019년 10월 28일부터 현재 KBS제주방송총국에서 지역의 순환근무하여 2022년 초 정년 퇴임
  46. 前 아나운서실 편성담당 부주간, 2022년 9월 퇴사 후 정년퇴임
  47. 1987년 11월 입사한 공채 14기 아나운서로, 남편은 17기 전직 아나운서의 부인 곽은주의 방송인이며, 서기철 前 아나운서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중계 캐스터 관계로 출장을 간 사이 현재 최장기간 남자MC로 진행중인 윤인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2020년 10월 ~ 2021년 12월까지 아나운서실 편성본부 부주간을 역임했다, 2022년 9월 정년퇴직.
  48. 前 3라디오 《오늘의 신문》 진행자
  49. 성세정 아나운서의 최장 4년의 진행자
  50. 現 아침마당 남자 재진행 MC
  51. * 김재원 아나운서의 2013년 가을 휴가 ·출장으로 인하여 2013년 10월 22일 ~ 2013년 10월 29일, 2013년 11월 26일 ~ 2013년 11월 28일, 세월호 침몰 사고 및 참사 이후 관련 노조파업으로 인하여 2014년 5월 29일 ~ 6월 5일(6월 4일 결방일 제외)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 없이 8기 남성 진행자였던 이성민 아나운서(前 사랑의 가족 MC)가 대신 단독으로 진행했다.
  52. 첫 진행시 첫 멘트를 아쉽게 이름을 부르지 않았으며, 과거 10년 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중계 캐스터 관계로 출장을 간 사이 임시 남자MC로 진행한 적이 있으며, 휴가로 인하여 2019년 1월 21일부터 2019년1월 25일까지 방송분은 초대 남자 MC 진행자였던 박용호 前 아나운서의 아들 박태원 아나운서(現 지구촌 뉴스 남자앵커)가 대신 진행했으며, 2019년 8월 5일부터 2019년 8월 16일까지, 2021년 8월 9일 방송분은 당시 前 KBS 아침뉴스타임 남자 앵커, 現 더 라이브 MC로 진행중인 오언종 아나운서가 2회 연속 대신 진행하였으며,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20년 8월 24일부터 2020년 8월 28일까지 방송분은 공채 20기로 최승돈 아나운서(現 現 1라디오 주말 생방송 정보쇼)가 대신 진행했으며, 2021년 8월 10일, 2022년 6월 10일(최후의 마지막 임시 남자MC) 방송분은 노래가 좋아 남자MC와 금요일 코너인 [60초를 잡아라] 패널로 출연했던 공채 41기 김선근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1년 8월 11일 방송분은 오승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다른 MC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기존 남자 MC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으며, 2023년 1월 2일<7694회> 방송분은 2명 모두 1명 중 이상협 아나운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취소로 현재의 MC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후 2022년 6월 말 이후 임시진행자의 남자가 진행을 하지 않고 있다.
  53. 4년 7개월만에 남자MC 변경 미확정
  54. 前 아침마당 여자MC 13년간 최장기간 진행자, 現 KBS 2FM(쿨FM) <사랑하기 좋은날 이금희입니다> 진행자
  55. 이금희 방송인(前 아나운서)는 공채 34기 여자 前 아나운서 정다은(34기 )(2023년 3월 퇴사)과 얼굴이 닮았으며, 이후 인간극장 내레이션으로 활동했다. 2020년 9월 3일<(특집)> 방송분의 <방송의 날 - 시청자 주간 특집 - 우리함께)> 잠시 내레이션으로 함
  56. 2000년 7월 퇴사
  57. 방송인 및 前 아나운서 손범수의 부인이다.
  58. 2002년 퇴사
  59. 2004년 퇴사하여 프리랜서를 선언하여 방송인이다.
  60. 전주총국 아나운서로 근무중인 김태은 아나운서의 언니
  61. 공채 19기로, 1994년 20기 KBS전주총국에 재직으로 근무중인 김태은 아나운서의 언니이다.
  62. 연세대학교 초빙교수, 제6대 노무현시민학교 교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연구위원, 한국IPTV방송협회장
  63. 유정아 前 아나운서는, 방송인 KBS 뉴스 9 여자앵커, 이후 2014년 3월에는 노무현 시민학교 교장에 선임했다.
  64. 보도국 기자 조성원(26기)의 부인, 아나운서실 한국어사업팀장
  65. 6기의 여자MC였던 남편 조성원 보도본부 기자와 결혼했으며, 현재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 재직 중이다.
  66. 2019년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2022년 4월 까지 했음, 現 사랑의 가족 내레이션
  67. 2010년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다리 부상으로 깊스 부상을 입어 휴직했다.
  68. 보도국 기자 조성원(26기)의 부인, 아나운서실 한국어사업팀장
  69. 6기의 여자MC였던 남편 조성원 보도본부 기자와 결혼했으며, 현재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 재직 중이다.
  70. 2020년 10월 퇴사
  71. 2016년 토종 씨앗축제 편에서 잠시 출연했다.
  72. 現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現 역사저널 그날 여자MC
  73. 최원정 아나운서(前 도전! 골든벨 2대 여자MC, 前 KBS 뉴스 9 주말 앵커와 現 이웃집 찰스 메인 MC)의 첫 여자MC의 첫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74. 최원정 아나운서의 휴가와 출장으로 인하여 2006년 3월 방송분은 공채 31기 위서현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75.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여자MC, 1FM(Classic FM) 생생 클래식 MC
  76. 2014년 퇴사
  77. 이지애 前 아나운서(前 舊 생생 정보통(이후 前 2TV 생생정보) MC)의 첫 여자MC의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으며, 2014년 1월 초 퇴사 후 프리랜서를 선언하여 현재 방송인이며, 남편은 현재 재직중인 MBC 아나운서 김정근이다.
  78. 2014년 3월 퇴사
  79. 공채 32기의 前 아나운서이며, 2021년 5월 20일 《시청자와 함께 30년》 특집으로 잠시 특별출연했다.
  80. * 가애란 아나운서의 여자MC 첫진행의 휴가 · 출장으로 인하여 2013년 11월 26일 방송분은 여성 MC 4기와 10기 MC였던 김성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첫 진행 이후 재진행으로 했다.
  81. KBS 15기 어린이 합창단 단원, 前 아침마당 여자 MC
  82. * 김솔희 아나운서의 파업으로 인하여 2014년 5월 29일 ~ 2014년 6월 5일(6월 4일 결방일 제외)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 없이 이성민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했으며, 휴가와 출장으로 인하여 2014년 10월 13일부터 2014년 10월 17일까지, 2015년 1월 26일부터 2015년 1월 30일, 2015년 7월 8일부터 2015년 7월 10일까지 방송분은 박주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나 정식적인 여자 MC와 박씨 여자 아나운서 최초의 MC가 아니라 임시 여자 MC 진행자이며, 2016년 1월 18일부터 2016년 1월 22일까지 방송분은 유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16년 3월 2일, 2016년 8월 15일부터 2016년 8월 23일까지, 2016년 11월 7일부터 2016년 11월 11일까지, 2017년 1월 11일부터 2017년 1월 20일까지 방송분은 2017년 설날 직전 및 직후의 이후 설특집에서만 전주리 아나운서(現. KBS 뉴스 5 여자앵커와 당시 前 남북의 창 여자앵커)가 대신 진행했다.*KBS의 공영방송 총 파업과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8월 30일 방송분은 여성 MC 4기와 10기 MC였던 김성은 아나운서 대신 진행했다.
    • 김솔희 아나운서의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 참여로 인하여 2018년 2월 9일부터 2018년 2월 23일까지 방송분은 現 MC(재진행)인 가애란 아나운서(現 여자 재진행 MC)가 대신 진행했으며, 4년 만에 여자MC 하차하고, KBS 뉴스 9의 여자앵커 3년만에 여자앵커로 변경하여 평일 앵커의 진행자로 이동하여 거의 7개월 동안 진행했으며 현재 아침마당 여자MC(첫 여자MC 진행시 이름 부르지 못함)로 진행 중이다.
  83. 現 해 볼만한 아침 M&W 여자MC
  84. * 2013년 4월 8일부터 2014년 4월 4일까지 이후 4년만에 여자MC 재진행 및 3번째로 여자MC의 아나운서와 재진행 에서만 휴가로 인하여 2018년 11월 12일 ~ 2018년 11월 14일 방송분은 강서은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으며, 2019년 5월 20일(6777회 방송분은 이후 다시보기 불가) ~ 5월 24일 방송분은 공채 34기 여자 동기생 정다은(34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같은 해 9월 16일부터 2019년 9월 27일까지와 2020년 11월 23일부터 2020년 11월 27일까지 방송분은 방송분은 이선영 아나운서(現. 2TV 생생정보)가 대신 2회 진행, 7377회(경북 영주 풍기 인삼 축제 현지 특집) 방송분으로 임시 여자MC, 2022년 2월 18일 전주리 아나운서(現. KBS 뉴스 5 여자앵커)가 대신 진행했으며 및 코로나 19 확진 양성 판정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2022년 4월 8일까지 방송분은 김지윤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0년 김지원 아나운서가 가애란 아나운서의 4월 3일까지 물러나고 4월 6일 진행자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교체되는 것은 아니며, 박씨 여자 아나운서가 최초로 박지현 아나운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교체되는 것은 아니며, 가애란 아나운서의 재진행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재진행하고 있다.
    • 가애란 아나운서가 2번 이상 재진행으로 2020년 이후 얼굴 모습 차이로 달라짐 및 목소리가 닮아짐, 현재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의 초대 여자MC로 진행중이며,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물러나지 않고 다른 MC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기존 여자 2번 이상 재진행 MC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었다. 2022년 출산으로 인하여 4개월 동안 중단했다.
  85. 現 KBS 930 뉴스 여자 앵커
  86. 김진희(30기) 아나운서의 7601회 방송분의 첫 여자MC의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새 여자MC의 관련된 기사가 나오지 않았다. 거의 4개월 넘게 최단기간 진행자
  87. 現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여자 재진행MC(이상 2개의 프로그램 출산휴가 4개월 만에 이후 재개함)
  88. 지난 해 2022년 8월 19일 출산휴가로 인하여 4개월 동안 중단하다가, 여자MC 이후 첫,재진행 이후 3번 이상 재진행, <7694회> 방송분은 3번이상 여자MC 재진행인데도 아쉽게 이름을 부르지 못했다. 3번 이상 재진행한 여자MC의 관련된 기사가 나오지 않았다.
  89. 1TV 편성표 및 검색결과의 이미지의 이후 2020년 3월 27일 이전에 이후 2020년 3월 31일부터 이미지 프로그램 로고 폰트를 사용하지 않고 있음
  90. 2명의 진행자의 아나운서 멘트 없이 오늘 방송 내용 하이라이트에서만 자막 처리함
  91. 2명의 진행자 중 남자 "저희는 내일 및 다음주 월요일 고향소식으로 돌아오거나 찾아 뵙겠습니다" 남자 및 여자 아나운서가 "고맙습니다"의 OP 및 오프닝 멘트를 하며, 안녕히게세요를 부르지 않고 엔딩 멘트로 한다.
  92. , 2020년 3월 30일부터 기준
  93. 해당 한회의 코너 포함한 상품소개를 현재 진행중인 여자 아나운서가 안내해드린다.
  94. 2022년 9월 12일<7615회(추석특집 2부)> ~ 부터 기준 , 7630회 방송분은 성민지 가수가 대신 패널로 출연했으며, 7734회(당신의 오랜 벗,공사창립 특집 1부) 방송분은 내고향 짝꿍(1부) 특별 코너로 출연한 현숙 가수가 특별 패널로 출연했다.
  95. 구성 박지영 촬영 백종민 김성민 연출 정한수 외주제작
  96. 구성 안윤정 촬영 이계초 조연출 이규범 연출 이문휘
  97. 외주제작, 구성 김다영 촬영 최현우 유헌용 연출 강병근 스카이픽쳐스
  98. 외주제작, 구성 박민지 촬영 양성직 연출 배민수
  99. 외주제작, 구성 안지연 촬영 장성덕 김창석 연출 한형대
  100. 외주제작, 구성 김은별 촬영 이승철 연출 최정환
  101. 외주제작, 구성 박소영/촬영 최승재,김기정,유석윤,하창성/연출 박현
  102. 외주제작, 구성 이한나/촬영 김한경 /연출 권인즈
  103. 7608회 방송분은 알파고 시나씨(귀화 캐나다 출신)(언론인)이 임시 패널로 출연했다.
  104. 외주제작, 제작진 구성 박은주/촬영 강병오, 황한수/연출 정인재
  105. 7604회 방송분은 나상도(가수)가 임시 패널로 출연을 했다.
  106. <7483회> 방송분(공사창립특집 - 착한소비 장보고) 편의 윤서령(가수)가, 7722회 김다현 국악인, 7727회 홍지윤 가수, 7732회 은가은 가수가 임시 패널로 출연했다.
  107. 외주제작, 구성 채승미/촬영 조병인,김용관,최주선/연출 김신
  108. 외주제작, 제작진 구성 오빛나/촬영 유병운/연출 김주일
  109. 2023년 1월 6일<7698회> ~ 부터 기준
  110. 7586회, 7624회 2회 방송분의 임시 패널 2회 출연, KBS 뉴스 5의 같은 해 6월 24일 ~ 7월 8일 방송분의 최후의 마지막 임시 앵커로 진행한 김진웅(46기) 아나운서가, 7698회 방송분은 이광엽(46기) 아나운서가, 7777회 방송분은 김종현 아나운서가 대신 패널로 출연했다.
  111. 외주제작, 제작진 구성 박정은 촬영 양성직,이계초 연출 김상규
  112. 외주제작, 제작진 구성 문효정 촬영 김한경 연출 홍성수
  113. 외주제작, 구성 이시화 촬영 허성억 김기민 연출 남재훈 세상기록
  114. 프로듀서 김미해 촬영 이수환 구성 오혜진 연출 손준영
  115. 제작진 구성 김국희/촬영 박성범/연출 김수연
  116. 제작진 프로듀서 염정원, 촬영 정지우 구성 김선하 연출 맹서현
  117. 연출 전보원/제작 모코미디어/구성 홍민혜
  118. <7603회>~<7617회> 까지 방송분은 송유현 리포터가 했으며, 이후 <7622회> ~ 부터 기준
  119. 제작진 프로듀서 김무성/구성 유승주/촬영 이성근/연출 박충원
  120. 프로듀서 임정 작가 김소희 연출 최성훈
  121. 외주제작 제작진 프로듀서 김광수 구성 정윤경 촬영 백윤호 제작 백민호
  122. 프로듀서 최지훈,구성 이선이 제작 오병석
  123. 프로듀서 김지훈 구성 박경미 외주제작 안춘추
  124. 외주제작 제작진 구성 오신정 촬영 조미영 연출 현상용
  125. 6981회 (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지금 만나러 갑니다] 방소분은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26. 7,000회 특집 방송분의 부제 올리지 않았으며,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27. >※ '특집' 무표기로 7,000회 만 표기했으며, 상단 특집 표기를 올리지 않았음.,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28. 7355회 '시청자 주간 특집 - 우리함께' 상단 로고 옆의 무표기.,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29. 7232회 (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지금 만나러 갑니다] 방송분은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30. 30주년 특집 5일간 특집 방송분의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31. 7694회 방송분의 남자MC가 새해 멘트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하며 여자MC 복귀 이후 이름을 부르지 못함
  132. 공사창립 50주년 특집 5부 5일간 방송분의 '당신의 오랜 벗,공사창립 기획(1부~5부 포함)' 무표기,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33. 現 KBS 뉴스 9 주말 남자 앵커
  134. 3월 16일 결방으로 인하여 다음 검색 프로그램 소개의 '결방:3.16' 무표기로 고지를 알리지 않았다.
  135. 現 KBS 뉴스 12 남자앵커

외부 링크[편집]

KBS 1TV 평일 프로그램
이전 6시 내고향 다음
동물의 왕국 [화면해설방송] KBS 뉴스 7 (KBS 1TV)

(앵커 : 강성규(진행), 박소현(42기) 아나운서)

저녁 5시 30분 ~ 6시 저녁 6시 ~ 7시

저녁 7시 ~ 7시 4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