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저역

대저
역사
역사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부산교통공사 제3운영사업소 대저관리역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북로 295
개업일 2005년 11월 28일
역 번호 317
승강장수 1면 2선(섬식)
거리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 기점 18.1 km
← 316 체육공원
(0.8 km)
대저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부산-김해 경전철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북로 294
개업일 2011년 9월 16일
역 번호 7
승강장수 2면 2선(상대식)
거리표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 기점 9.2 km
← 6 등구
(2.0 km)
8 평강
(1.0 km)

대저역(Daejeo station, 大渚驛)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부산-김해 경전철의 전철역이자,환승역이다. 현재 부산 3호선의 종착역이며, 3호선의 역은 고가역으로는 드물게 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경검수를 담당하는 대저차량사업소가 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이 역부터 구포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3호선 역의 공사 중 가역명은 중리역이었으며, 부산-김해 경전철 역의 공사 중 가역명은 서연정역이었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사는 1면 2선식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이다. 부산-김해 경전철의 역사는 2면 2선식 상대식 승강장이다. 두 노선 모두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있다.

3호선 승강장[편집]

  • 반대편횡단: 가능
  • 1면 2선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체육공원
| 하상 |
시·종착역
상행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덕천·미남·연산·수영 방면
하행 당역 종착

부산-김해 경전철 승강장[편집]

  • 반대편횡단: 가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등구
| |
평강
상행 부산-김해 경전철 공항·사상 방면
하행 김해시청·수로왕릉·가야대 방면

환승 시 유의[편집]

대합실에 부산-김해 경전철 역사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나, 요금 지역(Fare Zone) 외부에 있기 때문에 직접 환승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 또한, 환승 처리는 선/후불 교통카드로만 가능한 소프트 환승이다. 2011년부터 부산광역시, 양산시, 김해시 간 광역환승할인제가 시행되어 카드로 요금을 내면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역 주변[편집]

승차량 변동[편집]

  •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였다. 현재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들 중 승객이 4번째로 많다. 단, 대부분이 환승객이다. 사상역도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 부산-김해 경전철은 기본적으로 승하차량을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부산광역시에서 실시하는 교통조사 분석용역을 통해서 부산권 역 (사상 - 대사 구간)들의 승하차량은 확인 가능하다. 환승 인원이 포함되었다.
노선 승차 인원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3호선 1409 1641 1954 2276 2295 2732 4348 7400 7928 8709 8750 [1]
부산-김해 경전철 미개통 4394 4867 5344

갤러리[편집]

인접한 역[편집]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16 체육공원
수영 방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시·종착역
부산-김해 경전철
6 등구
사상 방면
부산-김해 경전철 8 평강
가야대 방면

각주[편집]

  1. 본 자료는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