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립토판
![]() | |
이름 | |
---|---|
IUPAC 이름
Tryptophan or (2S)-2-amino-3-(1H-indol-3-yl)propanoic acid
| |
별칭
2-Amino-3-(1H-indol-3-yl)prop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0.723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1H12N2O2 | |
몰 질량 | 204.229 g·mol−1 |
Soluble: 0.23 g/L at 0 °C, 11.4 g/L at 25 °C, | |
용해도 | Soluble in hot alcohol, alkali hydroxides; insoluble in 클로로포름. |
산성도 (pKa) | 2.38 (carboxyl), 9.39 (amino)[1] |
자화율 (χ)
|
-132.0·10−6 cm3/mol |
약리학 | |
N06AX02 (WHO)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트립토판(영어: tryptophan)은 인간영양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이다. 트립토판은 유전코드로 암호화된 20여개의 아미노산 중 하나로, 지정 코돈은 UGG이다. 포유류 단백질에서 오직 L형 트립토판만이 등장하지만, 때때로 D형 트립토판도 해안 생명체의 독성 펩티드인 콘트립판과 같은 자연물질들에서 발견된다. 트립토판의 주목할 만한 구조적 특징은 인돌기(indole-)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조[편집]
여러 종류의 식물과 박테리아들이 시키미산이나 안트라닐레이트를 전구체로 트립토판을 합성한다. 공업적으로는 유전자 변형된 E. Coli나 C. Glutamicum 등을 이용해 세린과 인돌을 생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추출[편집]
트립토판은 카세인(casein)의 가수분해 산물로부터 얻어진다. 600g의 미정제 카세인은 대략 4~8g의 트립토판을 포함하고 있다.
기능[편집]
트립토판은 필수아미노산이다.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동물이 스스로 트립토판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트립토판은 식품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트립토판을 포함하는 아미노산들의 가장 중심적인 역할은 단백질 생합성의 재료로 쓰인다는 것이다. 또한 트립토판은 다음의 전구체로 작용한다.
5-HTP는 대사물질을 거쳐서 뇌내물질 , 수면호르몬, 비만 개선 효과가 있는 세로토닌 또는 니아신(niacin) 등 인간의 건강에 필수적인 물질로 변환된다.
급원 식품[편집]
식이단백질의 한부분으로 발견되는 트립토판은 초콜릿, 귀리, 우유, 요구르트, 치즈, 붉은고기, 달걀, 생선, 가금(특히 칠면조) , 참깨, 이집트콩, 해바라기씨, 호박씨, 땅콩과 같은 식품들에 특별히 많다. 여러 종류의 음식에서의 트립토판 함량
음식 | 트립토판함량(음식 100g당 mg량) |
소고기 | 230 |
우유 | 42 |
에담치즈 | 325 |
달걀 | 165 |
밀가루 | 100 |
감자 | 83 |
소시지 | 93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Dawson RM, 외. (1969).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Oxford: Clarendon Press. ISBN 0-19-8553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