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아리콩
![]()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Cicer arietinum |
병아리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집트콩이라고도 한다. 씨의 전체적인 외관이 병아리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특징이 있으며, 맛은 밤맛이 나고 풍부한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다. 주로 중동 지역에서 자라며,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기원전 7,500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재배된 콩류 중 하나이다.[1]
종류[편집]
여러 종류가 있으나,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 병아리콩: 껍질의 색이 희거나 노란색이며, 알이 굵고 식감이 부드럽다.
- 벵골콩: 껍질의 색이 검은 색을 띄며, 알이 작다. 껍질을 벗겨 반으로 가른 짜개가 "차나 달(चना दाल)"이라 불리며 남아시아 요리에 흔히 쓰인다.
벵골콩 짜개
영양성분[편집]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686 kJ (164 kcal) |
27.42 g | |
2.59 g | |
포화지방 | 0.269 g |
단일불포화지방 | 0.583 g |
다불포화지방 | 1.156 g |
8.86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0% 1 μg |
티아민 (B1) | 10% 0.116 mg |
리보플라빈 (B2) | 5% 0.063 mg |
나이아신 (B3) | 4% 0.526 mg |
판토테산 (B5) | 6% 0.286 mg |
비타민 B6 | 11% 0.139 mg |
엽산 (B9) | 43% 172 μg |
비타민 B12 | 0% 0 μg |
비타민 C | 2% 1.3 mg |
비타민 E | 2% 0.35 mg |
비타민 K | 4% 4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5% 49 mg |
철분 | 22% 2.89 mg |
마그네슘 | 14% 48 mg |
인 | 24% 168 mg |
칼륨 | 6% 291 mg |
나트륨 | 0% 7 mg |
아연 | 16% 1.53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60.21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병아리콩은 고영양 식품으로 특히 고단백질, 풍부한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 외에 여러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100g의 삶은 병아리콩은 164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대비 60%의 물, 27%의 탄수화물, 9%의 단백질, 3%의 지방을 함유하는데 특히 지방의 75%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있다.
소비[편집]
식품으로 주로 사용되며 동물의 사료로도 이용된다. 병아리콩을 이용한 것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훔무스가 있는데 병아리콩, 타히니, 올리브기름, 레몬주스, 소금, 마늘 등을 섞어 으깬 소스이며, 레바논이나 이집트 등 중동의 향토음식이다. 단백질의 비중이 높고 지방이 적다. 훔무스는 연한 노란색에 무스 형태의 되직한 질감으로, 고소한 맛을 내며 빵에 발라먹는 용도로 사용한다. 병아리콩을 삶거나 쪄낸 다음 올리브 오일과 각종 향신료를 섞어 함께 갈아내어 만든다. 이때 얼마나 더 오래 가느냐에 따라 더 씹히는 식감 혹은 매끄러운 식감으로 바뀐다. 혹은 불린 병아리콩을 삶아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인도식 카레에 렌즈콩과 같은 용도로 들어간다. 그 외에 두부를 만들거나 스낵을 만드는 재료로도 쓰인다. 인도에서는 덜자란 병아리콩을 줄기에 달린 상태로 거리에서 파는데 깍지를 까서 간식삼아 먹기도한다.
주요 산지 및 생산량[편집]
병아리콩의 주요 재배지는 인도, 파키스탄, 호주, 중동지역, 서부아시아, 아프리카 북부 등이며 특히 인도는 최대 생산 소비국이다. 아래의 도표는 그 생산량의 영문자료이다.
순위 (2013) | 국가 | 2010 | 2011 | 2012 | 2013 |
---|---|---|---|---|---|
1 | ![]() |
7,480,000 | 8,220,000 | 7,700,000 | 8,832,500 |
2 | ![]() |
602,000 | 513,338 | 673,371 | 813,300 |
3 | ![]() |
561,500 | 496,000 | 291,000 | 751,000 |
4 | ![]() |
530,634 | 487,477 | 518,000 | 506,000 |
5 | ![]() |
441,493 | 473,102 | 500,000 | 490,000 |
6 | ![]() |
284,640 | 322,839 | 409,733 | 249,465 |
7 | ![]() |
267,768 | 290,243 | 315,000 | 295,000 |
8 | ![]() |
131,895 | 72,143 | 271,894 | 209,941 |
9 | ![]() |
128,300 | 90,800 | 161,400 | 169,400 |
10 | ![]() |
87,952 | 99,881 | 151,137 | 157,351 |
— | 전 세계 | 10,897,040 | 11,497,054 | 11,613,037 | 13,102,023 |
출처: FAO[2] | 출처: FAO[3] |
재배[편집]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재배되며 특히 수확시기에 건조한 기후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꼬투리 상태에서 발아되는 경우가 생기며 그 외에도 곰팡이에 의한 병해를 입을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Philologos (2005년 10월 21일). “Chickpeas — On Language”. The Jewish Daily Forward. 2009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4. 2019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Chickpea, International Crops Research Institute for the Semi-Arid Tropics
- (영어) PlantVillage Chickpea entry with details on propagation, diseases and pests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