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3TV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KBS 제3방송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 |
![]() | |
개국 | 1981년 2월 2일 |
폐국 | 1990년 12월 27일 |
네트워크 | 한국방송공사 |
언어 | ![]() |
본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8 |
후신 | EBS TV |
KBS 3TV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했던 TV채널이었다. 주로 교육, 문화, 교양 프로그램 위주로 방영하였으며, 글로벌 시대의 트랜드에 맞춘 외국어 강좌(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도 주요 단골 프로그램이었다. KBS의 다른 채널의 편성 관계상 가끔 스포츠 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방송법 개정으로 1990년 12월 27일을 기해 운영 주체가 한국교육개발원으로 넘어가면서 EBS 교육방송으로 분리되어, 현재 KBS의 송출 시스템을 공유하고 있다.
소개[편집]
1981년 2월 2일 대한민국 최초 UHF 채널로 개국하였으며 채널번호는 34번이었다가 1987년 VHF로 변경되면서 채널번호 13번으로 송출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에는 KBS가 서울올림픽 주관방송사로 지정됨에 따라 1,2TV와 동시에 서울올림픽 중계방송을 하였던 적이 있었다. 기존의 KBS 1TV나 2TV와는 달리 시사, 연예오락 위주 대신 주로 교육 프로그램 방송 편성 위주로 진행하였고 교육전문채널의 특성상 상업광고를 하지 않았다. 단점상 UHF의 시스템상 난시청이 잦아 제대로 시청하지 못하였던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서 KBS 1,2TV와 같은 기존의 VHF 방식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연혁[편집]
- 1981년 2월 2일 : 개국 및 컬러 방송 개시.
- 1982년 5월 31일 : 유아 프로그램 텔레비전 유치원(현. 딩동댕 유치원) 방영 시작.
- 1987년 3월 1일 : 수도권채널 UHF서 VHF로 바뀌어 UHF 34번에서 VHF 13번으로 변경
- 1987년 5월 11일 : 주중 방송 시작을 오후 5시 30분에서 오후 4시 30분으로 변경
- 1987년 5월 18일 : 주중 방송 시작을 오후 4시 30분에서 오후 4시로 변경
- 1987년 5월 25일 : 주중 방송 시작을 오후 4시에서 오후 4시 30분으로 환원
- 1988년 9월 : KBS가 서울올림픽의 주관 방송사로 선정되면서 비인기 종목 위주로 올림픽 중계 편성. 미국인과 영국인을 위한 프로그램 편성. (음성 다중 방송 실시)
- 1989년 4월 17일 : TV 고교 가정 학습 방송 실시.
- 1990년 12월 27일 : 운영 주체 변경에 따라서 EBS로 분리.
멘트 (ID)[편집]
폐국되기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정지된 그림 영상과 함께 여성 내레이션이 "KBS 제3텔레비전입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