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소류신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이름 | |||
---|---|---|---|
IUPAC 이름
Isoleucine
| |||
별칭
(2S,3S)-2-amino-3-methylpent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0.726 |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6H13NO2 | |||
몰 질량 | 131.175 g·mol−1 | ||
자화율 (χ)
|
−84.9·10−6 cm3/mol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아이소류신(Isoleucine, 또는 이소류신, 생략하여 IIe, 혹은 I로 쓰기도 한다)[1]은 알파 아미노산으로 화학식은 HO2CCH(NH2)CH(CH3)CH2CH3이다. 아이소류신은 필수 아미노산이며, 이 뜻은 사람은 이걸 합성하지 못하며, 아이소류신을 섭취해야만 된다는 뜻이다. 아이소류신의 코돈은 AUU, AUC, AUA가 있다.
옆에 달린 수소-탄소 체인으로 인하여, 아이소류신은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분류된다. 트레오닌과 마찬가지로, 아이소류신은 거울상이 있는 아미노산 중 하나다. 4개의 입체 이성체가 가능하며, 그중 2개는 L-아이소류신의 부분 입체 이성체다. 그러나, 현재 자연상에 존재하는 아이소류신은 하나의 거울상인(2S, 3S)-2-amino-3-methyl-Pentanoic 산만 가지고 있다.
BCAA[편집]
이소류신은 BCAA이다.
참고 문헌[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IUPAC-IUBM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Recommendations on Organic & Biochemical Nomenclature, Symbols & Terminology etc》. 2007년 5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