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우유(牛乳), 소젖, 쇠젖 또는 타락(駝酪)은 소의 젖을 말하며, 소에서 바로 얻은 "생유" 외에도 지방을 제거하거나 유당을 분해한 제품을 포함한다. 그밖에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재료와 화학조미료를 섞어서 만든 음료(커피 우유, 딸기우유, 초콜릿 우유, 검은콩우유 등)도 포함한다. 우유는 연유, 버터, 생크림, 치즈,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요거트, 분유 등 여러가지 유제품으로 가공된다. 가공된 우유는 일반 우유보단 건강에 좋지 않지만 달달하거나 고소한 맛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있다.
영양소[편집]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252 kJ (60 kcal) |
5.26 g | |
당분 | 5.26 g 5.26 g |
3.25 g | |
포화지방 | 1.865 g |
단일불포화지방 | 0.812 g |
다불포화지방 | 0.195 g |
3.22 g | |
트립토판 | 0.075 g |
트레오닌 | 0.143 g |
아이소류신 | 0.165 g |
류신 | 0.265 g |
라이신 | 0.140 g |
메티오닌 | 0.075 g |
시스틴 | 0.017 g |
페닐알라닌 | 0.147 g |
티로신 | 0.152 g |
발린 | 0.192 g |
아르기닌 | 0.075 g |
히스티딘 | 0.075 g |
알라닌 | 0.103 g |
아스파르트산 | 0.237 g |
글루탐산 | 0.648 g |
글라이신 | 0.075 g |
프롤린 | 0.342 g |
세린 | 0.107 g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6% 46 μg |
티아민 (B1) | 4% 0.044 mg |
리보플라빈 (B2) | 15% 0.183 mg |
비타민 B12 | 19% 0.45 μg |
콜린 | 3% 14.3 mg |
비타민 D | 0% 2 IU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1% 113 mg |
마그네슘 | 3% 10 mg |
칼륨 | 3% 132 mg |
나트륨 | 3% 43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88.32 g |
100 mL corresponds to 103 g.[1] |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우유는 영양소들이 많아 완전식품이라고도 불리며, 단백질이 아주 많아 씹으면 고기 맛이 살짝 난다.
우유는 성장에 필요한 칼슘, 단백질 등이 풍부하여 성장기의 어린이, 청소년에게 매우 유익하며, 이를 완전식품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우유를 소화시키려면 락테이스(lactase)라는 유당 분해 효소가 필요하지만, 많은 사람들(특히 몽골 인종)이 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효소가 결핍된 사람이 무리하게 우유를 섭취할 경우 설사와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2] 또한 체질에 따라 우유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우유의 등급[편집]
미국에서는 우유를 W와 M, 이렇게 두 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놓았는데 W급은 주로 가게에서 직접 판매하고 소비하는 데 쓰이며 M급은 치즈 제작이나 다른 가공을 위한 간접적인 소비를 위해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편의점 화면에 "저지방 우유"라는 제품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지방 함량을 2% 이하로 줄인 우유를 말한다. 일반 우유와 달리 지방 함량이 적어 다이어트,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큰 효과는 없는것으로 밝혀졌다. 저지방 우유를 만들기 위해 지방을 분리시킨 뒤, 분리된 지방으로 버터나 생크림 등 다른 유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
우유에 대한 비판[편집]
임상의학의 세계적 권위자이자 하버드 대학교 교수인 월터 월렛은 광범위한 조사 끝에 유제품과 관련한 미국 농무부의 권고를 말그대로 우스꽝스럽다며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3][4][5]
- 우유가 골절을 예방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시킨다. 유제품과 칼슘 소비가 적은 아프리카, 아시아 등의 지역에서는 골다공증 발생률도 낮았다.
- 칼슘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뼈를 보호해주지는 않을 뿐더러 우유에서만 특별히 얻을 수 있지도 않다. 비타민D가 더 중요하다.
- 유제품 섭취는 건강한 세포뿐만아니라 그렇지않은 세포(암)도 촉진하는 인슐린 유사성장인자-1의 수치를 증가시킨다.
- 세계인의 75% 또는 3/4는 선천적으로 유제품 소화능력이 떨어진다. 이는 호모사피엔스의 역사에서 목축을 시작한 것이 1만년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 유제품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미국의 저명한 의사인 마크 히먼은 '유제품을 끊어야 할 여섯 가지 이유'라는 제목의 동영상에서 유제품을 권하는 미국 농무부의 권고를 적극 비판한다. 그는 농무부의 권고 식품을 만드는 위원들 중에는 낙농업계 종사자들이 있고, 낙농업계에 고용된 로비스트들 또한 끊임없이 정책결정에 자신들의 이익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의 유제품과 건강간 관계에 대한 조사를 인용하며 유제품이 뼈건강과 골다공증 예방에 좋다는 증거는 없으며 유제품이 오히려 뼈손실을 초래할 수 있고, 전립선암과 심장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고 말한다.[6]
존 맥두걸은 육류와 우유 등 동물성 식품이 보통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건강에 해롭다고 주장한다. 우유와 고기가 칼슘을 공급하여 뼈를 튼튼하게하고, 필수적인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은 낙농업계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개발한 논리라는 것이다. 1970년대 맥두걸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그는 녹말음식과 채식위주의 식사가 인체에 가장 이상적인 영양소를 공급하며, 동물성 단백질 식품은 오히려 신체에 해악을 끼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유제품은 근본적으로 60파운드의 송아지를 600파운드로 만들기 위해 과도하게 많은 단백질과 호르몬, 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으며 많은 양의 채소와 같이 섭취하지 않을 경우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7][8][9]
같이 보기[편집]
- 우유를 이용한 요리
각주[편집]
- ↑ Jones, Alicia Noelle (2002). “Density of Milk”. 《The Physics Factbook》. 2011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우유가 완전 식품이라고?」, 《오마이뉴스》, 2008.6.10.
- ↑ Walter Willett’s food fight Archived 2017년 4월 27일 - 웨이백 머신 보스턴 글로브. 2013년 7월 28일
- ↑ Drinking milk not essential for humans despite belief it prevents osteoporosis, nutritionist says
- ↑ Got Proof? Lack of Evidence for Milk's Benefits 허핑턴 포스트.
- ↑ 마크 히먼: 유제품을 끊어야 할 여섯 가지 이유
- ↑ When Friends Ask: “Why Don’t You Drink Milk?” Archived 2017년 3월 24일 - 웨이백 머신The McDougall Newsletter Vol. 6, No. 3
-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Got the Facts on Milk?)
- ↑ Dr. John McDougall Medical Message: The Dairy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