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 허씨
![]() | |
---|---|
지위 | |
후궁 (숙의) | |
이름 | |
별호 | 허희(許姬)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623년 이후 |
사망지 | 조선 |
왕조 | 조선 |
부친 | 허경 |
모친 | 평산 신씨 |
배우자 | 광해군 |
자녀 | 없음 |
숙의 허씨(淑儀 許氏, ? ~ 1623년 이후)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이다.
생애[편집]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으로, 정식으로 간택을 받은 간택후궁이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으며, 아버지는 양천 허씨 허경이고[1] 어머니는 평산 신씨이다.[2]
1613년(광해군 5년) 음력 12월 30일 종2품 숙의에 선발되어 후궁이 되었다. 이때 허씨의 아버지는 의금부 도사였는데, 허씨가 후궁이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담양부사가 되었다가 광해군의 밀지로 사헌부 지평이 되었다. 그 외에도 허씨 일족이 높은 관직에 제수되고 뇌물이 폭주하였으며, 이는 허씨 뿐 아니라 광해군의 다른 후궁들의 일족들도 마찬가지였다고 기록되어 있다.[3] 한편 이후에도 허경은 풍저창 주부,[4] 지평[5] 등에 제수되었는데, 이를 두고 《광해군일기》의 사관은 그가 허씨의 아버지라는 이유로 순서를 무시하고 관직을 제수받았다고 비판하였다.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자, 허씨는 그 해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6] 이후 사가에서 지냈으며, 허씨가 사망할 때까지 조씨 성의 상궁이 돌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2]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소생은 없었다. 한편 《광해군일기》에 그녀를 종4품 숙원으로 칭한 기록이 나타나는데,[4] 날짜가 숙의로 입궁한 후인 것으로 보아 단순한 오기로 보인다.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 허경(許儆, 1566~1617?[7])
- 어머니 : 평산 신씨
- 오빠[8] : 허자(許秭)
- 오빠 : 허직(許稷)
- 남매 : 허익(許䄩)
- 남매 : 허륙(許稑)
- 동생 : 홍규의 처
- 동생 : 이방진의 처
- 동생 : 이창선의 처
- 동생 : 한재의 처
- 시아버지 : 제14대 선조(宣祖, 1552~1608, 재위:1567~1608)
- 시어머니 : 공빈 김씨(恭嬪 金氏, 1553~1575)
- 남편 : 제15대 광해군(光海君, 1575~1641, 재위:1608~1623)
출처[편집]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허경〉항목
- ↑ 가 나 김창겸 외 (2015년 7월 10일).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72쪽. ISBN 9791186178669.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광해군일기 중초본 73권, 광해 5년 12월 30일 계축 2번째기사
- ↑ 가 나 광해군일기 중초본 79권, 광해 6년 6월 5일 병술 2번째기사
- ↑ 광해군일기 중초본 118권, 광해 9년 8월 12일 갑진 4번째기사
- ↑ 인조실록 3권, 인조 1년 9월 14일 신축 1번째기사
- ↑ 광해군일기 중초본 122권, 광해 9년 12월 15일 병오 7번째기사
- ↑ 한국학자료센터 양천허씨 허경 가계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