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신

![]() L-Leucine
| |
![]() | |
이름 | |
---|---|
IUPAC 이름
Leucine
| |
별칭
2-Amino-4-methylpent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0.475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6H13NO2 | |
몰 질량 | 131.175 g·mol−1 |
산성도 (pKa) | 2.36 (carboxyl), 9.60 (amino)[1] |
자화율 (χ)
|
-84.9·10−6 cm3/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류신(영어: leucine)은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백색 결정이 되는 것으로부터, 그리스어로 "희다"를 의미하는 "λεύκ-(레픜/레욱)"에 연관되어 명명되었다.
섭취[편집]
식품 첨가물로서의 류신은 E 번호에서 E641로, 향미증진제로 분류된다.[2]
미국 의학 연구소의 식품 영양 위원회(Food and Nutrition Board, FNB)가 2002년 설정한 필수 아미노산에 대한 권장 식이 허용량(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은 19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42 mg/kg bw/day이다.[3]
가지사슬 아미노산[편집]
류신은 가지사슬 아미노산이다. 류신은 아이소류신, 발린과 함께 가지사슬 아미노산이며,
(류신) | (이소류신) | (발린) | (라이신) | (트레오닌) | (페닐알라닌)+티로신 | (메티오닌)+시스테인 | (트립토판) |
약2.0 | 약1.0 | 약1.2 | 약2.0 | 약 1.0 | 약 2.5 | 약 1.0 | 약 0.3 |
약18% | 약11% | 약10% | 약18% | 약 11% | 약 22% | 약 11% | 약 3% |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필수 아미노산의 일 평균 필요량 중 약 40%를 차지한다.[4]
각주[편집]
- ↑ Dawson, R.M.C., et al.,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Oxford, Clarendon Press, 1959.
- ↑ Winter, Ruth, 1930- (2009). 《A consumer's dictionary of food additives》 7판. New York: Three Rivers Press. ISBN 978-0-307-40892-1.
- ↑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2005년 10월 28일. doi:10.17226/10490.
- ↑ [참고](보건복지부․한국영양학회,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https://www.nibiohn.go.jp/eiken/kenkounippon21/download_files/foreign/foreign_kijun_korea.pdf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