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호남선

From 위키백과

호남선
호남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대전조차장역
(대전광역시 대덕구)
종점목포역
(전라남도 목포시)
역 수48
노선 번호304
개통일1911년 7월 10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SR[1]
노선 제원
영업 거리252.5 km
궤간1,435 mm
선로 수2 (전 구간)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신호 방식ATS
노선도

0.0
대전조차장
대전천
5.7
서대전 한국고속철도
유등천
정림1,2터널
갑천
11.8
가수원
괴곡터널
갑천
사진포터널
17.3
흑석리
20.7
원정
↑대전광역시/충청남도 계룡시↓
25.4
계룡 한국고속철도 (계룡시)
28.0
신도
향한,광석터널
↑계룡시/논산시↓
34.7
개태사
39.6
연산 (연산면)
44.5
부황
부황터널
50.8
논산 한국고속철도
56.5
채화[2] (채운면)
57.5
채운신호장
60.7
강경 (강경읍)
금강 하구
↑충청남도 논산시/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66.7
용동 (용동면)
71.8
함열
75.4
다산
81.2
황등 (황등면)
87.9
익산 한국고속철도
장항선 (군산역 방면)
↑익산시/김제시↓
95.3
부용
98.5
와룡
105.6
김제
↑김제시/정읍시↓
112.4
감곡
117.9
신태인 (신태인면)
정토터널
123.5
초강 (정우면)
131.4
정읍 한국고속철도
137.4
천원
141.6
노령
노령제1터널
노령제2터널↑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전라남도 장성군↓
148.6
백양사 (북이면)
상공터널
모현터널
154.3
신흥리
상평터널
160.1
안평
163.8
장성
169.6
옥정
↑전라남도 장성군/광주광역시↓
174.7
임곡
181.2
하남
185.7
광주송정 한국고속철도
↑광주광역시/전라남도 나주시↓
195.0
노안
201.5
나주 한국고속철도
203.2
영산포
구진포터널
208.9
다시
212.1
고막원
↑나주시/함평군↓
218.9
함평
함평천
↑함평군/무안군↓
226.5
무안
230.3
몽탄
236.5
명산
239.9
일로
경전선 (보성역 방면)→
↑무안군/목포시↓
245.2
임성리
249.9
동목포
252.5
목포 한국고속철도
KTX 정차

호남선(湖南線)은 경부선 대전조차장역목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역사

[edit]

광무 연간의 대한제국 정부는 서울에서 목포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수원에서 천안, 대전을 거쳐 영남으로 향하는 경부선 철도의 부설권이 일본 제국 측에 넘어가 독자적인 간선 철도 부설에는 실패한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주관하에 경부선의 지선 형식으로 호남선이 1914년 전구간 개통된다.

1910년 1월에 대전~연산 간 24.3의 공사 구간을 비롯하여 8개 공사 구간을 설정하였다. 군산과 강경 간 31.2리의 공사 구간을 1911년 3월에 착공하여 1912년 3월 6일 완공하였고,[4] 김제와 이리(현 익산) 간 11.1리의 철길을 1911년 12월에 착공, 1912년 10월 1일에 완공 개통하였다.[5] 1914년 1월 11일 전북 정읍과 전남 광주송정 간 35.5리의 공사 구간,[6]을 끝으로 대전과 목포 간 호남선 철도 부설 공사를 완료하였다. 호남선 공사의 궤도 연장거리는 198.3리이며, 그 사이에 터널 9개소, 교량이 193개소, 구교가 286개소인데, 경부선과 연결역인 대전역을 개축 확장한 것 외에 27개소의 역사를 설치하였다.[7] 조선총독부한일 병합 후 단기간에 호남선 철로를 완공하였는데 호남평야 등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수송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당시 호남선은 대전역에서 경부선 김천, 부산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1978년 3월에 대전조차장역에서 서대전역을 거쳐 이리역에 이르는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당시에는 현재의 대전선구간인 대전역-서대전역구간이 호남선이었는데, 현재의 대전선 구간은 복선화가 되지 않았다. 호남선 이리역 이남구간 복선화공사는 1981년 2월부터 시작되었는데, 1988년 9월 6일에 광주시내의 송정리역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8]

호남선 가운데 단선구간으로 남아있는 송정리~목포 간 70.8km의 복선공사는 1992년까지 타당성 조사를 한 뒤 1995년 9월 20일 착공했다. 이 송정리(현재의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송정리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1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한편, 익산~목포 구간은 복선화와 함께 선형개량도 시행되었는데, 특히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선형개량은 상당히 큰 폭으로 이루어졌다.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호남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경부선경부고속선과 직결 운행하는 고속열차가 호남선에도 운행되기 시작하였다.[9] 이와 동시에 기점이 대전역에서 대전조차장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이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호남고속철도는 기존선을 운행하는 데다가 특히 서대전역~논산역 구간의 선형이 불량하여 소요 시간이 경부고속철도와 큰 차이를 보였고,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까지 발생했다. 이는 호남고속선 건설 추진의 한 원인이기도 하였고, 2015년 4월 2일호남고속선이 개통되었다.

연혁

[edit]

일제강점기 시절

[edit]

해방이후 단선철도 시절

[edit]

복선화 시대

[edit]

전철화 시대

[edit]

역 목록

[edit]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S K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부선 용산역 방면
대전조차장 Daejeon jochajang 大田操車場





대전북연결선
경부선
- 0.0 대전광역시 대덕구
서대전 Seodaejeon 西大田 대전선 5.7 5.7 중구
가수원 Gasuwon 佳水院 6.1 11.8 서구
흑석리 Heukseok-ri 黑石里 5.5 17.3
계룡 Gyeryong 鷄龍 8.1 25.4 충청남도 계룡시
개태사 Gaetaesa 開泰寺 9.3 34.7 논산시
연산 Yeonsan 連山 4.9 39.6
부황 Buhwang 夫皇 4.9 44.5
논산 Nonsan 論山 6.3 50.8
채운 Chaeun 彩雲 강경선 6.7 57.5
강경 Ganggyeong 江景 3.2 60.7
용동 Yongdong 龍東 6.0 66.7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열 Hamyeol 咸悅 5.1 71.8
황등 Hwangdeung 黃登 9.4 81.2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3.7 84.9
익산 Iksan 益山 전라선
장항선
3.0 87.9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0.4 182.9
부용 Buyong 芙蓉 7.4 95.3 김제시
김제 Gimje 金堤 7.1 105.6
감곡 Gamgok 甘谷 6.8 112.4 정읍시
신태인 Sintaein 新泰仁 5.5 117.9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6.9 130.4
정읍 Jeongeup 井邑 1.0 131.4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1.0 132.4
천원 Cheonwon 川原 5.0 137.4
노령 Noryeong 蘆嶺 4.2 141.6
백양사 Baegyangsa 白羊寺 7.0 148.6 전라남도 장성군
안평 Anpyeong 安平 장성화물선 11.5 160.1
장성 Jangseong 長城 3.7 163.8
임곡 Imgok 林谷 10.9 174.7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 Hanam 河南 6.5 181.2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1.0 182.2
북송정 Buksongjeong 北松汀 북송정삼각선, 광주선 1.8 184.0
광주송정 Gwangjusongjeong 光州松汀 광주선, 경전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
1.7 185.7
노안 Noan 老安 9.3 195.0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 Naju 羅州 6.5 201.5
다시 Dasi 多侍 7.4 208.9
고막원 Gomagwon 古幕院 3.2 212.1
함평 Hampyeong 咸平 6.8 218.9 함평군
무안 Muan 務安 7.6 226.5 무안군
몽탄 Mongtan 夢灘 3.8 230.3
일로 Illo 一老 대불선 9.6 239.9
임성리 Imseong-ri 任城里 5.3 245.2 목포시
목포 Mokpo 木浦 7.3 252.5

지선 노선

[edit]

호남선에는 총 4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노선 명칭 기점 종점 연장(km) 비고
30401 강경선 채운역 연무대역 5.8
30402 북송정삼각선 북송정역(호남선) 북송정역(경전선) 1.0
30403 대불선 일로역 대불역 12.0
30404 장성화물선 안평역 장성화물역 3.6
강경선
북송정삼각선

북송정삼각선은 경전선과 호남선을 연결하는 삼각선으로, 호남선 북송정역과 경전선 북송정분기를 잇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402이다.

대불선
장성화물선

호남선의 교통량

[edit]

열차 통과량

[edit]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호남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새마을 무궁화 일반화물 운행총계
대전조차장 - 익산 180 10 11 12 3 36
익산 - 광주송정 163 2 8 8 2 20
광주송정 - 목포 191 27 4 6 0 37

이용객 변동

[edit]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3]
통일(통근) 698,664 588,131 518,489 569,024 351,830 273,067 222,535 0 0 0 0 0 0 0 0 0
무궁화 5,087,733 5,279,892 4,973,711 4,793,653 4,288,672 4,144,480 3,907,457 3,956,660 4,004,294 3,838,555 4,040,569 4,457,020 4,459,780 4,480,438 4,303,642 3,942,264
새마을 773,081 821,986 776,436 720,828 691,534 614,371 594,889 653,266 659,359 698,636 820,118 771,437 607,801 585,154 721,554 1,028,223
KTX 미개통 1,320,990 2,379,957 2,720,430 2,728,641 2,875,343 2,890,489 3,078,450 3,314,926 3,250,015 3,272,775 3,245,170 2,101,986
건설 154,712 156,022 159,221 147,276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90,673 108,987 149,730 156,256
합계 6,804,863 6,955,018 6,577,587 6,387,037 6,653,026 7,411,875 7,445,311 7,338,567 7,538,996 7,427,680 7,939,137 8,543,383 8,317,596 8,338,367 8,270,366 7,072,473

미래

[edit]

서대전∼논산구간 호남선 직선화가 추진중이며, 2021년 7월 5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도 포함되었다. 2022년 8월 24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B/C 0.61, AHP 0.505로 통과했다.[24] 추가로 호남선 여유 선로용량 토대로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이 추진중이다.[25]

같이 보기

[edit]

외부 링크

[edit]

각주

[edit]
  1. 광주송정~목포 SRT 열차만 운행
  2. 구 호남선 노선은 국토지리정보원 구지도 참조 [1]
  3. (2001년 폐지)
  4. “1912년 3월 6일부터 호남선 내강경과 군산 간 철도운수영업을 개시”(明治45年3月6日ヨリ湖南線ノ內江景群山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其ノ哩程左ノ通但シ咸悅及地境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조선총독부 고시 제29호, 1912년 2월 6일.
  5. “1912년 10월 1일부터 내이리(현 익산)와 김제 간 철도운수영업을 개시”(大正元年10月1日ヨリ湖南線ノ內裡里金堤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新設停車場及哩程左ノ通但シ芙蓉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조선총독부 고시 제30호, 1912년 9월 12일
  6. “1914년 1월 11일부터 호남선 정읍과 광주송정 간 철도운수영업을 개시”(大正3年1月11日ヨリ湖南線井邑松汀里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新設停車場及哩程左ノ如シ但シ四街里及林谷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조선총독부 고시 제421호, 1913년 12월 26일
  7. 익산의 교통통신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8. “호남선 복선 완전개통”. 《KBS 9시뉴스》. 1988년 9월 6일. 
  9. 개통식은 2004년 3월 24일에 있었다.
  10. 서룡연 기자 (1978년 3월 30일). “호남선(대전~이리)복선화의 의의”. 《매일경제》. 
  11. “이리∼정주 복선화 완공”. 《중앙일보》. 1985년 11월 15일. 
  12. “정주∼장성 철도 35.2㎞ 복선개통”. 《중앙일보》. 1987년 12월 4일. 
  13. 이재천 기자 (1988년 9월 6일). “복선화 완성된 호남선, 호남권 발전에 기여”. 《MBC뉴스데스크》. 
  14.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15. “호남선 복선화 선로 개통”. 《KBS 9시뉴스》. 2003년 12월 15일. 
  16. 김양훈 기자 (2004년 3월 24일).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식”. 《MBC뉴스데스크》. 
  17.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18.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84호, 2005년 9월 12일.
  19.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215호, 2006년 6월 23일.
  20.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853호, 2012년 12월 5일.
  2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2017년 12월 8일
  2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23.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24. 이동훈 기자 (2022년 8월 24일). “호남선 고속화 사업 예타 통과…지역균형발전 기대”. 《KBS대전》. 
  25. 유효상 기자 (2023년 1월 25일).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연내 착공 등 본격화”.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