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sjbbot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28일 (월) 19:26 판 (→‎각주: 치환됨: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using AWB)
동해남부선
동해남부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영업 중 (부산진 - 효자)
기점부산진역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종점포항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대흥동)
역 수37
개통일1918년 10월 31일
소유자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143.2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단선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부산진~부전)
신호 방식ATS

동해남부선(東海南部線, Donghaenambu Line)은 대한민국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역부산광역시부산진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이다. 과거에는 동해남부선의 여객 열차는 부산진역에서 시종착하거나 경부선을 거쳐 부산역까지 운행했으나, KTX 운행 이후 부산진역의 여객 영업이 중단되고 화물전용역으로 전환되고, 부산역은 경부선 열차가 늘어나 동해남부선 열차까지 처리할 여유가 없어짐에 따라 모든 여객 열차가 부전역에서 시종착하게 되었다. 1993년부터 복선 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역사

1925년 4월 1일 만철에 위탁 경영되던 한국철도를 다시 직영으로 환원한 조선총독부는 철도망 확충을 위해 '조선철도12년계획'을 세우고 1927년부터 실행하였다. 그 일환으로 석탄, 목재, 광물, 해산물의 반출 및 부산과 함경선을 연결할 목적으로 동해선 건설을 추진한다.[1]

동해선 건설은 경원선 안변역을 기점으로 동해안을 남하하여 포항에 이르는 478 km 구간을 신설하는 북부선, 조선철도가 운영하는 협궤선인 경동선을 인수하여 표준궤로 개량하는 중부선, 경부선 부산진역에서 울산에 이르는 73 km 구간을 신설하는 남부선으로 나누어 추진되었다. 1927년 일본의회를 통과하고 남부선은 1930년 7월 10일 부산진~해운대 구간부터 착공하였다. 1933년에 일어난 대호우로 공정이 지연되었고, 1934년 7월 16일 부산진~해운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34년 12월 16일에 해운대~좌천, 1935년 12월 16일 좌천~울산구간이 개통하여 남부선 부산진~울산 전구간이 개통하였다. 중부선은 1928년 7월 1일 경동선을 인수하여 1935년 6월에 착공, 1936년 12월 1일에 울산~경주 구간을 표준궤로 개량 개통하고 이어 경주~포항 구간도 표준궤로 개량되었다. 1940년 4월에 포항~흥해간 12 km 구간이 착공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제가 패망하고 한반도가 분단되면서 공사는 중단되고, 동해선은 안변~양양 구간의 동해북부선과 부산진~포항 구간의 동해남부선으로 분단된 채 오늘날에 이른다.

1987년 경상남도 울산시의 팽창으로 인해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를 이설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87년 11월 20일에 착공하여 1992년 8월 20일에 완공되었다. 초기에는 울산역(현 태화강역)을 울산시 중구 학성동[2] 에서 효문동으로 이전하고 야음역을 삼산동으로 이전하여 화물전용역으로 사용하려고 했으나, 삼산동 일대의 개발이 계획되면서 삼산동에 울산역(태화강역)을 건설하여 여객·화물 겸용역으로 사용하고, 효문동에 건설된 역은 효문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부산직할시가 팽창하면서 광역 철도의 구상이 등장하였고, 1990년 부산교통공단에서 내놓은 부산직할시 도시철도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3종류의 광역 철도망이 있다. 하나는 현재의 동해남부선, 다른 하나는 좌천-물금-김해-녹산간의 외곽순환선, 사상에서 김해, 창원, 마산, 진해를 경유하여 녹산까지 이어지는 서부경남선이 있다.[3] 외곽순환선은 이후 자료가 없고, 서부경남선은 현재 경전선 복선 전철화 및 신선 건설의 일부로 2010년 11월 30일에 개통하였다. 동해남부선의 복선 전철화 공사는 1993년 착공하였다.[4]

2010년 11월 1일 KTX 2단계 구간[5] 이 개통함에 따라, 기존 울산역[6]KTX 울산역[7] 의 명칭을 맞바꾸면서, 기존 삼산동 소재 동해남부선 울산역은 태화강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 143.2 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 역 수 : 39
  • 복선 구간 : 송정~해운대 (송정~해운대 제외 전 구간 단선/복선화 공사 중)
  • 전철화 구간 : 부산진~부전 4.6 km
  • 보안 장치 : ATS 3현시

운영

운행

차량

역 목록

●는 전 열차 정차, ▲는 일부 열차만 정차, |는 모든 열차 통과, 아무 표시도 없으면 해당 등급의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역임을 의미한다.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부산진 0.0 0.0 경부선
우암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광역시 동구 여객취급중단
(화물전용)
범일 2.1 2.1 가야선 부산진구
부전 2.5 4.6 부전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거제 3.2 7.8 연제구 무인역
남문구 1.3 9.1 임시승강장
동래 1.5 10.6 동래구
안락 1.3 11.9 임시승강장
재송 1.7 13.6 해운대구 임시승강장
수영 1.3 14.9 무인역
우일 (폐역)
해운대 5.9 20.8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송정 2.9 23.7
기장 6.6 30.3 기장군
일광 3.0 33.3 무인역
좌천 5.3 38.6
월내 3.4 42.0
서생 2.9 44.9 울산광역시 울주군 무인역
남창 8.5 53.4 온산선
외고산 (폐역)
덕하 9.3 62.7
선암 2.5 65.2 남구 신호장
달리 (폐역)
태화강 4.8 70.0 장생포선
울산항선
병영 중구 (폐역)
효문 3.4 73.4 북구 무인역
호계 6.2 79.6
모화 7.2 86.8 경상북도 경주시 여객취급중단
입실 3.9 90.7 여객취급중단
죽동 3.9 94.6 무인역
불국사 4.1 98.7
동방 4.5 103.2 신호장
경주 6.5 109.7 중앙선
나원 5.1 114.8 금장삼각선
청령 3.7 118.5 무인역
사방 2.7 121.2 무인역
안강 5.8 127.0
양자동 2.9 129.9 무인역
부조 2.9 132.8 동해선 무인역
효자 6.4 139.2 괴동선 포항시 여객취급중단
양학동 2.8 144.6 임시승강장
포항 1.2 143.2 여객취급중단
학산 (폐역)

직결되는 노선

인접 간선

지선

복선 전철화 계획

기존의 단선 재래식 철도인 동해남부선을 복선 및 전철화하여 통근형 전동차전기 기관차가 운행할 수 있도록 개량하는 계획이다. 부전-태화강 구간은 당초 계획에는 광역 철도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전액 국비 건설로 추진되는 일반 철도로 변경되었다.[8][9]

울산 태화강역 이남

2016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부전-태화강 간 복선 전철화가 진행 중이다.[10] 총 연장은 65.7km이며, 24개 역을 건설할 예정이다. 부전역에서 태화강역까지 일반 전동차의 소요 시간은 87분으로 예상된다. 부전역에서 사상역을 거쳐 부산 신항만 철도와 교차한 뒤 창원을 통과해 마산으로 가는 경전선 신선과 직결될 예정이다.

2013년 12월 2일 우동~기장 구간이 터널로, 2014년 11월 5일 부전~안락 구간이 고가로 이설되었다.

예정 노선

  • 역명은 가칭으로 확정된 바 없으며, 차후에 변경될 수 있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부전 0.0 0.0 경전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거제 연제구 거제동
남문구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거제동
교대(신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거제동
동래 부산 도시철도 4호선[11] 동래구 낙민동
안락 안락동
원동(신설) 안락동[12]
재송 해운대구 재송동
수영(이설) 우동
우동(신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우동
해운대(이설) 좌동
송정(이설) 송정동
동부산관광단지(신설) 기장군 기장읍
기장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기장읍
일광 일광면
좌천 장안읍
월내 장안읍
서생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남창 온산선 온양읍
망양(신설) 온양읍
덕하 청량면
선암 남구 상개동
태화강 장생포선·울산항선 삼산동

울산 태화강역 이북

KTX 신경주역포항, 울산 지역의 원활한 연결 및 경주 내 문화재 보호를 위하여 동해남부선 및 중앙선의 이설 및 복선 전철화가 진행 중이다. 동해남부선의 경우 태화강역에서 포항역까지 대부분 선로가 이설될 예정이며, 효문역에서 방향을 틀어 이설될 예정이다. 기존의 경주역은 신경주역과 통합될 예정으로 신경주역에 동해선 승강장 및 선로 자리를 미리 마련해 두었다. 서울-포항 KTX를 위해 모랑-포항 구간은 동해선이라는 이름으로 2015년 4월 2일에 우선 개통되며, 서울-포항 KTX신경주역을 거치지 않고 서울로 운행한다.[13] 포항역북구 흥해읍으로 이전되었다. 잔여 구간인 태화강 - 신경주 - 모량은 2018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같이 보기

각주

  1. 동아일보1927년 6월 29일자 5면 "東海岸線 新設로 釜山鎭驛擴張?(동해안선 신설로 부산진역확장?)" 참조.
  2. 이마트 학성점 인근
  3. 부산광역시. “부산시사 제3권 제7절”. 
  4. “포항~삼척 166㎞ 철도 오늘 첫 삽”. 2008년 3월 20일. 2009년 4월 2일에 확인함. 
  5. 동대구-부산 간 고속 신선
  6. 현재의 태화강역
  7. 가칭으로는 신 울산역
  8.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833호
  9.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 '청신호'. 2010년 10월 26일. 201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0.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352호
  11. 낙민역과 환승될 예정이다.
  12. 실제로는 동래구 안락동과 해운대구 재송동 경계지역인 수영강 상부에 신설된다.
  13.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18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