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 안씨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순흥 안씨의 종문 | |
관향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
시조 | 안자미(安子美) |
주요 인물 | 안향, 안우기, 안축, 안보, 안문개, 안종원, 안천보, 안원, 안경공, 안순, 안숭선, 안지귀, 안침, 안당, 안처순, 안현, 안자유, 안위, 안창호, 안중근, 안봉순, 안익태, 안찬희, 안응모, 안상수, 안경률, 안홍준, 안성기, 안종범, 안철수, 안내상, 안희정, 안재욱 |
인구(2015년) | 520,384명 |
비고 | 순흥안씨 대종회 |
순흥 안씨(順興 安氏)는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편집]
순흥 안씨의 시조(始祖) 안자미(安子美)는 고려 신종(1197년~1204년) 때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을 역임하고 신호위 상호군(神虎衛上護軍)에 추봉되었으며, 순흥현(順興縣)에 정착 세거하였다.
4세손 안향(安珦)이 1260년(고려 원종 1년) 문과에 급제하여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에 이르렀다.
분파[편집]
시조의 세 아들 영유의 후손에 14개파, 영린의 후손에 4개파, 영화의 후손에 4개파가 있다.
인물[편집]
-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 : 1260년(원종 1)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에 성리학을 도입하였고,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에 이르렀다.
- 안우기(安于器, 1265년 ~ 1329년) : 안향의 아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에 이르렀다.
- 안축(安軸, 1287년 ~ 1348년) : 고려조 문과에 급제하여 충목왕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냈고, 흥녕군(興寧君)에 봉해졌다.
- 안보(安輔, 1302년 ~ 1357년)
- 안문개(安文凱, ? ∼ 1338년) : 첨의참리(僉議參理)를 지내고, 1327년(충숙왕 14)에는 왕이 원나라에 있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1등공신이 되었으며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의 호를 받았다.
- 안종원(安宗源, 1325년 ~ 1394년)
- 안천보(安天保, 1339년 ~ 1425년)
- 안원(安瑗, 1346년 ~ 1411년)
- 안경공(安景恭, 1347년 ~ 1421년)
- 안순(安純, 1371년 ~ 1440년)
- 안숭선(安崇善, 1392년 ~ 1452년)
- 선빈 안씨(善嬪 安氏, ? ~ 1468년) : 태종의 후궁.
- 안침(安琛, 1445년 ~ 1515년)
- 안당(安塘, 1461년 ~ 1521년)
- 안처순(安處順, 1492년 ~ 1534년)
- 안현(安玹, 1501년 ~ 1560년)
- 안자유(安自裕, 1517년 ~ 1588년)
- 안창호(安昌浩, 1878년 ~ 1938년) : 독립협회(獨立協會), 신민회(新民會), 흥사단(興士團)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 안중근(安重根, 1879년 ~ 1910년) : 삼흥학교(三興學校)를 세우는 등 인재양성에 힘쓰고 의병 운동에 참가하였으며, 하얼빈에서 전범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독립운동가
- 안익태(安益泰, 1906년 ~ 1965년) : 애국가 작곡
- 안봉순(安奉舜, 1894년~ 1967년)은 일제 강점기의 임시정부 의정원과 한국 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 안동준
- 안갑준
- 안응모(安應模, 1930년 ~ )
- 안찬희(安瓚熙, 1930년 ~ 2019년) : 제2대 인천직할시장, 제13·14대 국회의원
- 안상수
- 안경률 : 정치인
- 안홍준
- 안성기 : 배우
- 안종범 : 교수, 정치인
- 안철수 : 국민의당 대표
- 안희정(安熙正) : 민선 5·6기 충청남도지사 (양공공파 29세손)
항렬자[편집]
- 1파(중시조로 1세)
|
- 2파(중시조로 1세)
|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편집]
- 태종후궁 선빈 안씨
- 진안대군(태종의 장남)사위 안종렴
- 의안군(태조의 이복 아우)정비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 하릉군(태조 이복 아우 의안군의 손자)비 정경부인 순흥 안씨
- 영양군(중종의 서자)정비 순흥군부인 순흥 안씨
- 숭선군(인조의 서자)사위 안수정
- 소숙옹주(태종의 서녀)사위 안관
인구[편집]
- 1985년 99,937가구, 417,598명
- 2000년 145,254가구, 468,827명
- 2015년 520,38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