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공화국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1공화국
장르 정치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TV
방송 기간 1981년 4월 2일~1982년 2월 11일
방송 횟수 39부작
기획 표재순
연출 고석만, 이연헌
조연출 황인뢰
각본 김기팔
출연자 최불암, 이영후, 박규채, 국정환
해설 김종성
여는 곡 보통 사람들을 위한 팡파르
음성 아날로그 제작 · 방송
HD 방송 여부 아날로그 제작 · 방송
후편 제2공화국

제1공화국》은 1981년 4월 2일부터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 작품으로, 문화방송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국내 최초의 특별기획 정치 드라마 작품이었다.

트리비아[편집]

MBC TV의 드라마 《공화국 시리즈》의 첫 작품이라는 것에 의미가 있다.

시대적 배경[편집]

앞서 언급한 것처럼, MBC TV의 드라마 《공화국 시리즈》의 첫 작품인데, 1945년 8·15(을유 해방)의 어수선한 정국, 한반도 분단, 1948년 8월 15일 무자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써 첫 출범을 한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의 향후 어언 12년 시대, 1950년 6·25와 1960년 4·19, 그리고 1960년 제2공화국의 신규 성립과 민주당 신구파 분쟁까지 다뤘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향후 3대 대통령까지 내리 3선.
미군정청 예하 비상국민회의 부의장. 지난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가 주석 역임.
대한민국 3대 국방부 장관.
북괴 국가원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총리 등을 지냈으며 1972년 이후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국가 주석 역임.

대한민국 정치 가문[편집]

이기붕 국방부 장관 직계 가내 관련[편집]

대한민국 3대 국방부 장관. 이기붕 국방장관 내외는 1949년 당시 서울 이화여고 2학년 재학하던 맏딸(이강희)을 홍역으로 인하여 먼저 세상을 떠나 보냄.
이기붕의 부인. 이화여자대학교 부총장 역임.
이기붕 국방장관 내외의 슬하 2남 1녀 중 장남(둘째). 육군 소위 출신.
  • 김찬구 : 이강욱 역
이기붕 국방장관 내외의 슬하 2남 1녀 중 차남(막내).

김구 비상국민회의 부의장 직계 가내 관련[편집]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가 주석 등을 지낸 훗날 미군정기 임시 치하 미군정청 예하 비상국민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 일찍이 초배 부인(경주 최씨 부인)을 첫 상배 후 계배 부인(최준례 여사)까지 두번째 상배.
백범 김구 부부의 장자부 - 부군(김인)을 상배
백범 김구 부부의 슬하 2남 3녀 중 차남(막내) - 대한민국 5대 공군참모총장
백범 김구 부부의 차자부(김신의 부인)

윤보선 상공부 장관 직계 및 방계 가내 관련[편집]

상공부 장관. 훗날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역임.
윤보선의 재혼 계배 부인.
윤보선의 배다른 서얼 남동생.
윤형선의 사별 초배 부인.
윤형선의 재혼 계배 부인.
윤보선의 배다른 서얼 숙부. 내무부 장관.
윤치영의 재혼 계배 부인.

장면 부통령 직계 및 방계 가내 관련[편집]

제4대 부통령.
장면의 부인.
장면의 첫째 남동생. 서양화가 겸 대학 교수 출신으로 이탈리아 주재 대기대사.
장발의 재혼 계배 부인.
장면의 막내 남동생. 항공우주공과학자 겸 대학 교수.
장극의 부인.

허정 교통부 장관 직계 가내 관련[편집]

교통부 장관.
허정의 재혼 계배 부인(허준의 계모)이자 허원의 모친.
허정의 맏 아들.
허정의 막내 딸.

김학규 한국독립당 상임고문 직계 가내 관련[편집]

오광심의 세번째 부군
김학규의 재혼 계배 부인 - 김학규와는 세번째 결혼

이시영 부통령 직계 가내 관련[편집]

초대 부통령
이시영의 차남

신익희 국회의장 직계 가내 관련[편집]

미군정청 예하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예하 상임위원장 등을 거쳐 대한민국 국회의장 역임.
신익희의 재혼 계배 부인(신하균의 계모)
신익희의 장남

김성수 부통령 직계 및 방계 가내 관련[편집]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김성수의 재혼 계배 부인(김상만의 계모)
김성수의 장남. 훗날 동아일보 명예회장.
김성수의 아우. 삼양사 회장.
김연수의 부인
김연수의 차남(김성수의 조카) - 김상만의 사촌 종제

김규식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예하 상임위원장 직계 가내 관련[편집]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부 부장 등을 거쳐 미군정청 예하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예속 상임위원장 역임.
김규식의 재혼 계배 부인.

함태영 부통령 직계 가내 관련[편집]

대한민국 제3대 부통령
함태영의 막내아들(함인섭의 25살 어린 이복 삼촌)
함병춘의 5년 연상녀 부인(함태영의 막내자부) - 함인섭의 20살 어린 이복 숙모
함태영의 친장손(함병춘의 25살 많은 이복 조카)
함태영의 친장손부(함인섭의 재혼 계배 부인이자 함양호와 함춘호의 계모)
함태영의 증손이자 함인섭의 장남(함병춘의 1살 많은 이복 조카손주)
함양호의 3년 연하녀 부인(함태영의 증손부)
함태영의 증손이자 함인섭의 차남(함병춘의 2살 어린 이복 조카손주)
함병춘 내외의 장남(함인섭의 51살 어린 사촌 종제)
함병춘 내외의 차남(함인섭의 56살 어린 사촌 종제)
  • 권민수 : 함영덕 역
함양호 내외의 아들(함태영의 90살 차이가 나는 고손이자 함인섭의 56살 차이가 나는 장손)

지청천 무임소 장관 직계 가내 관련[편집]

무임소 장관.
지청천의 부인.
지청천 내외의 슬하 2남 2녀 중 장남(첫째).
지청천 내외의 슬하 2남 2녀 중 차녀(셋째).

변영태 외무부 장관 직계 가내 관련[편집]

대한민국 3대 외무부 장관.
변영태 3대 외무부 장관의 친형. 민본주의 군주제 대한제국 전남 광주지법 예하 판사 출신의 변호사 활약을 한 그는 성균관대학교 법률학과 교수 역임.
변영태 3대 외무부 장관의 친제. 청년 시절 기미년 삼일 독립선언서 영어 번역자. 그로부터 26년 지난 이후 을유년 당시의 8.15 광복 이후로는 당대 최고의 감성 문구가 매력을 자랑하던 시인 겸 영문학자 출신으로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역임.

8.15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의 인사[편집]

여운형 조선인민공화국 국가원수 권한대행의 직계 가내 관련[편집]

조선인민공화국 국가부원수 겸 국가원수 권한대행.
여운형의 친제. 훗날 민주공화당 고문 역임.

장덕수 한국민주당 외무부장의 직계 가내 관련[편집]

한국민주당 외무부장 겸 정치부장. 전직 전문학교 교수 출신.
장덕수의 재혼 계배 부인.

일제 시대 관련 회고[편집]

1932년 당시 일제강점기 총독부 중추원 고문 고희경 직계 가내 및 친척 이외 측근 겸 지인 관련 회상[편집]

당시 60세. 경성부 명문가 제주 고씨 집안 후손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역임.
당시 40세. 고희경 부부의 장남(고중덕의 아버지)으로 향후 1934년 당시 조선귀족 백작 습봉.
당시 10세. 고희경 부부의 장손(고흥겸 내외의 장남)이기도 하고 향후 1939년 당시 6년간을 조선귀족 백작 습봉. 먼 훗날 1972년 당시 대한민국 통일주체국민회의 예하 충청남도 예산 고덕면 지역자치위원회 대의원 역임.
당시 47세. 고희경의 사촌 종제(고흥겸의 5촌 당숙부)인데 동양화가 겸 서양화가 출신으로 먼 훗날 1959년 당시 민주당 고문 겸 당무위원 등을 거쳐 이듬해 대한민국 제5대 무소속 초선 참의원 등을 잠시 역임.
당시 54세. 고희경의 아는 지인 겸 측근(배정자 총독부 촉탁위원의 세번째 남편)이기도 하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역임.
당시 63세. 고희경의 아는 지인 겸 측근(김해 배씨 후손)이자 조선총독부 촉탁위원 등을 지냈으며 박영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의 계배 부인(미망인)인 동시에 조선총독부 예하 황해도 도지사 지낸 관료 박중양의 의남매 사저 의누나. 그녀의 사부(스승)는 이토 히로부미 한국통감.
당시 61세. 고희경의 아는 지인 겸 측근.[1] 조선총독부 예하 황해도 도지사 등을 지냈으며 배정자 총독부 촉탁위원의 의남매 사제 의동생. 그의 사부(스승)는 이토 히로부미 한국통감.
당시 63세. 고희경의 아는 지인(전주 이씨 후손)이자 총독부 예하 황해도지사 박중양의 정실 부인(미망인)이고 2년 연하 부군(박중양)과 친장자(박문웅)보다도 오래 살았으며 1961년 5월 20일, 향년 92세로 하세.
당시 43세. 고희경의 아는 지인 겸 측근(박중양의 슬하 4남 4녀 중 적장남)으로 조선총독부 예하 경상북도 상주군 군수 역임.

1932년 당시 일제강점기 경성 동대문 시장 풍각쟁이 엄동욱 지기지우 및 지인 관계 관련 회상[편집]

당시 22세. 일제강점기 시대의 경성부 동대문 야시장 장터 풍각쟁이.
당시 25세. 일제강점기 시대의 자유문학파 소설가.
당시 23세. 일제강점기 시대의 사차원파 기벽 성향 소설가 겸 건축가 및 시인.

대한민국 정부 관련 인물[편집]

대한민국 제18대 내무부 장관.
1959년 당시 최인규 내무부 장관 예하 비서관.
최인규 18대 내무부 장관의 측근 겸 지인.
대한민국 초대 상공부 장관.
대한민국 초대 국무총리 겸 초대 국방부 장관.
이범석 초대 국방부 장관의 재혼 계배 부인.
이범석 초대 국방부 장관의 측근 겸 지인. 지난날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 의정원 의장 역임.
이범석 초대 국방부 장관의 측근.
대한민국 초대 외무부 장관.
대한민국 4대 법무부 장관
대한민국 초대 임시외자관리청 청장.

대한민국 재야 관련 인물[편집]

민주국민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민주국민당 고문 겸 최고위원.

북한 인물[편집]

김일성 북괴 총리 시절 북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원수 역임.
문학평론가 겸 시인 출신.

김일성 북 국가원수 직계 가내 관련[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총리 등을 지냈으며 1972년 이후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국가 주석 역임.
김일성의 막내 남동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4기 대의원 겸 상임위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총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

리승엽 북 사법상 방계 친인척 관련[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경호실 차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법상. 일제강점기 시대 경기도 인천 제물포 인천고등상업학교 중퇴.
이승엽의 14살 많은 신묘년생 친갓댁 친가친척 친숙부. 이강국(북괴 외무성 차석부상)의 일제강점기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시절 은사(한문 교사 출신).
이승엽의 3살 어린 무신년생 외갓댁 외가친척 이종제. 이강국(북괴 외무성 차석부상)의 일제강점기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동기 동창.

허헌 북 최고인민회의 의장 직계 가내 관련[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의장.
허헌의 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법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재판소장.

북괴 김일성 총리 시대의 핍박 피해 인사[편집]

소련 군정 임시 치하 북조선 과도정부 시대 건준위 위원장 등을 거쳐 조선민주당 총재 겸 고문 역임.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부장 역임.
임시 미군정기 치하 미군정청 민정장관 역임.

1953년 당시 북괴 초기 시대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관련[편집]

박리 사건(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의 부담당 검사. 1958년 당시 북괴 검사 직책을 사퇴한지도 3년 훗날 1961년 9월 15일, 북괴 남파 공작원 신분으로 밀파되었다가 체포되어 투옥 및 복역을 한 이후 1990년 1월 1일, 대한민국 비전향 장기수 석방 조처되어 중공 등을 거쳐 2000년 9월 2일, 북괴 수도 평양으로 귀거하였으며 2003년 3월 이후 북괴 국립 평양 김대 언어학과 석학교수 등을 지냄.
카프 동맹 사무위원 등을 거쳐 조선문학가동맹 문학평필분과위원 등을 지낸 문학평론가.[2]
카프 동맹 중앙위원 등을 거쳐 조선문학가동맹 소설분과위원 등을 지낸 소설가.[3]
문학평론가 출신으로 로동당 당무위원 등을 지낸 훗날 북괴 문화선전성 부상.[4]
훗날 북괴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잠시 지내기도 한 무용가.[5]

사회적 시국 관련[편집]

1945년 당시 8.15 여파로써 퇴출되는 일본을 일갈 및 통박하는 한국민주당 관련[편집]

고하 송진우 직계 일가족 관련
한국민주당 총재.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새벽 6시 15분 당시 무렵, 한현우 등을 비롯한 7명의 괴한들한테 권총으로 피습되어 향년 56세로 사살됨.
1945년 당시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의 한때 1918년에 이혼하였다가, 지난 1년 전이던 1944년에 재결합을 한 첫 아내 고흥 유씨 부인. 송자옥의 생모. 송자향의 계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의 2남 4녀 중 차녀(둘째 딸)이자, 고하 송진우의 초배 유차 여사의 소생. 김경수의 부인.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의 고하 송진우의 둘째 사위. 울산 김씨 문중의 후손.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의 2남 4녀 중 3녀(셋째 딸)이자, 고하 송진우의 전처 유보부 여사의 소생. 홍광표의 부인.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의 고하 송진우의 셋째 사위. 남양 홍씨 문중의 후손.
  • 김순경 : 유보부 역
1945년 당시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의 한때 1918년에 재혼하였다가, 지난 1년 전이던 1944년에 이혼을 한 전처 강릉 유씨 부인.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 사건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최고 총격 주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임자년생 쥐띠 34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기도수괴미수죄 등으로 징역 15년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1급 총격 공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을축년생 소띠 21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중무종사미수죄 등으로 징역 15년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중급 총격 공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갑인년생 호랑이띠 32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중무종사미수죄 등으로 징역 11년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하급 총격 공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병진년생 용띠 30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방조미수죄 등으로 징역 7년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하급 총격 공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병진년생 용띠 30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방조미수죄 등으로 징역 6년8개월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하급 총격 공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무오년생 말띠 28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방조미수죄 등으로 징역 6년5개월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 한창호 : 용칠이(본명 남궁재돈) 역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하급 총격 공범.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기미년생 양띠 27세. 1947년 2월 14일 당시, 미군정청 관련 주재 형사재판 끝에 내란음모목적살해 및 내란방조미수죄 등으로 징역 6년5개월형 최종 선고. 훗날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당시 북괴 이승엽 사법상에 의하여 특별사면 석방됨.
고하 송진우 한국민주당 총재 암살범 수괴 한현우의 수하 전곤(일명 광판이)의 친가 배다른 서얼 형. 1945년 12월 30일 (1945-12-30) 당시 정미년생 양띠 39세. 고하 송진우 암살 사건의 배후 조종 관련성 무혐의 피조처자.
조선총독부 점령 시대의 몰락
일제강점기 시대의 마지막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일제강점기 시대의 마지막 조선 주재 일본 총독.
아베 노부유키 총독의 마지막 비서실장. 조선총독부 마지막 총독(아베 노부유키)의 총독부 비서실 실장 역임.
일본 총리 역임.
1945년 을유 해방 정국 당시의 시대적인 과도기
전직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역임. 원래 그는 1906년 3월 9일, 29세 시절에 대한제국 육군 정위 전역.
정석용 전직 총독부 중추원 참의의 장남(첫째 아들)으로, 인권 변호사(대한제국의 인권 변호사 2세대 출신).
인권 변호사(대한제국 인권 변호사 1세대 출신)로, 정구영 변호사의 죽마고우. 훗날 1948년 9월 13일부터 1957년 12월 15일까지 초대 대한민국 대법원장 역임.
김병로 인권 변호사의 3남 1녀 중 장남(첫째 아들)이자 첫째.
김병로 인권 변호사의 외동 사위. 김재중의 매제. 김재열과 김재옥의 자형.
  • 최한호 : 김재열 역
김병로 인권 변호사의 3남 1녀 중 차남(둘째 아들)이자 셋째.
  • 김철화 : 김재옥 역
김병로 인권 변호사의 3남 1녀 중 3남(셋째 아들)이자 막내.

1945년 을유 8.15 광복 당시 대한제국 민본주의 군주제 황실 후예 관련[편집]

당시 69세. 지난 1926년 당시 53세 나이로 서거한 순종 이척(융희 황제)의 배다른 서제. 대한제국 민본주의 군주제 황가 일품 종실 출신. 대한적십자사 총재 역임.
당시 66세. 의친왕 이강(대한적십자사 총재)의 배우자 16명 가운데 정실 본부인.
당시 52세. 의친왕 이강(대한적십자사 총재)의 배다른 형수(창덕궁 낙선재 중궁전 이왕대비 해평 윤씨 부인).[7]
당시 57세. 의친왕 이강(대한적십자사 총재)의 6촌 재종제. 일제강점기 조선귀족 자작 지냄.

1947년 당시 신탁통치반대 시국 선언 관련[편집]

1947년 당시 고려대생 및 신탁통치반대 시국 선언 학생운동가. - 훗날 신민당 고문.
1947년 당시 서울대생 및 신탁통치반대 시국 선언 학생운동가. - 훗날 DJ 국민의 정부 시대 영부인.

1948년 당시 반민특위 관련[편집]

대한민국 2대 내무부 장관.
대한민국 3대 내무부 차관.

1950년 당시 이주하-김삼룡 국가 내란 공모 및 공동 첩보 은닉 기도 사건 관련[편집]

공산화 사회주의자.
공산화 사회주의자.
서울지검 검사.
서울지검 검사.

1950년 당시 김수임 사건 관련[편집]

월북 인사 및 북 외무성 차석부상.
월북 인사 및 북 외무성 차석부상 이강국의 평안남도 평양 본처.
월북 인사 및 북 외무성 차석부상 이강국의 옛 정인.
일제강점기 시대 소설가 겸 시인 출신의 월북 인사 및 북괴 시대 정치가.
일제강점기 시대 유화가 겸 미술평론가 출신의 월북 인사 및 북괴 시대 정치가(박태원의 친제).
대한민국 초대 육군참모총장.
이응준의 부인(1917년 당시 향년 41세로 서거한 이갑 대한제국 육군 장교의 딸)
대한민국 2대 육군참모총장. - 육군 중장 추증.
대한민국 3대 육군참모총장. - 예비역 육군 중장 예편 후 국방부 장관 역임.
대한민국 육군 제5여단장. - 훗날 이기붕 국방부 장관 예하 특별보좌관 등을 거쳐 연합참모본부 헌병 총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예비역 육군 중장 예편.
대한민국 육군 제5여단 예하 포병 대대장(대한민국 제3대 육참총장 등을 지낸 신태영 장군의 장남). - 훗날 육군 포병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예비역 육군 중장 예편 후 국방부 사무차관 겸 장관 직무대리 등을 역임.
2대 육참총장 채병덕 장군과 3대 육참총장 신태영 장군의 공통적인 측근 장교 및 예비역 육군 소령(백범 김구 선생 암살범).[8]
대한민국 초대 해군참모총장. - 예비역 해군 중장 예편 후 국방부 장관, 서독 주재 대사, 국민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거쳐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역임.
  • 김연자 : 홍은혜 역
손원일의 부인. 서양 고전 클래식 음악 전공자 출신.
손원일의 남동생.
손원일의 장남.
  • 조영수 : 손동원 역
손원일의 차남.

1950년 당시 6.25 한국 전쟁 시절 북괴에 납치된 대한민국 각종 분야 인사 관련[편집]

사회운동가 출신.
소설가 출신.
철학자. 일제강점기 시대 전문학교 철학 교수 출신의 전직 대한민국 초대 고려대학교 총장.
불교 승려 출신으로 속명(본명)은 허영호. 전직 대한민국 초대 제헌국회 무소속 초선 국회의원. 불교 법명은 경호. 아호는 현주.

1951년 당시 1.4 후퇴 시절 대한민국 월남 관련[편집]

민본주의 군주제 대한제국 시대 천도교 대교당 예하 제14대교구장 역임. 기미 민족 독립 선언 대표 48인 중 일원 출신. 1951년 일사 후퇴 당시 평안남도 성천 탈출 및 탈북 직후로는 향후 경상남도 부산시 범일동 월남.
민본주의 군주제 조선 시대 한성 우정국 통신원실장 역임.
오세창 우정국 통신원실 실장의 재혼 계배 부인.
오세창 우정국 통신원실 실장의 막내 아들. 1950년 장면 국무총리 비서실 예하 사정비서관, 1951년 이승만 대통령 경무대 비서실 예하 사정비서관, 1952년 이기붕 국방부 장관 예하 비서관 등을 지냄.
오일륙 비서관의 보통학교 5년 후배. 1951년 당시 이기붕 국방부 장관 예하 비서관.
당대 최고의 위트 있는 촌철살인 등을 자랑하던 시인 겸 정치평론가. 1945년 당시 8.15 광복 2년이 지난 훗날 1947년 당시 소련 군정 시대 함경남도 함주군 흥남 탈출 향후 미군정 시대 서울특별자유시 월남.
초허 김동명의 마지막 삼혼 삼취 부인. 김병우의 계모.
초허 김동명의 슬하 1남 5녀(6남매) 중 장녀(첫째). 김병우의 누나.
초허 김동명의 슬하 1남 5녀(6남매) 중 외동아들(둘째).
초허 김동명의 슬하 1남 5녀(6남매) 중 차녀(셋째). 김병우의 첫째 누이동생.
초허 김동명의 슬하 1남 5녀(6남매) 중 삼녀(넷째). 김병우의 둘째 누이동생.

1952 발췌 및 1954 사사오입 개헌 관련[편집]

1955년 당시 박인수 성추문 사건 관련[편집]

박인수 사건의 장본인. 신미년생 미남자 청년으로 여색을 농간하여 문제가 된 예비역 해병 중사 출신.
검사 출신으로 서울지검 검사장.
판사 출신으로 대법원 대법관.
법무부 장관.
국무총리 임시서리 등을 지낸 내무부 장관.
무소속 국회의원. 예비역 육군 상사 출신.
1955년 당시 의송 김두한 무소속 국회의원의 재혼 계배 부인.
1955년 당시 의송 김두한 무소속 국회의원의 지난 7년 전에 이혼을 한 전처.
서울지검 검사. 훗날 한성수와 사돈간.
법원행정처장. 훗날 이홍규와 사돈간.

1956년 당시 김창룡 육군 장성 사살 사건 관련[편집]

육군 특무부대장(수안 김씨 후손) - 육군 중장 추증
김창룡의 부인(성주 도씨 후손)
  • 천이슬 : 김미원 역
김창룡 부부의 슬하 1남 3녀 중 장녀
  • 김재광 : 김경진 역
김창룡 부부의 슬하 1남 3녀 중 둘째(외동 아들)
김창룡의 장모 - 수안 이씨 초년 과부 출신으로 원주 이씨 집안에 개가(이창희와 재혼)
이고명의 두번째 남편(원주 이씨 후손)
이창희와 이고명의 딸
이창희와 이고명의 막내 아들
김창룡의 처외숙부 - 이고명의 친정 남동생(수안 이씨 후손)
경무대 대통령 비서실 경찰서장(현풍 곽씨 후손)
곽영주의 부인(평산 신씨 후손)
수도경찰청 수사과 과장. 예비역 육군 중령 출신(교하 노씨 후손).
노덕술 수도경찰청 수사과장의 지인. 시문학가 겸 사학자(동주 최씨 후손).
최남선 작가의 친제. 일제강점기 시대의 전문학교 철학 교수 출신.
김창룡 암살 최대 배후 제공 및 예비역 육군 중장 출신(진주 강씨 후손)
  • 안재은 : 도재은(아명 도경숙) 역
강문봉의 부인(성주 도씨 후손)
  • 차인선 : 강근영 역
강문봉 부부의 슬하 1남 3녀 중 장녀
  • 김호정 : 강주영 역
강문봉 부부의 슬하 1남 3녀 중 차녀
강문봉의 부친 - 옛 만주국 재류 조선인 자산가 출신(함경북도 부령 떠난 월남 실향민)으로 대한민국 서울 대부잣집 대주. 부인(김해 김씨 후손 김해란 여사)과는 이미 사별(이미 부인을 병으로 인하여 상배).
강문봉의 첫째 남동생 - 예비역 육군 대령 출신
강문봉의 막내 남동생 - 한국 전쟁 당시 육군 하사 참전 및 전사
김창룡 암살 배후 방조 교사 및 예비역 육군 대령 출신(전주 이씨 후손)
이진용의 부인(경주 이씨 후손)
김창룡 암살 수괴 및 예비역 육군 대령 출신(하양 허씨 후손)
허태영의 부인(제안 황씨 후손)
  • 박선인 : 허옥희 역
허태영 부부의 슬하 3남 2녀 중 장녀
허태영 부부의 슬하 3남 2녀 중 막내 아들
  • 박선희 : 허옥영 역
허태영 부부의 슬하 3남 2녀 중 막내 딸(유복녀)
허태영의 첫째 남동생 - 전직 경찰관 경감 퇴임 출신
허태영의 둘째 남동생 - 예비역 육군 중위 출신
허태영의 맏 누이동생
허태영의 막내 누이동생
허태영의 부친
허태영의 모친(제안 황씨 후손)
허태영의 장모(장수 황씨 후손)
  • 홍은성 : 황운숙 역
허태영의 처제(제안 황씨 후손)
서울고등법원장.
조선일보 기자. 김창룡 육군 장성 사살 사건 등을 보도.

범야권 행정 및 내각 관련 인물[편집]

전직 민주당 중앙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전직 무소속 국회의원, 전직 국회의장 역임.
전직 초대 사회부 장관, 한국독립당 중앙위원 겸 당무위원, 무소속 국회의원 역임.
전직 한국민주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전직 서울특별시 시장 역임.
전직 경찰 경무관 출신으로, 전직 무소속 민의원 등을 지냈으며, 훗날 국방부 정무차관 역임.

1공 시대 문화 예술 분야 인사[편집]

당대 최고의 문덕 높음이 매력을 자랑하던 시조 시인사학자대학 교수.
당대 최고의 위트 넘치는 소설 작품으로 유명하던 소설가 겸 번역문학가.
당대 최고의 추리 감각 넘치는 소설 작품으로 유명하던 소설가 겸 번역문학가.
정치 깡패 출신의 영화제작자.
당대 최고의 예술 감각 넘치는 서체가 농염미 등을 자랑하던 서예가.
당대 최고의 인기 희극영화배우.
당대 최고의 인기 희극영화배우.

군정 인물[편집]

소련[편집]

소비에트 연방 총리 겸 각료평의회 의장.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장.

미국[편집]

미군정 임시 치하 남조선 과도정부 시대 미군정청 군정장관 겸 최고사령관.[9] 1953년 예비역 미국 육군 대장 예편.
미군정 임시 치하 남조선 과도정부 시대 미군정 수장 존 리드 하지(미군정청 군정장관)의 예하 비서실 실장.[10] 1949년 예비역 미국 육군 대령 예편.
미군정 임시 치하 남조선 과도정부 시대 미군정 수장 존 리드 하지(미군정청 최고사령관)의 예하 전속부관.[11] 1949년 예비역 미국 육군 중령 예편.

기타 인물[편집]

결방[편집]

  • 1981년 7월 23일 〈대한민국 대 중국〉의 배구 경기 하이라이트 방송과 유니버시아드대회 남자 배구(〈대한민국 대 중국〉)의 위성중계로 인해 결방[12]
  • 1981년 8월 13일 8.15특집 다큐멘터리 〈빼앗긴 36년, 되찾은 36년〉의 방송과 제10회 자카르타 국제축구대회 〈대한민국 대 불가리아〉의 실황 중계로 인해 결방[13]
  • 1981년 8월 20일 제10회 자카르타 국제축구대회 준결승전 실황 중계로 인해 결방 텔레비전[13]
  • 1981년 12월 3일 창사 20주년 특집 드라마 《이심의 비련기》의 방영으로 인해 결방[13]
  • 1981년 12월 24일 성탄절 특선명화 《콘스탄틴 대제》의 방영으로 인해 결방[13]
  • 1981년 12월 31일 MBC 10대 가수가요제의 방영으로 인해 결방[13]

회차별 부제[편집]

1981년
회차 부제 본 방송일
제1회 4월 2일 이승만과 김구
제2회 4월 9일 암살, 암살, 암살
제3회 4월 16일 조만식과 김일성
제4회 4월 23일 테러
제5회 4월 30일 이승만 1946년
제6회 5월 7일 남로당
제7회 5월 14일 1947년 여름 삼영수
제8회 5월 21일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제9회 5월 28일 김구와 남북협상 (上)
제10회 6월 4일 김구와 남북협상 (下)
제11회 6월 11일 초대 대통령 이승만
제12회 6월 18일 여간첩 김수임
제13회 6월 25일 오판
제14회 7월 2일 이화장의 조각당
제15회 7월 9일 국회 프락치 사건
제16회 7월 16일 반민특위 사건 (上)
제17회 7월 30일 반민특위 사건 (下)
제18회 8월 6일 대통령의 사람들
제19회 8월 27일 아, 백범 (上)
제20회 9월 3일 아, 백범 (下)
제21회 9월 10일 5·30 선거
제22회 9월 17일 적치하 90일
제23회 9월 24일 전시하의 경무대
제24회 10월 1일 부산 정치파동
제25회 10월 8일 우남의 재출발
제26회 10월 15일 평화선
제27회 10월 29일 전시하의 상인들
제28회 11월 5일 반공포로 석방과 휴전
제29회 11월 12일 족청계 거세와 이기붕
제30회 11월 19일 박인수 사건
제31회 11월 26일 자유당 압승 (上)
제32회 12월 10일 자유당 압승 (下)
제33회 12월 17일 이기붕과 자유당
1982년
제34회 1월 7일 김일성과 숙청극
제35회 1월 14일 한글파동
제36회 1월 21일 김두한과 이정재
제37회 1월 28일 양자 이강석
제38회 2월 4일 예술인단과 임화수
제39회(終) 2월 11일 민주당 신구파 분쟁과 제1공화국의 종식

수상[편집]

각주[편집]

  1. 서얼 출신 관료 박중양 도지사의 아버지 박정호(1892년 9월 22일, 향년 53세로 하세한 조선 시대 향반)는 친조부 박기숙(1909년 8월 11일, 향년 110세로 하세한 대한제국 시대 향반)의 서자(아버지(박정호)가 할아버지(박기숙)의 서자였던 관료 박중양).
  2. 1944년 당시 향년 41세로 하세한 이육사(본명 이활) 시인의 친제.
  3. 일제강점기 총독부 경상북도 청도군 군수 등을 지낸 안국선(1926년 당시 향년 49세로 하세한 신소설 작가 출신의 행정 관료)의 장남이며 안막(북괴 문화선전성 부상 역임)의 6촌 재종형.
  4. 일제강점기 총독부 경상북도 청도군 군수 등을 지낸 안국선(1926년 당시 향년 49세로 하세한 신소설 작가 출신의 행정 관료)의 5촌 종질이며 안회남(소설가)의 6촌 재종제.
  5. 북괴 문화선전성 부상 등을 지낸 안막(문학평론가 출신의 정치가)의 부인.
  6. 1912년 5월 29일 일제강점기 경성부 출생으로, 2007년 11월 24일, 일본(오사카)에서 향년 96세로 하세.
  7. 순종 이척(융희 황제)의 재혼 계배 부인. 지난 1922년 당시 2세 나이로 요절한 양자 이진(순종 황제 이척 부부의 양자이지만 원래는 순종(이척)의 막내 배다른 서제 영친왕(이은)의 슬하 2남 중 장남)의 양모.
  8. 1949년 4월, 김창룡 육군본부 특무대장 일당과 지청천조병옥 체제의 한민민국당 일행과 장택상 외무부 장관노덕술 수도경찰청 수사과장과 원용덕 육군 제5여단장 일당의 공통적인 사주를 받음으로 인하여 육군 소위 시절이던 1949년 6월 26일 당시 백범 김구 비상국민회의 부의장을 암살한 예비역 육군 소령 출신으로 1953년 12월 10일, 육군 소령 강제 예편 향후 강원도 인제 소재 군납 기업체였던 신의기업사 사장 등을 지냄.
  9. 웨스트포인트(미국 육군사관학교)가 아닌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건축학학사)를 나온 미국 육군포병사관후보생 출신인 입지전적의 미국 육군 장성.
  10. 미군정 임시 치하 남조선 과도정부 시대에 미군정청 예하 육군 군사경찰연대장·재조선 미국 육군 사령부 예하 헌병감 등을 지냈으며 최종적으로 존 리드 하지(미군정청 군정장관)의 비서실 실장 등을 지낸 영국 런던 태생의 미국 시카고 이민자 출신으로 어린 시절 직족(直族)들과 미국에 이주하여 미국 시민권 취득 후 오클라호마 주립 대학교(행정학학사)를 나온 미국 육군포병사관후보생 출신으로 미국 육군 장교 복무.
  11. 미국 육군사관학교·보병학교조지아 주립 대학교(법학학사)를 나온 고급 영관 장교.
  12.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표 참고.
  13. 프로그램 편성표 참고.
문화방송 목금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
제1공화국
(1981년 4월 2일 ~ 1982년 2월 11일)
장희빈
(1982년 2월 18일 ~ 1982년 4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