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르트산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 |
별칭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0.265 |
EC 번호 |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4H7NO4 | |
몰 질량 | 133.103 g·mol−1 |
겉보기 | colourless crystals |
밀도 | 1.7 g/cm3 |
녹는점 | 270 °C (518 °F; 543 K) |
끓는점 | 324 °C (615 °F; 597 K) (decomposes) |
4.5 g/L[2] | |
산성도 (pKa) |
|
짝염기 | Aspartate |
자화율 (χ)
|
-64.2·10−6 cm3/mol |
위험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아스파라긴산 또는 아스파르트산(Asp, D) 또는 아스파트산(Aspartic acid)은 그것의 음이온의 이름인 아스파르테이트(이온 형태 aspartate)로 알려져 있는 20개의 중요한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20개의 아미노산들이 그렇듯이, 아스파르트산을 일컫는 두가지 생략형이 있다. 하나는 Asp(3글자)이며, 또 하나는 D(1글자)이다. 때때로 아스파라긴과 합쳐서 Asx(3글자) 또는 B(1글자)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아스파르트산은 아스파라긴과 유사하게 생긴 카르복실산이다. 아스파르트산은 포유류에게 있어서 비필수 아미노산이다. 아스파르트산은 또한 요소사이클의 반응산물이며, 당신생성에 관여한다. 비록 그리 강력한 증거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신경전달물질로서 아스파르트산은 피로를 억제해서 지구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아스파르트산을 지정하는 코돈은 GAU와 GAC이다.
요소회로와 시트르산회로의 링크회로[편집]
생화학적으로 다루어보아도 질소를 다루는 요소회로 주기는 시트르산 회로(TCA회로) 주기에서 질소를 트랜스아미네이션(transamination)할 수 있는 옥살로아세트산과 연결됨으로써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데 이는 옥살(로)아세트산이 아스파르트산으로 변형되어 이어서 요소회로의 아르기니노숙신산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한다. 이렇게 진입된 아르기니노숙신산은 푸마르산으로 분리되며 요소회로에서 분기되어 말산(malate)으로 생성되어 다시 시트르산회로(TCA회로)에 재진입하는 링크를 확보하게 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4] 한편 아스파르트산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cytosol)로 수송될 수 있는 경로를 가지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참고[편집]
- ↑ Budavari, Susan; Co, Merck (1989). 〈862. Aspartic acid〉. 《The Merck Index》 11판. 132쪽. ISBN 978-0-911910-28-5.
- ↑ “ICSC 1439 - L-ASPARTIC ACID”. 《inchem.org》.
- ↑ Haynes, William M., 편집. (2016).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7판. CRC Press. 5–89쪽. ISBN 978-1498754286.
- ↑ [참고](Am J Clin Nutr. 1977 Dec;30(12):2083-7. Urea biosynthesis I. The urea cycle and relationships to the citric acid cycle. Shambaugh GE 3rd.)https://www.ncbi.nlm.nih.gov/pubmed/337792
![]() |
이 글은 생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