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영동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동선
영동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영주역
(경상북도 영주시)
종점동해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역 수30
노선 번호313
개통일1940년 8월 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147.6km
궤간1,435mm(표준궤)
선로 수1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V 60Hz
신호 방식ATS
노선도

0.0
영주 한국고속철도
9.0
문단신호장
14.7
봉화
20.2
거촌
봉성제1,2굴
25.7
봉성
풍정굴
32.7
법전
법전굴
37.9
춘양
42.7
녹동신호장
47.6
임기
관암제1,2호굴
52.7
현동
풍애굴
59.3
분천
63.6
비동
65.5
양원
69.2
승부
76.8
석포
83.0
동점
낙동강
87.0
철암
91.3
백산
태백선 (태백역 방면)→
93.1
동백산
강삭철도/산골터널
흥전-나한정 스위치백
111.3
도계
오십천
116.0
고사리
121.2
마차리
126.6
신기
131.8
상정신호장
미로터널
136.5
미로
140.1
도경리신호장
지상굴 ↑삼척시/동해시
147.6
동해 한국고속철도
153.6
묵호 한국고속철도
159.6
망상
160.3
망상해수욕장
165.1
옥계
구한라시멘트(산계리) 방면
정동진건널목
176.5
정동진 한국고속철도
183.6
안인
188.9
청량신호소[1]
강릉남대천
192.7
강릉 한국고속철도

영동선(嶺東線)은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역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1955년에 개통되었으며, 1962년에 완전히 개통되었다. 영주역에서 경북선, 중앙선과 만나고, 동백산역에서 태백선과 만난다. 동해역에서 향후 동해선과도 접속될 예정이다.

역사

[편집]

영동선은 과거 묵호-철암 간의 철암선(鐵岩線)과 영주-철암 간의 영암선(榮岩線), 묵호-경포대 간의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지금에 이른다. 이들 노선은 주로 시멘트석탄과 같은 광물 자원의 수송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철암선

[편집]

철암선의 경우 삼척철도주식회사에서 개통시킨 묵호항-도계 간과 도계-철암 간의 노선에서 비롯되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에 의하여 국유화되었고, 현재 묵호항-묵호 구간은 묵호항선에 편입되어 있다. 통리재 일대의 고도차가 커, 초기에는 강삭철도스위치백이 모두 활용되었고, 화차를 모두 분리하여 운반하고 여객은 고개를 걸어서 오르내리는 등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1963년에 강삭철도를 폐지하고 우회선로를 개설하였다. 이후 속도 향상을 위하여 루프터널솔안터널2001년에 착공하여 2012년에 개통하였는데, 총 길이가 약 16.2km로 금정터널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이다.[2]

영암선

[편집]

영암선은 조선철도주식회사에서 영주-춘양 간에 놓으려던 해방 이전의 사설 철도 계획이 시초로, 해당 계획을 영춘선(榮春線)으로도 칭한다. 봉화역까지의 노선은 궤도가 부설되어 있던 것이 1946년홍수로 4km 가량이 유실되었고, 춘양역까지는 터널교량만 건설되지 않았을 뿐 대체로 공사는 진척되어 있었다.[3] 해방 이후 석탄과 목재의 운반을 위하여 영주역부터 철암역까지를 철도로 이으려는 계획이 등장하였고[3], 1950년에 봉화역까지 개통하였으나 한국 전쟁으로 도중 공사가 중지되었다. 나머지 구간은 1955년과 그 이듬해에 세 차례에 걸쳐 모두 영업을 개시하였다.

연혁

[편집]

일제강점기 시절

[편집]
  • 1936년 3월 2일: 삼척철도(三陟鐵道)에서 삼척면(정라)-소달면(도계) 간 35.7 km 사설철도의 부설을 허가받음[4]
  • 1937년 3월 25일: 노선을 망상-도계 간 41.7 km로 변경함[5]
  • 1938년 11월 25일: 삼척철도에서 도계리-흥전리 간 2.7 km 전용철도의 부설을 허가받음[6]
  • 1939년 4월 17일: 삼척철도에서 철암리-통리 간 8.9 km 전용철도의 부설을 허가받음[7]
  • 1940년 4월 19일: 삼척철도에서 흥전리-심포리 간 6.0 km 전용철도의 부설을 허가받음[8]
  • 1940년 4월 23일: 삼척철도에서 심포리-통리 간 1.0 km 전용철도의 부설을 허가받음[9]
  • 1940년 7월 31일: 묵호항-도계 간 41.4 km 영업 개시[10]
  • 1940년 8월 1일: 도계-철암 간 19.1 km 영업 개시
  • 1941년 7월 1일: 경경선 영주역 개업[11]
  • 1944년 10월 16일: 조선철도(朝鮮鐵道)에서 영주-춘양 간 35.2 km 사설철도의 부설을 허가받음[12] (일명 영춘선)

해방이후 단선비전철 시절

[편집]

전철화 시대

[편집]

역 목록

[편집]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K I 누리로 동해산타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영주 Yeongju 榮州 0.0 0.0 미운행구간 미운행구간 중앙선
경북선
경상북도 영주시
북영주 Bugyeongju 北榮州 1.8 1.8 미운행구간 (북영주삼각선) 신호소
문단 Mundan 文丹 7.2 9.0 봉화군 신호장
봉화 Bonghwa 奉化 5.7 14.7
거촌 Geochon 巨村 5.5 20.2
봉성 Bongseong 鳳城 5.5 25.7
법전 Beopjeon 法田 7.0 32.7
춘양 Chunyang 春陽 5.2 37.9
녹동 Nokdong 鹿洞 4.8 42.7 신호장
임기 Imgi 林基 4.9 47.6
현동 Hyeondong 縣洞 5.1 52.7
분천 Buncheon 汾川 6.6 59.3
비동 Bidong 肥洞 4.2 63.5 임시승강장
양원 Yangwon 兩元 2.0 65.5 임시승강장
승부 Seungbu 承富 3.9 69.2
석포 Seokpo 石浦 7.6 76.8
동점 Dongjeom 銅店 6.2 83.0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철암 Cheoram 鐵岩 4.0 87.0
백산 Baeksan 栢山 4.3 91.3 미운행구간 미운행구간 태백선
동백산 Dongbaeksan 東栢山 1.8 93.1 (태백삼각선)
솔안 Solan - 10.0 103.1 신호장
도계 Dogye 道溪 8.2 111.3 삼척시
고사리 Gosa-ri 古士里 4.7 116.0
하고사리 Hagosa-ri 下古士里 1.7 117.7 무인역
마차리 Macha-ri 馬次里 3.5 121.2
신기 Singi 新基 5.4 126.6
상정 Sangjeong 上鼎 5.2 131.8 신호장
미로 Miro 未老 4.7 136.5
도경리 Dogyeong-ri 桃京里 3.6 140.1 신호장
동해 Donghae 東海 7.5 147.6 삼척선, 북평선, 묵호항선 동해시
묵호 Mukho 墨湖 6.0 153.6 미운행구간 묵호항선
망상 Mangsang 望祥 6.0 159.6 무인역
망상해수욕장 Mangsang Beach 望祥海水浴場 0.9 161.5 임시승강장
옥계 Okgye 玉溪 3.7 165.1 강릉시
정동진 Jeongdongjin 正東津 11.4 176.5
안인 Anin 安仁 7.1 183.6
(분기점) (3.7) (187.3) 강릉삼각선 영주 기점 187.319km 지점
청량 Cheongnyang 靑良 5.3 188.9 신호소

노선 정보

[편집]
  • 궤간 : 표준궤
  • 노선 연장 : 147.6km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V, 60Hz
  • 복선 구간 : 없음
  • 신호 체계 : ATS
  • 통행 방향 : 좌측 통행

지선 노선

[편집]

영동선에는 총 3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노선 명칭 기점 종점 연장(km) 비고
31301 삼척선 동해역 삼척역 12.9
31302 북평선 동해역 삼화역 6.4
31303 묵호항선 동해역 묵호역 5.9

삼척선

[편집]

삼척선동해역삼척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동해선 건설 과정에서 추진되었던 노선이며, 1939년에 착공, 1944년에 완공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301이다.

북평선

[편집]

북평선동해역삼화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동해시 서쪽의 시멘트 공장과 영동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건설된 화물 철도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302이다.

묵호항선

[편집]

묵호항선동해역묵호항역을 경유하여 묵호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묵호항 항만인입선 역할을 하는 화물 철도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 영업거리표상 노선 번호는 31303이다.

영동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영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컨테이너 일반화물 운행총계
영주 - 철암 49 0 5 2 3 10
철암 - 동백산 73 0 5 1 2 8
동백산 - 동해 26 0 11 1 6 18
동해 - 청량신호소 49 5 9 0 0 14

이용객 변동

[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47]
통일(통근) 221,907 196,057 152,382 134,383 34,935 0 0 21 0 13,083 0 0 0 0 0 0
무궁화 1,173,652 1,186,119 893,753 782,865 802,177 789,822 728,547 752,571 726,302 675,705 789,005 848,503 869,606 952,735 876,627 657,988
새마을 27,839 27,611 22,878 28,529 29,956 33,000 28,346 5,355 9,245 40,990 2,392 13,204 5,398 0 215,289 180,668
건설 8,949 9,216 9,185 12,054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17,990 15,089 11,736 9,459
합계 1,450,337 1,434,092 1,089,934 967,290 867,068 822,822 756,893 757,947 735,547 729,778 791,397 861,707 875,004 1,163,651 1,091,916 838,656

각주

[편집]
  1. 청량-강릉 구간은 경강선 구간이다.
  2. 이전까지 가장 길었던 일반철도 터널인 전라선 죽림온천 - 관촌 간의 슬치터널(6,128m)보다 약 2.65배 정도 길다.
  3. 매장탄량수억톤 단양,영월등철도부설시급, 《동아일보》, 1948.12.28
  4.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부설면허, 1936년 3월 10일.
  5.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기업목론견변경, 1937년 4월 1일.
  6.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38년 12월 1일.
  7.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39년 5월 13일.
  8.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40년 5월 1일.
  9.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1940년 5월 9일.
  10.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개시인가, 1940년 8월 9일.
  11.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801호, 1941년 6월 2일.
  12.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부설면허, 1944년 11월 1일.
  13. “南韓鐵道全部國營(남한철도전부국영)으로 三陟鐵道交通部(삼척철도교통부)에移管(이관)”. 경향신문. 1948년 8월 22일. 2017년 3월 26일에 확인함. 
  14.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74호, 1950년 1월 19일.
  15.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05호, 1955년 1월 29일.
  16.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16호, 1955년 6월 28일.
  17.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17호, 1955년 6월 29일.
  18.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52호, 1955년 12월 31일.
  19.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572호, 1959년 12월 1일.
  20.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637호, 1961년 5월 3일.
  21.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813호, 1962년 10월 26일.
  22.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892호, 1963년 5월 17일.
  23.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893호, 1963년 5월 17일.
  24.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44호, 1963년 12월 21일.
  25.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2호, 1965년 12월 9일.
  26.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23호, 1969년 6월 19일.
  2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22호, 1969년 6월 19일.
  2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7호, 1974년 8월 12일.
  29.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52호, 1974년 12월 4일.
  30.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호, 1975년 1월 29일.
  31.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5일. 
  32.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8호, 1979년 4월 4일.
  33.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0호, 1984년 5월 11일.
  34.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9호, 1988년 3월 30일.
  35. “이제 영주~철암에도 전기기관차 다닌다!!! 1997년 철암역 영상”. 《MBC강원영동》. 1997년 3월 28일. 
  36.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37. 유선경 기자 (1999년 9월 24일). “비로 영동선 철길 붕괴돼 기차 탈선, 기관사 2명 사망”. 《MBC뉴스데스크》. 
  3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9-58호, 1999년 12월 29일.
  39. 허종식 기자 (2005년 9월 7일). “동해~강릉 전철 8일부터 달린다”. 《한겨레》. 
  40.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220호, 2012년 5월 7일.
  41.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6호, 2012년 6월 22일.
  4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170호, 2014년 4월 3일.
  43.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413호, 2014년 7월 4일.
  4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367호, 2018년 6월 28일
  4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46. 이형수 기자 (2020년 8월 3일). “태백선 전 구간, 영동선·충북선 일부구간 운행 중지”. 《충북일보》. 
  47.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