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매클로린 공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에서 오일러-매클로린 공식(Euler–Maclaurin formula)은 어떤 적분 값과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사이의 차이에 대한 공식이다. 이 공식은 유한 합으로 적분을 근사화하거나 반대로 적분과 미적분학 방법을 사용하여 유한 합이나 무한 급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공식으로부터 다수의 점근적 확장식이 파생되고, 거듭제곱의 합에 대한 파울하버(Faulhaber)의 공식은 이로부터 곧바로 유도된다.

이 공식은 1735년경 레온하르트 오일러콜린 매클로린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 오일러는 천천히 수렴하는 무한급수를 계산하는 데 이 식이 필요했고 매클로린은 적분을 계산하는 데 이 식을 사용했다. 나중에 다르부(Darboux)의 공식으로 일반화되었다.

공식[편집]

만일 mn자연수 이고 f(x)구간 [m,n] 에서 실수 x 에 대한 실수 또는 복소수연속 함수 인 경우에 적분식

는 아래의 합계로 근사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 사각형 방법 참조).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은 구간의 끝점, 즉 x = mx = n 에서 평가된 더 높은 도함수 f (k)(x) 값을 이용하여 합과 적분 값의 차이에 대한 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양의 정수 p[m,n] 구간에서 p연속적으로 미분 할 수 있는 함수 f(x) 에 대해 우리는 다음 식,

을 갖는데, 여기서 Bkk번째 베르누이 수 (with B1 = 1/2이고, Rp차이값으로 n, m, p, 및 f에 의돈하고 적당한 p에 대하여 작은 값이다.

이 공식은 종종 짝수의 하첨자만을 취하면서 기술하는데, 이는 B1 을 제외하고 홀수 베르누이 수가 0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식은,[1][2]

가 되고, 달리 표현하면,
가 된다.

나머지 항[편집]

일반적으로 적분값이 합산값과 정확하게 같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항이 발생한다. 이 공식은 r = m, m + 1, …, n − 1 대해 연속적인 구간 [r, r + 1] 에 대하여 부분적분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적분의 경계 항은 공식의 주요 항으로 유도되고 잔류 적분은 나머지 항을 형성한다.

나머지 항은 주기화된 베르누이 함수 Pk(x) 로 정확하게 표현된다. 베르누이 다항식은 B0(x) = 1 에 의해 재귀적으로 정의될 수 있고, k ≥ 1 인 경우 아래와 같이 된다.

주기화된 베르누이 함수는 다음 식,
으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x 는 x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를 나타내므로 x − ⌊x 는 항상 구간 [0,1) 에 있다.

이 표기법에서 나머지 항 Rp 는 다음과 같다.

이 식은 k > 0 일 때 다음 식,
으로 표기될 수 있는데, 여기서 ζ리만 제타 함수를 나타낸다. 이 부등식을 증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항식 Bk(x) 에 대한 푸리에 급수를 얻는 것이다. 한계값은 x 가 0일 때 짝수 k 에 대하여 달성된다. ζ(k) 항은 홀수 k 에 대해 생략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증명은 더 복잡하다(레머 참조).[3] 이 부등식을 사용하여 나머지 항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저 차수 사례[편집]

B1 부터 B7 까지의 베르누이 수는, 1/2, 1/6, 0, −1/30, 0, 1/42, 0이다. 따라서,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의 저 차수 값은 아래와 같이 된다.

응용[편집]

바젤 문제[편집]

Basel 문제는 아래 합을 결정하는 것이다.

오일러는 1735년에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의 겨우 몇개의 항을 계산하여 소수점 이하 20자리까지 계산하였다. 아마도 오일러는 이로써 이 값이 π2/6과 같을 것으로 확신하였고, 같은 해에 이를 증명하였다.[4]

다항식을 포함하는 합계[편집]

만일 f다항식이고 p 가 충분히 크면 나머지 항이 사라진다. 예를 들어 f(x) = x3 이면 p = 2 를 선택하여 단순화 후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적분의 근사[편집]

이식에 의하면 정적분을 근사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제 a < b 를 적분 구간의 끝점이라고 한다. 근사에서 사용하는 점의 숫자인 N 으로 고정하고, 이에 따른 스텝의 크기를 h = ba/N − 1h = ba/N − 1 으로 표기한다. xi = a + (i − 1)h 으로 고정하면, x1 = axN = b이 된다. 그렇다면 아래식으로 된다.[5]

이것은 수정 항을 포함하여 사다리꼴 공식을 확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점근적 확장은 일반적으로 수렴하지 않는다. 즉 fh 에 따라 일부 p 가 있으므로 과거 순서 p 가 빠르게 증가한다. 따라서 나머지 항은 일반적으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5]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은 수치 직교에서 상세한 오차 분석에도 사용된다. 이 식은 완만한 주기 함수에 대한 사다리꼴 규칙의 우수한 성능을 설명하고 특정한 외삽 방법에 사용된다. Clenshaw-Curtis 구적법 은 (특정한 경우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은 이산 코사인 변환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오일러-매클로린 접근법이 매우 정확하게 되는 주기 함수의 적분 항으로 임의의 적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변수를 변경한 것이다. 이 기법은 주기화 변환으로 알려져 있다.

합의 점근적 확장[편집]

합과 급수의 점근 전개를 계산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오일러-맥클로린 공식의 가장 유용한 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ab 는 정수이다.[6] 이 확장은 극한 a → −∞ 또는 b → +∞ 또는 둘 모두를 취한 후에도 종종 유효하다. 많은 경우에 우변의 적분은, 비록 좌변의 합은 할 수 없지만, 기본 함수의 항의 닫힌 형식 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점근적 급수의 모든 항은 기본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 같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좌변은 ψ(1)(z),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 1차 폴리감마 함수,

와 같다.


감마 함수 Γ(z)(z − 1)! z양의 정수일 때. 그 결과 ψ(1)(z) 에 대한 점근적 확장이 발생한다. 반대로 이 확장은 스털링의 계승 함수 근사에 대한 정확한 오차 추정치의 도출 중 하나를 위한 시작점 역할을 한다.

[편집]

만일 s 가 1보다 큰 정수이면 아래 식이 된다.

상수를 리만 제타 함수의 값으로 수집하면 아래의 점근 전개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s 가 2인 경우 이는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즉,
여기서 s = 1 일 때 해당 기술은 고조파 수에 대해 점근적 확장을 제공한다.
여기서 γ ≈ 0.5772...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증명[편집]

수학적 귀납법에 의한 유도[편집]

우리는 Apostol에서 주어진 주장을 요약한다.[1]

위에서 n = 0, 1, 2, ... 에 대한 베르누이 다항식 Bn(x) 및 주기적 베르누이 함수 Pn(x) 가 소개되었다.

처음 몇 개의 Bernoulli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Bn(1) 값은 베르누이 수 Bn이다. 특히 n ≠ 1 경우
되고, 그리고 n = 1 인 경우,
이 됨을 유의하라.

함수 Pn 은 간격 [0, 1]에서 베르누리 다항식과 일치하고 주기 1로 주기적이다. 또한 n = 1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속적이다. 따라서,

k 를 정수로 두고 아래 적분,
여기서
인 적분을 고려하자.

이 식은 부분 적분에 의하면 아래 식이 된다.

B1(0) = −1/2B1(0) = −1/2, B1(1) = 1/2B1(1) = 1/2, 를 이용하고, 위 식을 k = 0 부터 k = n − 1까지 더하면, 위식은 아래와 같이 된다.
양변에 f(n) − f(0)/2 을 더하고 항을 정리하면, 위 식은 아래와 같이 된다.
이것은 합산 공식에서 p = 1 경우이다. 유도를 계속하기 위해 오차 항에 부분적분을 아래와 같이 적용한다.
여기서,
이다. 부분적분의 결과는
이다. k = 0 에서 k = n − 1 까지 합산하고 이를 하위 오차 항으로 대체하면 공식에서 p = 2 경우가 된다.
이러한 절차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공식화 될 수 있는 오일러-맥클로린 합산 공식의 증명을 얻는다. 여기서 귀납법의 각 단계는 부분적분과 주기적인 베르누이 함수에 대한 항등식에 의존한다.

같이 보기[편집]

  • Cesàro 합계
  • 오일러 합계
  • 가우스-크론로드 직교 공식
  • Darboux의 공식
  • 오일러–부울 합계

참고 문헌[편집]

  1. Apostol, T. M. (1999년 5월 1일). “An Elementary View of Euler's Summation Formula”.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06 (5): 409–418. doi:10.2307/2589145. ISSN 0002-9890. JSTOR 2589145. 
  2.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Sums and Sequences”.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3. Lehmer, D. H. (1940). “On the maxima and minima of Bernoulli polynomials”.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47 (8): 533–538. doi:10.2307/2303833. JSTOR 2303833. 
  4. Pengelley, David J. (2007). 〈Dances between continuous and discrete: Euler's summation formula〉. 《Euler at 300》. MAA Spectrum.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69–189쪽. arXiv:1912.03527. MR 2349549. 
  5. Devries, Paul L.; Hasbrun, Javier E. (2011). 《A first course in computational physics.》 2판.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156쪽. 
  6. Abramowitz, Milton; Stegun, Irene A., 편집. (1972).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with Formulas, Graphs, and Mathematical Table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6, 806, 886쪽. ISBN 978-0-486-61272-0. 

추가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