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되돌려진 기여
태그: 되돌려진 기여
320번째 줄: 320번째 줄:
|-
|-
|'''125 편성'''||운행 중
|'''125 편성'''||운행 중
|-
|'''126 편성'''||[[2007년]]||운행 중||
|-
|-
|}
|}
329번째 줄: 327번째 줄:
|-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126 편성'''||[[2007년]]||운행 중||
|-
|-
|'''127 편성'''|| rowspan="8" |[[2008년]]||운행 중||
|'''127 편성'''|| rowspan="8" |[[2008년]]||운행 중||

2021년 9월 28일 (화) 06:06 판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원인재역에 정차 중인 계양행 125편성
원인재역에 정차 중인 계양행 125편성
귤현역에 진입 중인 계양행 130편성
귤현역에 진입 중인 계양행 130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운영 회사 인천교통공사
제작 연도 101~103: 1998년
104~125: 1999년
126: 2007년
127~134: 2008년
135: 2023년 (예정)
생산량 34개 편성 272량
사용량 34개 편성 272량
제원
차량 정원 선두차 113명
중간차 124명
편성 정원 970명
편성 길이 140.200 mm
전장 선두차 17,600 mm
중간차 17,500 mm
전폭 2,750 mm
전고 4,000 mm
차량 중량 Tc: 31.5 t, M: 32.0 t, T: 26.4t t
편성 중량 243.8 t
대차간 거리 12,400 mm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직류 1,500 V
제어 방식 111, 117, 122~125편성: VVVF-IGBT(알스톰) 1레벨 1C4M제어
101~110, 112~116, 118~121편성: VVVF-IGBT(우진산전) 2레벨 1C4M제어
126~134편성: VVVF-IGBT(미쓰비시)(현대로템 IPM)
차륜 배열 Bo′Bo′
차륜 직경 860 mm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8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상용최대 3.5 km/h/s
비상 4.5 km/h/s
전동기 출력 210 kW
구동 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MT비 4M 4T
보안 장치 LZB 700M(ATC/ATO [자동/수동겸용])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인천교통공사가 보유 및 운용하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용 차량이다. 현재 총 8량 34개 편성(272량)이 운행 중이다.

개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사용된다. 도입 시기에 따라 1호선 개통에 맞추어 1998년부터 도입된 1차분과, 국제업무지구역 연장에 따라 2007년부터 도입된 2차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차량은 노선 규격에 맞춘 18 m급 4문 통근형 전동차라는 점은 공통되나, 기본적으로 별도의 설계를 사용하여 제작된 차량이다. 전 차량이 귤현차량사업소 소속이다.


도입 역사

1차분 (101 ~ 125편성, 1998. 3 ~ 1999. 5)

귤현역에 정차 중인 115편성과 121편성(2005년)

수도권 최초이자 유일의 중형 전동차로,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맞추어 도입되었다. 1996년에 구매 계약이 이루어졌다.[1] 가격은 1996년 발주 당시 편성당 36억원이다.

외관

전두부에 대한민국의 통근형 전동차로서는 최초로 유선형 디자인을 도입하였다. 전두부 우측에는 비상 탈출문이 설치되어 있다. 차체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S 301L)이다. 행선표시기는 LED 도트 매트릭스 방식으로, 선두차량 전두부 상단 중앙에 1기, 모든 차량 측면 상단에 각 1기씩 설치되어 있다. 열차번호표시기는 선두차량 전두부 좌측 상단에 1기씩 설치되어 있으며, 행선표시기와 마찬가지로 LED 도트 매트릭스 방식이다.

전장품

추진제어장치로는 알스톰VVVF-IGBT 1레벨 인버터(정격 3.3 kV, 1,200 A)를 채용하였으며, IGBT를 채택한 전동차는 이 차량이 대한민국 최초이다. 주전동기는 알스톰제 G354AV형 농형 3상 유도전동기로, 출력은 210 W이다. 101~110, 112~116, 118~121편성은 후에 추진제어장치가 알스톰제 VVVF-IGBT 1레벨 인버터에서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된 우진산전제 VVVF-IGBT 2레벨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제어차량 운전실측 연결기는 기존에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차량에서 널리 사용되던 시바타식 자동밀착연결기에 전기연결기를 병설하여 비상시 차량간 연결의 신속성과, 점퍼선의 생략에 의한 미관 개선을 꾀하였다.[1]

집전장치는 가공전차선용 하부프레임교차형(더블암) 팬터그래프인 YT90A형으로, 동력차 상부에 각 2기씩 탑재되어 있다.

대차는 공기 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이다. 제동 방식은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으로, 구동 대차에는 답면제동이, 부수대차에는 디스크 제동이 각각 사용된다.

신호장치는 지멘스 AGLZB 700M 대응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ATO에 의한 자동 운전이 가능하다.

냉방장치는 집약분산식으로 차량 옥상에 캐리어제 72EE200형 에어컨 2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냉방 용량은 시간당 40,000 kcal이다.[1]

객실 출입문의 구동에는 기존의 공압식을 대신해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최초로 스크류 모터를 채택하였다.

실내

객실 좌석은 모두 롱시트로, 한 측면에 3+6+6+3인석이 마련되어 있다. 3호차와 6호차의 차량 끝에는 3인석을 설치하는 대신 대한민국 최초로 제작시부터 휠체어 공간을 확보하였다[1]. 좌석은 벽에만 고정되어 바닥과의 사이는 비어 있다. 객실 안내기에는 제작 당시 8색 PDP 패널을 사용하는 안내기가 차량당 2기 사용되었으나, 내장재 개조 이후 LCD를 사용하는 것으로 교체되었다.

2005년에는 모든 차량의 내장재가 SLS중공업에 의해 불연재로 교체되었다. 이와 동시에 객실 좌석 위의 선반이 철거되는 등의 변경이 함께 이루어졌다.

2009년에 101~104, 119~122, 124~125편성은 각 선두차 운전실쪽의 6인석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

주변환장치 교체 현황

2012년: 101

2013년: 102

2014년: 103

2015년: 104

2016년: 120

2017년: 105

2018년: 112~116, 121

2020년: 106~110, 118

2021년: 119

편성

8량 1편성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도입 당시의 조성대로 운행되고 있다. 동력차와 부수차 각 1량씩을 추가하여 10량 편성으로 운용이 가능하고 운용 노선의 각 시설도 이에 대응되어 있으나, 현재 구체적인 증결 계획 및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기술적으로는 2M 2T의 4량 편성이 가능하다[1].

◇◇ ◇◇ ◇◇ ◇◇
10XX 19XX 18XX 15XX 14XX 13XX 12XX 11XX
Tc M' M' T T M' M' Tc
←계양 ※XX는 편성 번호 송도달빛축제공원→
차량번호 주요 전장품
1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19XX M(집전장치,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8XX M(집전장치,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5XX T(무동력객차)
14XX T(연장급전 접촉기)
13XX M'(집전장치,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2XX M'(집전장치,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1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반입

대우중공업 의왕공장에서 출고된 차량을 철도청(당시) 소속 기관차가 부곡역(현 의왕역)에서 경부선경인선을 경유하여 동암역까지 견인하여 운송하고, 동암역에서 대기하고 있던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당시) 소속 입환기관차가 동암역에서 인천시청역까지 이어진 반입용 선로를 통해 차량을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선로로 반입한 후, 기관차의 연결 방향을 바꾸어 다시 귤현차량사업소까지 견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1].

2차분 (126 ~ 134편성, 2007. 6 ~ 2008. 2)

2009년 6월 1일 인천1호선의 송도구간 연장을 위하여 도입된 차량.

외관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중 31166~31203편성의 전면부에 기초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모양이 흡사하다.

전장품

추진제어장치는 미쓰비시 전기의 소자에 기반하여 현대로템이 제조한 VVVF-IGBT IPM이 사용된다.

실내

1127호 차량 실내

출입문 상단에는 한 면에 2곳, 차량당 총 4곳에 LED를 사용한 전자노선도가 설치되었다. 객실 끝 부분 천장에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가 차량당 2기 설치되어 있다. 객실 유리창 중 한 측면당 한 곳, 차량당 총 두 곳에는 비상시 유리를 파괴하여 탈출구를 확보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되었다.

편성

◇◇ ◇◇
10XX 19XX 18XX 15XX 14XX 13XX 12XX 11XX
Tc M M' T T M M' Tc
←계양 ※XX는 편성 번호 송도달빛축제공원→
차량번호 주요 전장품
10XX Tc¹(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19XX M(주변환장치)
18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5XX T(무동력객차)
14XX T(무동력객차)
13XX M(주변환장치)
1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1XX Tc²(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차분 (2023년)

  • 해당 차량: 135편성

2024년 인천 지하철 1호선 검단신도시 연장 개통과 함께 영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8량 1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며, 제작사는 미정이다.

4차분 (예정)

  • 해당 차량: 101~125편성

인천교통공사는 대우중공업산 1998년~1999년식 1차분 차량 전량을 대차 계획이 있어 보인다. 대략 검단 연장시기와 비슷한 2023년 ~ 2024년 사이에 1차분 차량 전량을 대차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앞에서 서술했지만 바다와 가까운 구간이 많아 유독 부식이 심해진다고 한다. 제작사는 현재 아직 미정.

배속

현재 운행구간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인천 1호선 차량 1차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101 편성 1998년 운행 중 2023년까지 모든 편성이 추진제어장치가 알스톰 IGBT에서 히타치 기반 우진산전 IGBT로 교체될 예정이며, 101 ~ 110, 112 ~ 116, 118, 120 ~ 121편성은 추진제어장치가 알스톰 IGBT에서 히타치 기반 우진산전 IGBT로 교체되었다.
102 편성 운행 중
103 편성 운행 중
104 편성 1999년 운행 중
105 편성 운행 중
106 편성 운행 중
107 편성 운행 중
108 편성 운행 중
109 편성 운행 중
110 편성 운행 중
111 편성 운행 중
112 편성 운행 중
113 편성 운행 중
114 편성 운행 중
115 편성 운행 중
116 편성 운행 중
117 편성 운행 중
118 편성 운행 중
119 편성 운행 중
120 편성 운행 중
121 편성 운행 중
122 편성 운행 중
123 편성 운행 중
124 편성 운행 중
125 편성 운행 중

인천 1호선 차량 2차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126 편성 2007년 운행 중
127 편성 2008년 운행 중
128 편성 운행 중
129 편성 운행 중
130 편성 운행 중
131 편성 운행 중
132 편성 운행 중
133 편성 운행 중
134 편성 운행 중

인천 1호선 차량 3차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135 편성 2023년 도입 예정 2024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신도시 연장 개통과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특이 사항

측면 행선 안내기 중단

스크린도어 전 역사 설치되어 모든 편성이 측면 행선지 소등 후 인천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각주

  1. 인천광역시도시철도기획단. 《인천지하철1호선건설지》. 인천광역시도시철도기획단. 2018년 1월 1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