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빈 안씨
![]() 善嬪 安氏 | |
---|---|
지위 | |
조선 태종의 후궁 | |
이름 | |
별호 | 숙선옹주(淑善翁主)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1468년 6월 17일 (음력) |
부친 | 안의(安義) |
배우자 | 태종 |
자녀 | 2남 2녀 혜령군, 익녕군, 경신옹주, 숙안옹주 |
선빈 안씨(善嬪 安氏, ? ~ 1468년 6월 17일) 또는 숙선옹주(淑善翁主)는 조선 태종의 후궁이다.
생애[편집]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검교 한성윤(檢校 漢城尹) 안의(安義)의 딸로 궁인으로 입궁하였다가 태종의 후궁이 되었으며, 1421년(세종 3년)에 숙선옹주(淑善翁主)에 봉해지고 그 아버지는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직을 제수받았다.[1]
1430년(세종 12년) 영평군(鈴平君) 윤계동(尹季童)과 집터 문제를 가지고 다투어 송사하였다.[2]
1468년(세조 14년) 5월, 딸인 경신옹주와 노비와 전답의 재산 분배를 둘러싸고 갈등을 벌여, 선빈 안씨는 상서를 올려 딸의 불효를 호소하였다.[3] 의금부에서 관련 있는 자들을 국문하였는데, 이 송사로 경신옹주는 녹봉을 빼앗기고 노비와 전답의 일부를 어머니 숙선옹주에게 반환하였으며, 경신옹주의 아들 이효충은 직첩을 거두고 외방으로 쫓겨났다.[4]
선빈 안씨는 돌려받은 노비와 토지의 일부를 며느리인 익녕군의 아내 박씨와, 본인의 외손자이자 숙안옹주의 아들인 황호, 황징 형제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선빈 안씨와 경신옹주 모녀의 다툼에 익녕군의 처 박씨와 황호, 황징 형제가 의기 투합하여 임종이 가까운 선빈 안씨를 조종하였으나, 후에 황호, 황징 형제가 이를 뉘우쳤다고 기록하고 있다.[4] 이들 모녀의 송사는 예종, 성종 대에도 회자되었으며 예종은 경신옹주에게 녹봉을 되돌려 주었다.
1468년 6월 17일 사망하였다. 1872년(고종 9년), 정1품 선빈(善嬪)으로 추증되었다.
사후[편집]
숙선옹주(선빈)안씨 묘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봉화산 기슭에 있다. 『경국대전』 반포 이전 후궁에게도 '옹주'의 용어가 사용된 사실을 알려주는 실물 자료로 역사적 가치가 있고, 조선 세조때 예장된 묘제 석물(묘비, 상석, 장명등, 문석인 1쌍, 산신제석)이 잘 남아있어 2019년 6월 7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되었다. 숙선옹주로가 숙선옹주(선빈)안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 안의(安義, 생몰년 미상)
- 어머니 : 미상
- 남편 : 태종(太宗, 1367 ~ 1422)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각주[편집]
- ↑ 《세종실록》 12권, 세종 3년(1421년) 5월 11일(임신)
- ↑ 《세종실록》 50권, 세종 12년(1430년) 10월 10일(정축)
- ↑ 《세조실록》 46권, 세조 14년(1468년 명 성화(成化) 4년) 5월 16일(을해)
숙선옹주가 노비 분배 문제로 인한 경신옹주와의 송사의 빠른 해결을 요구하다 - ↑ 가 나 《세조실록》 46권, 세조 14년(1468년 명 성화(成化) 4년) 6월 14일(임인)
경신옹주의 녹봉을 빼앗고 이효충의 고신을 거두어 외방으로 보내다 - ↑ 사직(司直) 증찬성(贈贊成) 윤변의 딸.
- ↑ 절제사 증 찬성 박종지(節制使 贈 贊成 朴從智)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