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부산광역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ugu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이름 = 부산광역시
|이름 = 부산광역시
|그림 = Busan montage.png
|그림 = Busan montage.png
|면적 = 765.64
|면적 = 766.12
|인구 = 3,535,620
|인구 = 3,414,950
|총인구_조사연도 = 2010년<ref>[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대한민국 국가통계포털 > 인구 · 가구 > 총조사인구(2010) > 연령 및 성별 인구 - 읍면동, 성별 외국인 - 시군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2011년]] [[6월 2일]] 확인.</ref>
|총인구_조사연도 = 2010.5.31
|인구밀도 = 4,825
|인구밀도 = 4,457.5
|자치구 = 15
|자치구 = 15
|군 = 1
|군 = 1

2011년 6월 7일 (화) 11:24 판

틀:대한민국 대도시 정보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Ko-Busan.ogg" 오디오 파일이 없습니다)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이다. 동쪽으로는 동해, 남쪽으로는 남해와 닿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김해시창원시, 북쪽으로는 양산시, 울산광역시와 닿아 있다. 또한 부산광역시의 서쪽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이 흐르며, 강서구 북쪽에서 낙동강과 갈라져 흐르는 서낙동강이 있고 서낙동강 서쪽 일부가 부산에 편입되어 경상남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총 면적은 765.10㎢이고, 2009년 기준으로 3,574,347명이 살고 있으며 인구밀도는 4,825명/㎢로 파악되었다.

부산광역시는 2002년 아시안 게임2002년 FIFA 월드컵, 2005년 APEC 정상회담이 개최되었고, 부산 비엔날레와 세계적인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가 매년 열리는 국제적 대도시이다. 2010년 4월 29일에는 2층이 열려있는 2층버스를 시티투어버스에 투입·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역사

1900년대 초의 부산항
1945년 이전의 부산부청
1945년 이전의 변천정

삼국 시대

삼한시대에는 해운대 지역에 《거칠산국》(居柒山國)에 있는 작은 지역이었다. 서기 1세기 후반인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가야의 각축장이 되었다.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가야가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757년 경덕왕에 의한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양주(良州, 현재 양산시) 소속의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되었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

고려 / 조선 시대

고려시대1018년 동래군이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되고 울주(蔚州)의 속현이 되며 동래군의 속현이던 동평현은 양주(梁州)의 속현이 되었다.

1397년 동래군에 진(釜山鎭)이 설치되었다. 1405년 울주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독립현이 되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 경상좌수영을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옮겼다. 9월1일 이순신이 부산포 해전(부산 해전)으로 승리을 거두었다.

전후에는 부산진이 조선 통신사의 출항지로 활용되었다.

근대

1877년 조일수호조약에 의해 조선이 강제 개항되었을 때, 인천, 원산과 함께 3대 개항지 중의 하나이며, 왜관은 일본인 거류지가 되었다.

1895년 음력 윤 5월 1일 동래부(東萊府)로 승격되었고, 이듬 해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동래군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부산항이 무역항으로 정비됨과 동시에 항구 도시 부산은 발전하게 된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고 부산역이 문을 열었다.

1895년에 경상도가 폐지되고 동래부로 바뀌었는데, 그 이듬해 경상남도가 되었고, 도청이 부산에 설치되었다. 일제 시대, 1914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동래군에서 부산부로 바뀌었다. 이 때 외곽의 기장군이 동래군으로 통합되었다.

1936년, 1942년 두 차례에 걸쳐 부산부는 영역을 확장하였다. 1936년 서면 (현부산진구 일대)이, 1942년 동래읍 등 (현 동래구 일대)이 동래군에서 부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현대

부산 APEC에서의 정상들

1949년 부산부는 부산시로 개칭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서울이 함락되면서, 부산은 1953년까지 대한민국 임시 수도가 되었다. 부산은 전쟁을 피해 많은 난민이 유입되어 인구가 증가되었다. 1957년에 출장소를 다시 구가 설치되고 1963년에는 《부산직할시》로 승격했다. 한국 전쟁 후 김해군 일부 (현재 강서구 일대)을 편입하는 등 여러 곳의 시역을 확대하였다. 1995년에 《부산광역시》로 명칭을 바꾸고, 양산군의 옛 동래군 지역 (현재 기장군)을 시역에 편입했다.

오랫동안 시청은 항구 주변 구시가지의 낡은 건물을 사용했지만, 1999년에 연제구에 시정부 청사를 건설하면서 이전하였고, 법원 등도 연제구에 위치하게 되었다. 시청 철거지에는 고층의 롯데 월드가 건설 중에 있으며 2013년 완공될 예정이다. 시의 인구는 최근까지 증가 추세를 따라 약 400만 명 안팎에 달했다가 2000년 이후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1996년 9월 13일에 첫 《부산국제영화제》(PIFF)를 개최한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국제 영화제로 자리를 잡았으며, 2002년 5월 31일에는 FIFA 월드컵 경기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2005년 11월 18일노무현 대통령의 임기 기간에 《APEC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2012년 11월 18일에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기장역사테마파크를 착공할 예정이다

행정구역

2009년 1월 1일 현재 부산광역시에는 15개 구와 1개 군이 속해있으며, 그 아래로 253개 동 · 리와 2개 읍, 3개 면이 속해있다.

부산의 구 · 군 행정구역도
  • 자치군
    • 기장군(機張郡) : 일광해수욕장, 임랑해수욕장, 장안사 등이 위치

부산광역시장

연산5동에 있는 부산광역시청

부산광역시의 장은 부산시(당시 부산부)가 동래군과 분할한 뒤 부산부윤(釜山府尹)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해방이 된 뒤 로 명칭이 변경되어 경상남도부산시장(慶尙南道 釜山市長)으로 변경되었으며 직할시로 승격된 후 부산직할시장(釜山直轄市長)을 거쳐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 해방 후 부산부윤과 부산시장은 민선으로 선출하다가 8대 ~ 28대 시장까지는 관선으로 임명하였으며,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부산광역시가 되면서 민선으로 선출하고 있다.

현재는 34대 시장으로 허남식 시장이 연임하고 있다.

인구

연도 인구(명) 가구(세대) 인구밀도
(명/㎢)
세대당 인구
(명)
1963년 1,360,630 245,364 3,777 5.5
1970년 1,842,259 371,228 4,936 5.0
1980년 3,159,766 689,371 7,302 4.6
1990년 3,798,113 994,033 7,175 3.8
1995년 3,892,972 1,132,360 5,198 3.4
2000년 3,812,392 1,199,804 5,017 3.2
2005년 3,657,840 1,270,612 4,785 2.9
2008년 3,596,063 1,311,724 4,695 2.7
자료:부산시 통계연보[1]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

현재 부산은 1996년부터 계속 되는 인구 감소로 약 389만명이던 인구가 350만명 선으로 떨어졌다.

이유는 부산광역시 내의 일자리 부족으로 수도권 지역으로 집중되는 인구와 경남으로 유출 되는 인구가 많고(역도시화),출산율이 전국 최하위인것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 한편, 부산지역 출산율은 2008년 기준 0.98명으로 출생아수는 약 25000여명에 불과하다.

낮은 출산율과 특·광역시중 가장 높은 고령화로 부산은 타 도시들보다 비교적 적극적인 출산장려대책을 펴고 있으나 출산율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리기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2009년 12월31일 24시 부산광역시 인구는 357만 4347명으로 2008년보다 21700명이 줄었다.(주민등록상 인구) 그리고 여전히 인구 감소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으며,그에 따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시에서는 2000년대 들어 줄어들고 있는 인구를 막기위해서 여러가지 정책을 펼쳐왔으나 인구감소는 지속 되었다. 그러나, 감소율이 0.6%로 2002년 1.07%보다는 현저히 낮아졌다는 것이다.

2010년 들어 부산은 감소세가 뚜렷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0년의 인구 감소는 19600여명이 줄어들어 조금 완화되었다.

2009년 출산율은 0.94명으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통계청 발표) 2010년 출산율은 1.04명으로 종전 2009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났으며, 그에 따른 출생아 수도 27300여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따라서 1.01명에 그친 서울을 제치고 출산율 최하위 도시라는 오명을 1997년 통계이래 처음으로 벗게 되었다.

지리

한반도 동남쪽 끝에 위치하며, 한국의 주요 도시 중 가장 일본에 가까우며, 대한해협의 서쪽을 사이에 두고 쓰시마 섬을 사이에 두고 있다. 해운대구에서 겨울에 육안으로 직접 이곳을 볼 수 있는 날이 연간 60일 있다.

북쪽으로는 울산광역시, 양산시를 인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김해시창원시가 경계를 마주한다.

기후

부산은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한다. 부산의 연평균 기온은 14.4℃, 연평균 강수량은 1491.5mm이다. 쓰시마 해류가 흐르는 대한해협과 맞닿아있어 특히 다른 곳 보다도 뚜렷한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또한 아시아 대륙 동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백나무와 같은 조엽수림이 잘 자란다. 상대적으로 겨울이 건조하고 여름은 다습하여, 물 자원 관리가 어려운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쪽에 있는 낙동강의 하상계수는 상당히 크게 나타난다.

부산 (1971-2000)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출처: [2]

농어업

어항

교통

전철 및 승용차, 버스, 택시가 주된 부산의 교통 수단이다. 강서구에는 부산 지역을 담당하는 김해국제공항이 있고, 경부선 KTX부산역에서 출발한다.

국제 교통

공항

  • 국내선
강서구에 있는 김해국제공항 국내선청사에서 김포, 제주 등에 취항한다.
  • 국제선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중국(베이징, 항저우, 상하이, 칭다오, 선양, 광저우), 미국, 독일(뮌헨),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하노이, 호치민), 태국(방콕) 등으로 가는 국제선 비행기 편이 있다. 지리적으로 남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동남아나 일본 지역은 인천보다 훨씬 가깝기 때문에 비행 시간이 더 짧다.

항만 & 선박

부산항

가덕도 종합개발은 1996년부터 2011년까지 사업비 7조 780억원(신항만 5조 5,898억원, 배후도시 1조 4,882억원) 총 551만 평(신항만 257만 평, 배후도시 294만 평)의 규모로 신항만, 국제업무, 물류기지, 배후수송망 등을 개발하는 사업을 말한다. [3]

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일본 시모노세키, 후쿠오카, 오사카를 일본 국적과 한국 국적의 여객선이 왕복한다. 뉴카멜리아, 코비, 부관훼리, 팬스타가 정기적으로 왕복을 한다.

연안여객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제주도를 오가는 정기적인 배편과 대마도를 오가는 정기적인 배편이 있다.

영도구 대평동과 중구 남포동을 잇는 영도 도선, 진해 용원과 강서구 가덕도를 잇는 도선, 중앙동을 출발하여 태종대, 오륙도, 광안대교를 거쳐 해운대 미포선착장으로 가는 유람선, 용호동과 오륙도를 잇는 유람선, 태종대와 오륙도를 왕복하는 태종대 유람선 등이 운항중이다.

시외교통

철도

파일:Busanstation.jpg
부산역

도로

경부고속도로 노포 나들목에서 직접 합류ㆍ분기하며(불가리아 방향으로만 진ㆍ출입 가능), 구서 나들목에서 1km 정도 달리면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불가리아 방향, 일본 방향)에 진입할 수 있다.

버스

  • 고속버스 :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전국 각 지역으로 가는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광주와 인천방면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시외버스 :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동부경남, 경북, 강원도, 경기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상구에 있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부경남과 전라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울산광역시, 김해, 창원 등의 경남 동부 방면 버스와 오산, 수원, 안산, 부천, 동서울 등 수도권 방면 버스, 동해, 강릉 등 강원도 남부방면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내교통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1, 2호선)의 환승통로

시내버스

부산의 시내버스는 총 160개의 노선을 운행중이다.주요 지역을 터널과 고가도로를 통해 빠르게 연결하는 급행버스, 좌석버스 와 각각 정류장을 정차하는 완행버스 형태인 일반버스가 운행중이다. 그리고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잇는 공항 좌석버스도 운행중이다.

김해공항리무진

김해공항리무진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지를 빠르게 잇는 버스 중 하나이며 2011년 현재 2개의 노선을 운행중이다. 이용 승객은 적지만 대부분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차량이 많이 있다. 운영업체는 태영공항리무진 이다. 노선은 아래와 같다.

부산의 도시철도는 총 4개의 노선으로 운영중이며, 1개의 광역철도노선이 2011년 7월 추가로 개통될 예정이다.

금정구의 노포역을 출발하여 범어사, 두실, 구서, 부산대학교, 온천장, 동래, 연산교차로, 부산광역시청, 서면, 범일동, 부산진역, 부산역, 남포동, 토성, 괴정, 하단을 경유한 뒤에 사하구 신평동 신평역을 연결하는 1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2013년이나 2014년신평역 ~ 다대포 연장이 개통될 예정이다.

해운대구의 해운대 신시가지(장산역)를 출발하여 해운대역, 동백, 부산시립미술관, 센텀시티역, 수영, 광안역, 경성대학교, 문현동, 서면, 동의대학교, 개금동, 주례동, 사상, 덕포, 모라동, 구명, 덕천, 화명동, 호포, 남양산을 경유한 뒤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을 연결하는 2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양산역 ~ 북정역 연장과 장산역 ~ 송정역 연장이 계획 중이다.

수영구 수영교차로(수영역)를 출발하여 배산, 물만골, 연산동, 거제리, 종합운동장, 사직, 미남교차로(미남역)만덕, 남산정, 덕천, 구포역, 강서구청, 강서체육공원을 경유한 뒤 강서구 대저동 대저역을 연결하는 3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동래구 미남교차로(미남역)를 출발하여 동래역, 수안동, 낙민동, 충렬사, 명장동, 서동, 금사동, 반여농산물도매시장, 석대, 반송동, 고촌을 경유한 뒤 기장군 기장읍 안평역을 연결하는 4호선이 2011년 3월 30일 개통하였다. 원래는 국내최초 무인운전 전동차였으나 개통 초기에 각종 사고들이 발생하여 결국 임시로 유인운전을 하게 되었으며 당분간 대한민국에서는 무인운전의 지위를 잃어버렸다.


각 노선의 환승역은 서면역(1, 2호선) / 연산역(1, 3호선) / 수영역(2, 3호선) / 덕천역(2, 3호선) / 미남역(3, 4호선) / 동래역(1, 4호선)이다.

문화

부산은 동남권 문화활동의 중심지역할을 하고있으며, 도서관·과학관·신문사·방송국을 비롯하여 기타 문화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공연 시설

부산국립국악원

명소

자갈치시장

자연

광안대교

공원과 건물

파일:Busan tower in yongdusan park.JPG
부산타워

사찰

범어사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스포츠 시설

파일:Busanasiasutadium.jpg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사적

금정산성

축제

박물관, 미술관

부산에는 동래읍성과 일본과 가까운 지리적 특성상 여러 왜전관련 유물들이 발굴되고 있으며 여러곳에 나누어 전시중이다. 또한 각 대학교에도 박물관들이 있다.

도서관, 과학관

부산에는 도서관이 총 27개가 있으며, 그 외에도 사립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이 있다.

스포츠

각각 1개씩의 프로 야구, K-리그, 프로 농구 구단이 부산을 연고지로 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하는 인기있는 스포츠는 야구이다. 2007년 시즌 말에 제리 로이스터 감독이 부임하고 2008년 시즌 3위를 기록하면서 그 열기가 뜨거워졌으며, 2009년도에도 4위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농구에서는 2009년 추일승 감독이 사퇴하고, 원주 동부 프로미에서 전창진 감독이 부산 KT 소닉붐으로 옮겨 와서 취임하게 되면서, 정규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나산이 프로 진출이후, 준우승하며 정규리그 최고 시즌이 되었다.

축구에서는 부산 아이파크2004년 FA컵 우승에, 2009년 리그컵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교육

부산광역시에는 4개의 국립대학교와 10개의 사립대학교가 있다. 또한 수 개의 전문대학이 있다.

4년제 대학교

2/3년제 대학

관련 항목

같이보기

자매 도시

우호협력도시

외부링크

주석

틀:아시안 게임 개최지

틀:부산의 랜드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