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147483647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3월 22일 (토) 18:33 판 (Twojp7451(토론)의 편집을 Banwol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서울시내버스 341번
관리 주체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차적지서울특별시 · 경기도 일원
운행 지역인천광역시
노선 수420
차량 수7967
웹사이트서울특별시 교통정보센터

서울특별시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7600여대의 버스로 운행되고 있으며, 하루 500만명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1]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역사

몽골에서 운행 중인 옛 서울시내버스 차량

서울에서는 1889년 노면전차가 첫 운행됨으로써 근대적 대중교통이 시작하게 되었다. 1912년 일본인들이 정기버스를 운영하게 됨으로써 서울에서 처음 버스가 선보였다. 1949년 8월 17개의 버스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서울시의 시내버스는 합승택시, 합승버스, 좌석버스 등의 형태로 운행이 되었고, 현재의 버스체계는 2004년 이명박 시장의 역점사업으로 완성된 것이다. 서울시2009년 버스운행 60주년을 맞아 새벽 첫차를 이용하는 시민에게 빵과 음료수 등 선물을 나눠주고 101번과 150번 버스 등 11개 노선에서 유니폼을 입은 도우미가 승ㆍ하차를 안내하는 '추억의 버스 안내양' 행사를 가졌다.[2]

연보

현황

현재의 서울시내버스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큰 틀이 확정되었다.

현재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08개, 지선버스 292개, 광역버스 43개 노선으로 총 420개 노선, 7967대 버스가 모두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12]

서울시는 2003년부터 저상버스를 도입, 현재 751대가 운행중이며, 2012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중 광역버스를 제외한 절반을 저상버스로 바꿀 계획에 있다.[13]

이외에도 버스 도착 시간이 불규칙하다는 지적에 따라 서울특별시는 2011년까지 모든 버스 정류소에 안내 단말기를 설치하고[14] 대기 오염 예방을 위하여 2010년까지 천연가스버스로 모두 바꾸겠다고 밝혔다.[15]

종류

현재 서울시내버스는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광역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등의 여섯 종류로 나뉘어 있으며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 간선버스는 서울의 주요 교통 결절점을 운행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형버스에 해당한다.
  • 지선버스는 각 주거 지역과 교통 결절점을 운행 및 지하철을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도시형버스에 해당하며, 순환버스마을버스에 해당하는 요금을 징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 곳에는 특정한 시간동안 운행하는 맞춤버스도 일부 포함된다.
  • 순환버스는 지역 내를 순환하며 운행하는 역할을 한다. 마을버스와 유사하나, 요금의 차이가 있다.
  • 광역버스는 수도권과 서울의 도심 및 부도심을 빠르게 운행하는 것을 역할을 한다. (직행)좌석버스에 해당한다.

노선 번호

다음은 서울시내버스의 노선 번호 지정 규칙이다.

종별 첫째 자리 번호 둘째 자리 번호 셋째 자리 번호 넷째 자리 번호
순환버스 버스가 운행되는 지역 일련 번호(1~) (없음)
간선버스 출발 지역의 번호 도착 지역의 번호 일련 번호(0~) (없음)
지선버스 출발 지역의 번호 도착 지역의 번호 일련 번호(11~)
광역버스 9 출발 지역의 번호 일련 번호(00~)
맞춤버스 8 출발 지역의 번호 도착 지역의 번호 일련 번호(0~)
공항버스 6(0~7) 일련 번호(00~)
심야버스 N 출발 지역의 번호 도착 지역의 번호 (없음)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의 권역 부여 면에서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16]

주요 권역

구분 주요 지역 연장선
0권역 중구, 종로구, 용산구 (없음)
1권역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경기도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2권역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 양평군
3권역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광주시, 하남시
4권역 서초구, 강남구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5권역 금천구, 동작구, 관악구 경기도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안산시, 과천시, 수원시
6권역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영등포구 인천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7권역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요금 및 환승제도

요금

다음은 상세한 요금표다.

종류 나이 카드 () 현금 () 종류 나이 카드 () 현금 ()
광역(R)
(직행좌석)
어른 (만 19세 이상) 1850 1950 간선(B),지선(G)
맞춤,41번
(도시형)
어른 (만 19세 이상) 1050 1150
청소년 (만 13세 ~ 18세) 1360 18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720 1000
어린이 (만 7세 ~ 12세) 1200 1200 어린이 (만 7세 ~ 12세) 450 450
마을버스 어른 (만 19세 이상) 750 850 순환(Y),지역순환
41번 제외
어른 (만 19세 이상) 850 950
청소년 (만 13세 ~ 18세) 480 550 청소년 (만 13세 ~ 18세) 560 800
어린이 (만 7세 ~ 12세) 300 300 어린이 (만 7세 ~ 12세) 350 350
- 차등요금으로 지불하는 지역순환형 지선(G) 노선은 순환(Y) 노선과 동일한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
- 예외적으로 41번은 순환(Y) 노선이나, 요금은 간선(B)/지선(G) 노선의 요금과 동일하게 징수한다.
심야버스는 광역버스와 요금이 같다.

환승 제도

  • 서울시내버스, 경기시내버스, 인천시내버스수도권 전철수도권 통합요금제의 대상이므로 기본 10km까지 기본요금이 부과되며 서울 광역버스, 경기도 일반좌석, 직행좌석버스, 인천의 좌석 (단, 103번, 103-1번, 111-2번, 112번, 780번, 780-1번 버스는 10km)버스, 광역버스를 1회 이상 이용시 30km까지 기본요금이 부과된다 그 이후에는 초과되는 매 5km마다 100원의 추가 요금 (성인 기준)이 부과된다. 최대 요금 제한은 각 교통수단 이용시의 최대 요금 합이다. 또한, 현금 이용시에는 거리 산정이 불가능하므로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단 40km 초과 환승통행은 10km마다 100원이 추가된다.
  • 환승 할인 혜택을 받고자 할 경우 내릴 때 단말기에 카드를 대야 한다. 단독 승차시에는 기본요금만 징수하므로 내릴 때 카드를 댈 필요는 없으나, 혼동 방지를 위해 무조건 카드를 대고 내리는 것이 권장된다.
  • 같은 노선 (108번의 2가지 지선등 일반 노선간 포함)에서는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나, 타업체 공동 운행 노선 (3011번, 9503번과 안양 3030번, 9714번과 파주 8880번 등), A/B 구분이 다른 버스(110A번과 110B번, 241A번과 241B번 등)는 다른 노선으로 인식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또한 차고지 사정 등으로 인해 특별히 조정을 하는 경우도 있다(서울시내버스 4318번, 서울시내버스 5618번, 서울시내버스 650번, 서울시내버스 6628번, 서울시내버스 6630번 등).
  • 다인승 탑승 및 환승 할인은 시내버스에서만 가능하며, 동일 인원이 동일 목적지까지 이동할 경우에만 인정받을 수 있다.

버스안내시스템 및 차량

  • 버스안내시스템 : 2004년에 서울특별시는 모든 서울특별시 소속 버스에 버스 관리 시스템 단말기를 설치하였다. 이 단말기는 위성으로 버스 사령실과 연결되어 현재 각 버스의 위치, 운행 속도 등을 전송한다. 서울특별시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노선별 버스 위치, 정류장별 도착 예정 버스 정보를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고, 정류소별 도착 정보 및 막차 이동 정보 등을 서울특별시 버스안내시스템을 통하거나 1577-0287 ARS 서비스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ARS 서비스의 경우 '1577-0287 > 7# > 정류소코드# > 노선번호#'의 순서로 이용 가능하다.
  • 차량 :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현대자동차대우버스, 한국화이바의 차량이 이용되며 일부 노선에서 저상버스, 스카니아사와 이베코사에서 만든 굴절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2012B번, 110B번에서와 같이 일부 노선에는 최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이 도입되었다.
  • 차량 출고 규정 : 서울시내버스는 일반적으로 차량을 천연가스버스만 출고하도록 의무화 되어있다. 다만 예외적으로는 북부운수 소속의 남산순환버스에 한국화이바 전기버스를 투입하며, 도로가 좁은 공간에서는 현대자동차에서 제작한 소형버스인 현대 카운티 및 노선거리가 길지 않은 대진여객 소속 성북05번의 승합차 차종을 제외하고는 서울특별시 소속 모든 시내버스에서는 전량 천연가스버스가 의무적으로 출고된다. 참고로 영신여객 소속 109번하고 120번에는 아직도 디젤차량이 운행중에 있다. 또한 신차 출고시에는 지선/간선형의 노선에는 신차 출고시 입석형 차량을 출고해야하는 규정이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는 광역버스에서 형간 전환된 경우, 광역버스에서 차량을 감차하여 타 노선에 증차하는 경우에는 좌석형 차량을 예외적으로 허용한다. 또한 서울특별시와 협정을 맺은 KD운송그룹 소속의 대원여객,대원교통은 승객의 사고 방지 및 인명피해 방지를 위해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참여 (대원교통만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참여)하여 신차 투입하는 경우 및 저상버스를 제외하고는 신차 출고시에 2x1배열의 좌석형 차량을 옵션으로 출고하도록 승인받았다.

노선 운행 규정

서울특별시는 업체당 굴릴 수 있는 노선 형태를 개편 당시에 규정하였다. 일반 시내버스 업체는 마을버스 노선을 제외한 지선/간선/순환/광역노선 모두를 굴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예외적으로는 선진운수, 대진여객, 범일운수 에서만 마을버스를 굴릴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17] 또한 전환 시내버스 업체는 간선버스를 굴릴 수 없도록 규정하였는데 이 때문에 풍양운수를 인수하여 흡수 합병한 오케이버스간선버스 602번 문제로 전환 시내버스 업체에서 정규 시내버스로 법인승격된 계기가 되었다.

공항버스

공항버스는 서울의 주요 지역과 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을 빠르게 운행하고 있다. 공항버스는 준공영제 대상이 아니고, 운임 체계가 별도로 만들어져 있으며, 공항버스와 택시간(다만, 모두 서울특별시 차적이어야 한다)의 환승할인, 영종도 관광지 연계버스 환승할인 이외의 환승할인은 불가능하다. 공항버스는 현재 21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요금은 최대 15000원으로 노선마다 다르고, 공항리무진주식회사서울버스주식회사에서 운영한다. 또한 코엑스 인근에 위치한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운행하는 직행 리무진이 있으며 대한항공 KAL리무진에서 운행하는 서울시내 주요호텔에서 인천국제공항간 직행 리무진이 있다.

타 지역 노선과의 공동 운행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에는 서울시내버스와 경기시내버스 (남양주권, 일산권, 분당권 등) 간에 공동 운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업체 간 과당 경쟁 완화가 주 목적이지만, 최근에는 시내버스 총량제로 인해 증차가 불가능하게 되어 불가피하게 공동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출처 필요] 하지만 개편 이전에도 수익성 악화와 양 사간 운행질서 방해등으로 잦은 마찰 등을 이유로 공동 운행 참여 업체 중 일부가 운행을 포기하는 경우 (고양 1008(현 108)번, 921번, 1000번 등)가 있었으며, 개편 이후에는 이 외에도 면허 이관, 노선 변경 등의 이유로 인해 이 형태를 유지하는 노선들의 수는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공동 운행하는 노선들 간의 운행 경로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경기도 용인시 죽전동압구정동갤러리아백화점을 오가던 광주시 면허의 9414번 직행좌석버스의 경우 형식상으로는 서울 면허와 공동 운행하였지만 서울 면허의 9414번 (오리역 출발)과 경기 면허의 9414번 (죽전동 출발)의 기점이 다른 곳이었다. 이후 서울 9414번은 폐지되었고 경기 9414번도 삼성역으로 단축되어 운행 중이다. 이 외에도 행정적인 편의를 위해 임시로 공동 운행을 해 온 경우도 존재한다. 경동시장과 양수리, 운길산역을 오가는 남양주 167번의 경우, 기존에 운행해오던 서울 면허의 2228번 노선을 폐선하는 과정에서 행정적인 편의와 승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3개월여 간 임시로 공동 운행하였다. 현재 서울 및 경기도 간 공동 운행 노선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서울역을 오가는 서울 9714번 / 파주 8880번,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과 경기도 광명시 광명보건소를 오가는 금천09번 마을버스 / 광명 마을버스 2번이 있다.

노선 목록

다른 시, 군 운수업체

통계

다음은 서울시내버스의 수송 분담률 및 수송 인원을 나타낸 것이다.[18] 전체적으로 수송 인원 및 수송 비율이 감소하는 것은, 지하철 또는 자가용을 이용하여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06년에는 일 평균 4,550,962명을 수송하였으며, 이를 전체 인가 대수로 나누면 한 대의 버스가 평균 675명을 실어나른 것이 된다.

년도 수송분담률 (%) 수송 인원 (명)
1990년 43.30 6,949,522
1995년 36.70 5,280,470
2000년 28.30 4,281,310
2005년 26.20 4,468,505
2006년 27.50 4,550,962

차고지

서울시내버스를 담당하는 공영 차고지는 다음과 같다.(2013.10.27 기준) 다만 그 외에 차고지는 각 운수업체에서 직접 운영한다.

명칭 소재지 운수업체
강동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 서울승합, 대원여객, 송파상운, 신명운수, 강동교통
강서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다모아자동차, 공항버스, 정평운수, 새한교통, 홍도산업, 염경운수, 대운교통, 공항리무진
송파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한국비알티자동차, 한서교통, 대성운수, 남성교통, 동성교통, 스마일버스, 은곡운수, 정평운수
은평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 유성운수, 선진운수, 원버스, 보광교통, 현대교통
중랑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대원교통, 상진운수, 북부운수, 메트로버스, 용림교통,
진관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신성교통, 제일여객, 한국비알티자동차
상암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다모아자동차
양천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오케이버스, 세풍운수, 관악교통, 도원교통, 신목교통
장지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서울버스, 진화운수
도봉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서울교통네트웍, 한국비알티자동차

시계외 차고지 : 서울시계외를 벗어나는 벗어나는 운수 업체도 있다. 이에 따라서 해당 운수업체가 운영하는 차고지 소재지를 서술한다.

해당 차고지 소재지 운수업체
경기도 의정부시 대원여객[19]
경기도 양주시 제일여객[20], 대원여객[21]
경기도 하남시 대원여객[22]
경기도 성남시 동성교통[23], 남성교통[24]
경기도 군포시 대원여객[25], 군포교통[26], 우신버스[27]
경기도 안양시 안양교통[28]
경기도 광명시 범일운수[29], 한성운수[30], 보영운수[31], 세풍운수[32]
경기도 부천시 신길운수[33]
경기도 고양시 선진운수,[34]동해운수[35],제일여객, 신성교통[36], 신촌교통[37]
경기도 파주시 신성교통[38]
경기도 남양주시 태릉교통[39]

사진

주석

  1. 류지영, “오라이… 탕탕” 서울 시내버스 환갑 맞았어요,서울신문
  2. 박민주, 추억의 '버스 안내양' 外, MBC
  3. 60년대 엘리트 직업, 70년대엔 시위대도 길 터줘 중앙일보
  4. 서울교통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저/2000년/621페이지
  5. 서울교통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저/2000년/640페이지
  6. 서울교통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저/2000년/630,640페이지
  7. 동아일보 1967년 3월 13일
  8. 60주년 맞은 서울 시내버스 [올댓뉴스
  9. 매일경제 1982년 8월 11일 11면
  10. 동아일보 1984년 11월 1일 11면
  11. 김우성 기자. “수도권 대중교통할인 인천까지 확대”. 조선일보.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2. 이재철 기자. “서울이 늙어간다…10년새 노인 78% 증가”. 한국경제. 2009년 10월 17일에 확인함. 
  13. 조영주 기자. “서울 저상버스 비중 50%로 늘린다”. 아시아경제. 2009년 10월 19일에 확인함. 
  14. “서울시내 전 버스중앙정류소에 '안내단말기'. 연합뉴스.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5. 김환기 기자. “서울 시내버스 모두 천연가스車로”. 세계일보.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6. 지선버스 1155번, 1156번, 5534번, 5535번, 5536번, 5618번, 5627번, 5630번, 5633번, 5714번, 6635번, 간선버스 202번, 302번, 303번, 401번, 402번, 441번, 461번, 502번, 503번, 504번, 505번, 540번, 541번, 542번, 704번, 광역버스 9403번
  17. 남양주시 차적의 계열사인 흥안마을버스를 굴리는 흥안운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18. http://www.sbus.or.kr/intro/5/02.htm,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
  19. 의정부시 가능동에 차고지 보유
  20.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154에 송추사업소 보유
  21. 양주시 덕정동에 차고지 보유
  22. 하남공영차고지를 사용한다.
  23. 성북구 정릉동 820-18 소재. 상대원 영업소와 구미동 본사 보유
  24. 성북구 정릉동 818 소재
  25. 군포복합화물터미널 공영차고지
  26. 구로구 구로동 145-17 소재. 군포공영차고지 보유
  27. 서초구 방배동 2922 소재. 군포공영차고지 보유
  28. 구로구 개봉동 126-32 소재.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차고지 보유
  29. 광명시 노온사동에 차고지 보유
  30. 광명공영차고지 보유
  31. 금천구 가산동 29-6 소재. 광명공영차고지 보유
  32. 철산동 영업소 보유
  33. 상동에 차고지 보유, 고강공영차고지 10% 지분 출자, 보유
  34. 일산 가좌동과 고양시 서오릉에 영업소 보유
  35. 종로구 혜화동 22-9 소재. 대화동에 영업소 보유
  36. 탄현동에 영업소 보유
  37. 서대문구 남가좌동 295-5 소재. 덕양구 덕은동과 일산서구 설문동에 영업소 보유
  38. 파주시 교하읍, 맥금동, 문산읍 문산터미널에 영업소 보유
  39. 노원구 공릉동 27-11 소재. 남양주시 별내동에 차고지 보유

함께 보기

바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