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화율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2월) |
물리학 | |
---|---|
물리학이 다루는 여러 자연 현상![]() | |
주요 개념 | |
물질, 힘, 에너지, 운동, 기본 상호작용 | |
주요 분야 | |
자화율(磁化率、magnetic susceptibility)이란、자기 분극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성값이다. 자기 감수율[1], 자기화율[2]이라고 하기도 한다.
정의[편집]
외부로부터 자기장 H가 주어지면 일반적인 자성체에는 자기분극 Pm이 생기고, H와Pm는 비례한다。그 관계는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계수 이(정적) 자화율이다. μ0는 진공의 투자율이다。μ0H와Pm가 모두 자속밀도의 단위를 가지므로、χ는 단위가 없다. 때로는 Pm=χmH과 같이 투자율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Pm과 H를 연결하는 계수를 χm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χm는 투자율과 같은 단위를 갖는다.
투자율과의 관계[편집]
의 관계가 있으므로、위의 Pm의 정의인 Pm=χmμ0H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그리고 투자율 μ1인 물질 내부에서 자기밀도와 자기장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B=μ1H로 쓸 수 있다. 두 식을 비교하면
와 같다. 즉, 물질의 투자율은 진공의 투자율을 (1+χm)배한 것이다。또 비투자율μr(r=μ1/μ0로 정의됨)을 이용하면
따라서 (1+χm)=μr이 된다。
관련항목[편집]
각주[편집]
- ↑ 이, 준규 (2016년). “물리학용어집 2016 수정 용어집”. 《한국물리학회》. 2018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8일에 확인함.
- ↑ “화학정보 - 화학술어”. 《대한화학회》. 2014년 9월. 2018년 6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