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삼의정(3의정)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중앙 최고의 벼슬로 꼽혔다. 종묘배향공신을 가장 많이 배출한 벼슬이기도 하다. 영상(領相), 수상(首相), 상상(上相), 영규(領揆)라고도 한다.
영의정의 특징[편집]
대개 좌의정을 역임한 원로대신을 대부분 임명했으며, 좌의정·우의정과 함께 삼공(三公) 또는 삼정승 의정(三政丞 議政)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품계는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이다. 영의정은 주로 육조의 판서, 우참찬과 좌참찬, 우찬성과 좌찬성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친 사람들이 임명되었다.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치지 않고 영의정에 임명된 사람은 심온, 구성군 이준이다.
역대 영의정 중 황희가 18년 동안 재임하여 가장 오랫동안 영의정을 지냈다. 황희에 이어 조선 왕조 500년 동안 의정부에 들어가 약 20년간 법을 잘 지키고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이라는 최고의 재상으로 평가를 받은 하연 이후, 왕권의 강약, 의정부와 육조의 관계, 비변사의 설치, 여러 상황의 변화에 따라 권한 변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 영사(領事), 승문원 도제조(都提調), 세자시강원 세자사(世子師)를 겸임했다.
영의정의 역사[편집]

1401년(태종 1년) 7월 의정부가 설치될 무렵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라고 하던 것을, 1466년(세조 12년) 1월 관제개정 때 '영의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 말기까지 이어오다가, 1894년 갑오개혁 때 일본관제의 영향으로 총리대신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뒤에 의정대신, 내각총리대신으로 고쳐졌다.
영의정의 평가[편집]
영의정은 명실공히 국정을 총괄하고 백관을 대표하는 관원으로 다양한 사안을 다루는 일인지하만인지상(一人之下萬人之上)의 중요한 직책이다.
연산군은 “정승으로서 5만명을 데리고 가서 겨우 꿩 한 마리를 잡았는가”라고 비웃기도 하였다.[1]
영의정 기록들[편집]
- 조선 초대 영의정은 이서이다.
- 최장으로 재임한 영의정은 황희이다.
- 마지막 영의정은 김홍집이다.
- 영의정에서 유일하게 왕위에 오른 자는 7대 왕인 세조이다.
- 조선왕조 500년의 역대 재상 중,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으로 유일하게 평가받은 이는 하연이다.
- 당상관 이하의 품계에서 영의정에 추증된 이는 종6품 현감을 지낸 하부(河溥)가 유일하다.
추서된 영의정[편집]
역대 영의정[편집]
국왕 | 대(代) | 성명(姓名) | 본관(本貫) | 재임(在任) | 아호(雅號) | 시호(諡號) | 붕당(朋黨) |
---|---|---|---|---|---|---|---|
태종(太宗) | 1 | 이서(李舒) | 홍주(洪州) | 1401.7.13~1402.4.18 | 당옹(戇翁) | 문간(文簡) | 개국공신 |
2 | 이거이(李居易) | 청주(淸州) | 1402.4.18~1402.11.17 | 청허당(淸虛堂) | 문도(文度) | 정사공신 | |
3 | 성석린(成石璘) | 창녕(昌寧) | 1402.11.17~1403.4.4 | 독곡獨谷) | 문경(文景) | 좌명공신 | |
4 | 조준(趙浚) | 평양(平陽) | 1403.7.16~1405.6.17 | 우재(吁齋) | 문충(文忠) | 정사공신 | |
5 | 성석린(成石璘) | 창녕(昌寧) | 1405.7.3~1407.7.4 | 독곡(獨谷) | 문경(文景) | 좌명공신 | |
6 | 이화(李和) | 전주(全州) | 1407.7.4~1408.2.11 | 의안대군(義安大君) | 양소(襄昭) | 정사공신 | |
7 | 하륜(河崙) | 진주(晉州) | 1408.2.11~1409.8.10 | 호정(浩亭) | 문충(文忠) | 좌명공신 | |
8 | 이서(李舒) | 홍주(洪州) | 1409.8.10~1409.10.11 | 당옹(戇翁) | 문간(文簡) | 개국공신 | |
9 | 하륜(河崙) | 진주(晉州) | 1409.10.11~1412.8.21 | 호정(浩亭) | 문충(文忠) | 좌명공신 | |
10 | 성석린(成石璘) | 창녕(昌寧) | 1412.8.21~1414.4.17 | 독곡(獨谷) | 문경(文景) | ||
11 | 하륜(河崙) | 진주(晉州) | 1414.4.17~1415.5.17 | 호정(浩亭) | 문충(文忠) | ||
12 | 성석린(成石璘) | 창녕(昌寧) | 1415.10.18~1416.5.25 | 독곡(獨谷) | 문경(文景) | ||
13 | 남재(南在) | 의령(宜寧) | 1416.5.25~1416.11.2 | 구암(龜巖) | 충경(忠景) | 개국공신 | |
14 | 류정현(柳廷顯) | 문화(文化) | 1416.11.2~1418.6.5 | 월정(月亭) | 정숙(貞肅) | 관학파 | |
15 | 한상경(韓尙敬) | 청주(淸州) | 1418.6.5~1418.9.3 | 신재(信齋) | 문간(文簡) | 개국공신 | |
세종(世宗) | 16 | 심온(沈溫) | 청송(靑松) | 1418.9.3~1418.12.7 | - | 안효(安孝) | 외척 |
17 | 류정현(柳廷顯) | 문화(文化) | 1418.12.7~1424.9.7 | 월정(月亭) | 정숙(貞肅) | 관학파 | |
18 | 이직(李稷) | 성주(星州) | 1424.9.7~1426.5.13 | 형재(亨齋) | 문경(文景) | 좌명공신 | |
19 | 구종길(仇宗吉) | 창원(昌原) | 1426.5.13~1431.9.3 | 자안(子安) | 천곡(川谷) | 관학파 | |
20 | 황희(黃喜) | 장수(長水) | 1431.9.3~1449.10.5 | 방촌(庬村) | 익성(益成) | ||
21 | 하연(河演) | 진주(晋州) | 1449.10.5~1451.7.13 | 경재(敬齋) | 문효(文孝) | ||
문종(文宗) | 22 | 황보인(皇甫仁) | 영천(永川) | 1451.10.27~1453.10.10 | 지봉(芝峰) | 충정(忠貞) | |
단종(端宗) | 23 | 이유(李瑈) | 전주(全州) | 1453.10.11~1455.6.11 |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世祖) |
혜장(惠莊) | 수양대군 |
세조(世祖) | 24 | 정인지(鄭麟趾) | 하동(河東) | 1455.6.11~1458.12.7 | 학역재(學易齋) | 문성(文成) | 훈구파 |
25 | 정창손(鄭昌孫) | 동래(東萊) | 1458.12.7~1459.11.6 | - | 충정(忠貞) | ||
26 | 강맹경(姜孟卿) | 진주(晉州) | 1459.11.6~1461.4.17 | - | 문경(文景) | ||
27 | 정창손(鄭昌孫) | 동래(東萊) | 1461.4.29~1462.5.10 | - | 충정(忠貞) | ||
28 | 신숙주(申叔舟) | 고령(高靈) | 1462.5.20~1466.4.18 | 보한재(保閑齋) | 문충(文忠) | ||
29 | 구치관(具致寬) | 능성(綾城) | 1466.4.18~1466.10.19 | - | 충렬(忠烈) | ||
30 | 한명회(韓明澮) | 청주(淸州) | 1466.10.19~1467.4.6 | 압구정(狎鷗亭) | 문성(文成) | ||
31 | 황수신(黃守身) | 장수(長水) | 1467.4.6~1467.5.20 | - | 열성(烈成)[3] | ||
32 | 심회(沈澮) | 청송(靑松) | 1467.5.20~1467.9.20 | - | 공숙(恭肅) | ||
33 | 최항(崔恒) | 삭녕(朔寧) | 1467.9.20~1467.12.12 | 태허정(太虛亭)
동량(㠉梁) |
문정(文靖)
문충(文忠) | ||
34 | 조석문(曺錫文) | 창녕(昌寧) | 1467.12.12~1468.7.17 | - | 충간(忠簡) | ||
35 | 이준(李浚) | 전주(全州) | 1468.7.17~1468.10.30 | 귀성군(龜城君) | 충무(忠武) | 귀성군 | |
예종(睿宗) | 36 | 박원형(朴元亨) | 죽산(竹山) | 1468.12.20~1469.1.22 | 만절(晩節) | 문헌(文憲) | 훈구파 |
37 | 한명회(韓明澮) | 청주(淸州) | 1469.1.23~1469.8.22 | 압구정(狎鷗亭) | 문성(文成) | ||
38 | 홍윤성(洪允成) | 회인(懷仁) | 1469.8.22~1470.4.6 | 영해(領海) | 위평(威平) | ||
성종(成宗) | 39 | 윤자운(尹子雲) | 무송(茂松) | 1470.4.6~1471.10.23 | 낙한재(樂閑齋) | 문헌(文憲) | |
40 | 신숙주(申叔舟) | 고령(高靈) | 1471.10.23~1475.6.21 | 보한재(保閑齋) | 문충(文忠) | ||
41 | 정창손(鄭昌孫) | 동래(東萊) | 1475.7.1~1485.3.27 | - | 충정(忠貞) | ||
42 | 윤필상(尹弼商) | 파평(坡平) | 1485.3.28~1493.11.6 | - | - | ||
43 | 이극배(李克培) | 광주(廣州) | 1493.11.6~1495.3.20 | 매월당(梅月堂) | 익평(翼平) | ||
연산군(燕山君) | 44 | 노사신(盧思愼) | 교하(交河) | 1495.3.20~1495.9.16 | 보진재(葆眞齋) | 문광(文匡) | |
45 | 신승선(愼承善) | 거창(居昌) | 1495.9.16~1500.4.11 | 사지당(仕止堂) | 장성(章成) | ||
46 | 한치형(韓致亨) | 청주(淸州) | 1500.4.11~1502.10.3 | - | 질경(質景) | ||
47 | 성준(成俊) | 창녕(昌寧) | 1503.1.4~1504.4.13 | - | 명숙(明肅) | ||
48 | 류순(柳洵) | 문화(文化) | 1504.4.13~1509.9.27 | 노포당(老圃堂) | 문희(文僖) | ||
중종(中宗) | 49 | 류순(柳洵) | 문화(文化) | 1504.4.13~1509.9.27 | 노포당(老圃堂) | 문희(文僖) | |
50 | 박원종(朴元宗) | 순천(順川) | 1509.9.27~1510.3.6 | - | 무열(武烈) | ||
51 | 김수동(金壽童) | 안동(安東) | 1510.3.6~1512.7.7 | 만보당(晩保堂) | 문경(文敬) | ||
52 | 류순정(柳順汀) | 진주(晉州) | 1512.10.7~1512.12.20 | - | 문정(文定) | 사림파 | |
53 | 성희안(成希顔) | 창녕(昌寧) | 1513.4.2~1513.7.27 | 인재(仁齋) | 충정(忠定) | 훈구파 | |
54 | 송질(宋軼) | 여산(礪山) | 1513.10.27~1514.7.27 | - | 숙정(肅靖) | ||
55 | 류순(柳洵) | 문화(文化) | 1514.10.1~1516.4.9 | 노포당(老圃堂) | 문희(文僖) | ||
56 | 정광필(鄭光弼) | 동래(東萊) | 1516.4.9~1519.12.17 | 수부(守夫) | 문익(文翼) | ||
57 | 김전(金詮) | 연안(延安) | 1520.2.14~1523.2.13 | 나헌(懶軒) | 충정(忠貞) | 사림파 | |
58 | 남곤(南袞) | 의령(宜寧) | 1523.4.18~1527.3.10 | 지정(止亭) | 문경(文景) | ||
59 | 정광필(鄭光弼) | 동래(東萊) | 1527.10.21~1533.5.28 | 수부(守夫) | 문익(文翼) | 훈구파 | |
60 | 장순손(張順孫) | 인동(仁同) | 1533.5.28~1534.9.11 | - | 문숙(文肅) | ||
61 | 한효원(韓效元) | 청주(淸州) | 1534.11.20~1534.12.29 | 오계(梧溪) | 장성(章成) | ||
62 | 김근사(金謹思) | 연안(延安) | 1535.3.26~1537.10.29 | - | - | ||
63 | 윤은보(尹殷輔) | 해평(海平) | 1537.11.2~1544.7.5 | - | 정성(靖成) | ||
인종(仁宗) | 64 | 홍언필(洪彦弼) | 남양(南陽) | 1545.1.13~1545.윤1.6 | 묵재(默齋) | 문희(文僖) | 소윤파 |
65 | 윤인경(尹仁鏡) | 파평(坡平) | 1545.윤1.6~1548.5.17 | - | 효성(孝成) | 대윤파 | |
명종(明宗) | 66 | 홍언필(洪彦弼) | 남양(南陽) | 1548.5.17~1549.1.28 | 묵재(默齋) | 문희(文僖) | 소윤파 |
67 | 이기(李芑) | 덕수(德水) | 1549.5.21~1551.8.23 | 경재(敬齋) | 문경(文敬) | ||
68 | 심연원(沈連源) | 청송(靑松) | 1551.8.23~1558.5.18 | 보암(保庵) | 충혜(忠惠) | 훈구파 | |
69 | 상진(尙震) | 목천(木川) | 1558.5.29~1563.1.17 | 송현(松峴) | 성안(成安) | 소윤파 | |
70 | 윤원형(尹元衡) | 파평(坡平) | 1563.1.17~1565.8.15 | - | - | 소윤파 | |
선조(宣祖) | 71 | 이준경(李浚慶) | 광주(廣州) | 1565.8.15~1571.5.1 | 남당(南堂) | 충정(忠正) | 사림파 |
72 | 권철(權轍) | 안동(安東) | 1571.5.1~1573.9.1 | 쌍취헌(雙翠軒) | 강정(康定) | ||
73 | 이탁(李鐸) | 전의(全義) | 1573.9.1~1574.4.1 | 약봉(藥峰) | 정숙(定肅) | ||
74 | 홍섬(洪暹) | 남양(南陽) | 1574.4.11~1574.8.10 | 인재(忍齋) | 경헌(景憲) | ||
75 | 권철(權轍) | 안동(安東) | 1574.9.11~1575.7.1 | 쌍취헌(雙翠軒) | 강정(康定) | ||
76 | 홍섬(洪暹) | 남양(南陽) | 1575.7.1~1576.8.1 | 인재(忍齋) | 경헌(景憲) | ||
77 | 권철(權轍) | 안동(安東) | 1576.8.1~1578.8.1 | 쌍취헌(雙翠軒) | 강정(康定) | ||
78 | 홍섬(洪暹) | 남양(南陽) | 1578.11.1~1579.2.1 | 인재(忍齋) | 경헌(景憲) | ||
79 | 박순(朴淳) | 충주(忠州) | 1579.2.1~1585.5.1 | 사암(思菴) | 문충(文忠) | 서인 | |
80 | 노수신(盧守愼) | 광주(光州) | 1585.5.1~1588.12.1 | 이재(伊齋) | 문간(文簡) | 동인 | |
81 | 류전(柳琠) | 문화(文化) | 1589.2.1~1589.10.28 | 우복(愚伏) | 중립 | ||
82 | 이산해(李山海) | 한산(韓山) | 1590~1592.5.1 | 아계(鵝溪) | 문충(文忠) | 북인 | |
83 | 류성룡(柳成龍) | 풍산(豊山) | 1592.5.1~1592.6.1 | 서애(西厓) | 문충(文忠) | 남인 | |
84 | 최흥원(崔興源) | 삭녕(朔寧) | 1592.6.1~1593.11.1 | 송천(松泉) | 충정(忠貞) | ||
85 | 류성룡(柳成龍) | 풍산(豊山) | 1593.11.1~1598.10.8 | 서애(西厓) | 문충(文忠) | ||
86 | 이원익(李元翼) | 전주(全州) | 1598.10.8~1599.5.27 | 오리(梧里) | 문충(文忠) | ||
87 | 윤두수(尹斗壽) | 해평(海平) | 1599.7.24~1599.9.19 | 오음(梧陰) | 문정(文靖) | 서인 | |
88 | 이원익(李元翼) | 전주(全州) | 1599.9.22~1600.1.22 | 오리(梧里) | 문충(文忠) | 남인 | |
89 | 이산해(李山海) | 한산(韓山) | 1600.1.22~1600.4.28 | 아계(鵝溪) | 문충(文忠) | 북인 | |
90 | 이항복(李恒福) | 경주(慶州) | 1600.6.17~1602.윤2.1 | 백사(白沙) | 문충(文忠) | 서인 | |
91 | 이덕형(李德馨) | 광주(廣州) | 1602.윤2.3~1604.4.9 | 한음(漢陰) | 문익(文翼) | 남인 | |
92 | 이항복(李恒福) | 경주(慶州) | 1604.4.18~1604.5.16 | 백사(白沙) | 문충(文忠) | 서인 | |
93 | 윤승훈(尹承勳) | 해평(海平) | 1604.5.22~1604.11.26 | 청봉(晴峰) | 문숙(文肅) | 남인 | |
94 | 류영경(柳永慶) | 전주(全州) | 1604.12.6~1608.2.14 | 춘호(春湖) | - | 소북 | |
광해군(光海君) | 95 | 이원익(李元翼) | 전주(全州) | 1608.2.14~1609.8.13 | 오리(梧里) | 문충(文忠) | 남인 |
96 | 이덕형(李德馨) | 광주(廣州) | 1609.9.6~1611.8.24 | 한음(漢陰) | 문익(文翼) | ||
97 | 이원익(李元翼) | 전주(全州) | 1611.8.24~1612.6.21 | 오리(梧里) | 문충(文忠) | ||
98 | 이덕형(李德馨) | 광주(廣州) | 1612~1613.8.13 | 한음(漢陰) | 문익(文翼) | ||
99 | 기자헌(奇自獻) | 행주(幸州) | 1614.1.19~1617.9.2 | 만전(晩全) | - | 대북 | |
100 | 정인홍(鄭仁弘) | 서산(瑞山) | 1618.1.18~1619.3.13 | 내암(來菴) | - | ||
101 | 박승종(朴承宗) | 밀양(密陽) | 1619.3.13~1623.3.14 | 퇴우당(退憂堂) | 숙민(肅愍) | ||
인조(仁祖) | 102 | 이원익(李元翼) | 전주(全州) | 1623.3.16~1626.12.10 | 오리(梧里) | 문충(文忠) | 남인 |
103 | 윤방(尹昉) | 해평(海平) | 1627.1.18~1627.5.20 | 치천(稚川) | 문익(文翼) | 서인 | |
104 | 신흠(申欽) | 평산(平山) | 1627.9.4~1628.6.29 | 상촌(象村) | 문정(文貞) | ||
105 | 오윤겸(吳允謙) | 해주(海州) | 1628.11.21~1631.8.27 | 추탄(楸灘) | 충간(忠簡) | ||
106 | 윤방(尹昉) | 해평(海平) | 1631.9.15~1636.6.13 | 치천(稚川) | 문익(文翼) | ||
107 | 김류(金瑬) | 순천(順天) | 1636.7.13~1637.8.4 | 북저(北渚) | 문충(文忠) | ||
108 | 이홍주(李弘胄) | 전주(全州) | 1637.9.3~1638.7.14 | 이천(梨川) | 충정(忠貞) | ||
109 | 최명길(崔鳴吉) | 전주(全州) | 1638~1640.1.15 | 창랑(滄浪) | 문충(文忠) | ||
110 | 홍서봉(洪瑞鳳) | 남양(南陽) | 1640.1.15~1641.8.11 | 학곡(鶴谷) | 문정(文靖) | ||
111 | 이성구(李聖求) | 전주(全州) | 1641.10.10~1642.7.24 | 동사(東沙) | 정숙(貞肅) | ||
112 | 최명길(崔鳴吉) | 전주(全州) | 1642.8.3~1642.11.17 | 창랑(滄浪) | 문충(文忠) | ||
113 | 신경진(申景禛) | 평산(平山) | 1643.3.6~1643.3.11 | - | 충익(忠翼) | ||
114 | 심열(沈悅) | 청송(靑松) | 1643.5~1644.3.12 | 남파(南坡) | 충정(忠靖) | ||
115 | 홍서봉(洪瑞鳳) | 남양(南陽) | 1644.3.12~1644.4.5 | 학곡(鶴谷) | 문정(文靖) | ||
116 | 김류(金瑬) | 순천(順天) | 1644.4.5~1644.12.7 | 북저(北渚) | 문충(文忠) | ||
117 | 홍서봉(洪瑞鳳) | 남양(南陽) | 1644.12~1645.2.3 | 학곡(鶴谷) | 문정(文靖) | ||
118 | 김류(金瑬) | 순천(順天) | 1645.2.3~1646.3.4 | 북저(北渚) | 문충(文忠) | ||
119 | 김자점(金自點) | 안동(安東) | 1646~1649.6.22 | 낙서(洛西) | - | ||
효종(孝宗) | 120 | 이경석(李景奭) | 전주(全州) | 1649.8.4~1650.3.11 | 백헌(白軒) | 문충(文忠) | |
121 | 이경여(李敬與) | 전주(全州) | 1650.3.11~1651.1.1 | - | - | ||
122 | 김육(金堉) | 청풍(淸風) | 1651.1.11~1651.12.7 | 잠곡(潛谷) | 문정(文貞) | ||
123 | 정태화(鄭太和) | 동래(東萊) | 1651.12.7~1654.9.6 | 양파(陽坡) | 충익(忠翼) | ||
124 | 이시백(李時白) | 연안(延安) | 1654.9.6~1655.6.18 | 조암(釣巖) | 충익(忠翼) | ||
125 | 김육(金堉) | 청풍(淸風) | 1655.7.14~1655.7.24 | 잠곡(潛谷) | 문정(文貞) | ||
126 | 이시백(李時白) | 연안(延安) | 1655.7.24~1656.6.11 | 조암(釣巖) | 충익(忠翼) | ||
127 | 정태화(鄭太和) | 동래(東萊) | 1656.6.11~1658.6.16 | 양파(陽坡) | 충익(忠翼) | ||
128 | 심지원(沈之源) | 청송(靑松) | 1658.7.8~1659.3.25 | 만사(晩沙) | - | ||
현종(顯宗) | 129 | 정태화(鄭太和) | 동래(東萊) | 1659.3.25~1667.윤4.27 | 양파(陽坡) | 충익(忠翼) | |
130 | 홍명하(洪命夏) | 남양(南陽) | 1667.윤4.27~1667.12.27 | 기천(沂川) | 문간(文簡) | ||
131 | 정태화(鄭太和) | 동래(東萊) | 1668.1.2~1670.11.17 | 양파(陽坡) | 충익(忠翼) | ||
132 | 허적(許積) | 양천(陽川) | 1671.5.13~1672.5.5 | 묵재(默齋) | 숙헌(肅憲) | 남인 | |
133 | 정태화(鄭太和) | 동래(東萊) | 1672.5.6~1673.4.12 | 양파(陽坡) | 충익(忠翼) | 서인 | |
134 | 허적(許積) | 양천(陽川) | 1673.7.26~1674.3.20 | 묵재(默齋) | 숙헌(肅憲) | 남인 | |
135 | 김수흥(金壽興) | 안동(安東) | 1674.4.26~1674.7.16 | 퇴우당(退憂堂) | 문익(文翼) | 서인 | |
숙종(肅宗) | 136 | 허적(許積) | 양천(陽川) | 1674.7.26~1680.4.2 | 묵재(默齋) | 숙헌(肅憲) | 남인 |
137 | 김수항(金壽恒) | 안동(安東) | 1680.4.3~1687.7.25 | 문곡(文谷) | 문충(文忠) | 서인 | |
138 | 남구만(南九萬) | 의령(宜寧) | 1687.7.25~1688.7.14 | 약천(藥泉) | 문충(文忠) | ||
139 | 김수흥(金壽興) | 안동(安東) | 1688.7.14~1689.2.2 | 퇴우당(退憂堂) | 문익(文翼) | ||
140 | 여성제(呂聖齊) | 함양(咸陽) | 1689.2.2~1689.2.9 | 운포(雲浦) | 정혜(靖惠) | ||
141 | 권대운(權大運) | 안동(安東) | 1689.2.10~1694.4.1 | 석담(石潭) | - | 남인 | |
142 | 남구만(南九萬) | 의령(宜寧) | 1694.4.1~1696.8.11 | 약천(藥泉) | 문충(文忠) | 소론 | |
143 | 유상운(柳尙運) | 문화(文化) | 1696.8.11~1699.10.17 | 약재(約齋) | 충간(忠簡) | ||
144 | 서문중(徐文重) | 대구(大丘) | 1700.1.16~1701.3.27 | 몽어정(夢漁亭) | 공숙(恭肅) | ||
145 | 최석정(崔錫鼎) | 전주(全州) | 1701.6.19~1701.10.1 | 명곡(明谷) | 문정(文貞) | ||
146 | 서문중(徐文重) | 대구(大丘) | 1702.1.24~1702.9.29 | 몽어정(夢漁亭) | 공숙(恭肅) | ||
147 | 최석정(崔錫鼎) | 전주(全州) | 1703.2.11~1703.6.16 | 명곡(明谷) | 문정(文貞) | ||
148 | 신완(申琓) | 평산(平山) | 1703.8.6~1705.4.13 | 경암(絅庵) | 문장(文莊) | 노론 | |
149 | 최석정(崔錫鼎) | 전주(全州) | 1705.4.13~1710.3.26 | 명곡(明谷) | 문정(文貞) | 소론 | |
150 | 이여(李畬) | 덕수(德水) | 1710.3.26~1710.윤7.17 | 수곡(睡谷) | 문경(文敬) | 노론 | |
151 | 서종태(徐宗泰) | 대구(大丘) | 1711.4.19~1712.9.26 | 만정(晩靜) | 문효(文孝) | ||
152 | 이유(李濡) | 전주(全州) | 1712.9.26~1713.7.4 | 녹천(鹿川) | 혜정(惠定) | ||
153 | 서종태(徐宗泰) | 대구(大丘) | 1714.9.27~1716.8.25 | 만정(晩靜) | 문효(文孝) | ||
154 | 김창집(金昌集) | 안동(安東) | 1717.5.12~1721.12.9 | 몽와(夢窩) | 충헌(忠獻) | ||
경종(景宗) | 155 | 조태구(趙泰耉) | 양주(楊州) | 1721.12.19~1723.6.6 | 소헌(素軒) | 문정(文貞) | 소론 |
156 | 최규서(崔奎瑞) | 해주(海州) | 1723.8~1724.9.23 | 간재(艮齋) | 충정(忠貞) | ||
영조(英祖) | 157 | 이광좌(李光佐) | 경주(慶州) | 1724.10.3~1725.2.8 | 운곡(雲谷) | 문충(文忠) | |
158 | 정호(鄭澔) | 연일(延日) | 1725.4.23~1727.4.14 | 장암(丈巖) | 문경(文敬) | 노론 | |
159 | 이광좌(李光佐) | 경주(慶州) | 1727.7.1~1729.5.18 | 운곡(雲谷) | 문충(文忠) | 소론 | |
160 | 홍치중(洪致中) | 남양(南陽) | 1729.6.6~1732.6.23 | 북곡(北谷) | 충간(忠簡) | 노론 | |
161 | 심수현(沈壽賢) | 청송(靑松) | 1732.12.26~1734.5.4 | 지산(止山) | - | 소론 | |
162 | 이의현(李宜顯) | 용인(龍仁) | 1735.2.12~1735.2.28 | 도곡(陶谷) | 문간(文簡) | 노론 | |
163 | 김흥경(金興慶) | 경주(慶州) | 1735.11.20~1736.2.27 | 급류정(急流亭) | 정헌(靖獻) | ||
164 | 이광좌(李光佐) | 경주(慶州) | 1737.8.11~1740.5.26 | 운곡(雲谷) | 문충(文忠) | 소론 | |
165 | 김재로(金在魯) | 청풍(淸風) | 1740.9.28~1749.9.5 | 청사(淸沙) | 충정(忠靖) | 노론 | |
166 | 조현명(趙顯命) | 풍양(豊壤) | 1750.3.11~1750.10.29 | 귀록(歸鹿) | 충효(忠孝) | 소론 | |
167 | 김재로(金在魯) | 청풍(淸風) | 1751.3.25~1752.9.28 | 청사(淸沙) | 충정(忠靖) | 노론 | |
168 | 이종성(李宗城) | 경주(慶州) | 1752.10.17~1753.5.25 | 오천(梧川) | 문충(文忠) | 소론 | |
169 | 김재로(金在魯) | 청풍(淸風) | 1753.9.3~1754.5.7 | 청사(淸沙) | 충정(忠靖) | 노론 | |
170 | 이천보(李天輔) | 연안(延安) | 1754.5.14~1758.8.12 | 진암(晋庵) | 문간(文簡) | ||
171 | 유척기(兪拓基) | 기계(杞溪) | 1758.8.12~1759.3.18 | 지수재(知守齋) | 문익(文翼) | ||
172 | 이천보(李天輔) | 연안(延安) | 1759.3.18~1759.5.7 | 진암(晋庵) | 문간(文簡) | ||
173 | 김상로(金尙魯) | 청풍(淸風) | 1759.5.7~1760.10.14 | 하계(霞溪) | 익헌(翼獻) | ||
174 | 이천보(李天輔) | 연안(延安) | 1760.10.14~1761.9.27 | 진암(晋庵) | 문간(文簡) | ||
175 | 홍봉한(洪鳳漢) | 풍산(豊山) | 1761.9.27~1762.윤5.2 | 익익재(翼翼齋) | 익정(翼靖) | ||
176 | 신만(申晩) | 평산(平山) | 1762.윤5.2~1763.5.26 | - | 효정(孝正) | ||
177 | 홍봉한(洪鳳漢) | 풍산(豊山) | 1763.5.26~1766.9.12 | 익익재(翼翼齋) | 익정(翼靖) | ||
178 | 윤동도(尹東度) | 파평(坡平) | 1766.10.21~1766.12.9 | 남애(南厓) | 정문(靖文) | 소론 | |
179 | 서지수(徐志修) | 달성(達城) | 1766.12.9~1767.3.19 | 송옹(松翁) | 문청(文淸) | ||
180 | 김치인(金致仁) | 청풍(淸風) | 1767.3.19~1768.11.3 | 고정(古亭) | 헌숙(憲肅) | 노론 | |
181 | 홍봉한(洪鳳漢) | 풍산(豊山) | 1768.11.3~1770.1.10 | 익익재(翼翼齋) | 익정(翼靖) | ||
182 | 김치인(金致仁) | 청풍(淸風) | 1770.1.10~1772.3.9 | 고정(古亭) | 헌숙(憲肅) | ||
183 | 김상복(金相福) | 광산(光山) | 1772.3.9~1772.8.2 | 중정(仲靜) | - | ||
184 | 신회(申晦) | 평산(平山) | 1772.8.2~1772.8.20 | 자연(自然) | 문헌(文憲) | ||
185 | 김상복(金相福) | 안동(安東) | 1772.9.3~1772.10.5 | 중정(仲靜) | - | ||
186 | 한익모(韓翼謩) | 청주(淸州) | 1772.10.5~1772.10.22 | 정견(靜見) | 문숙(文肅) | ||
187 | 김상복(金相福) | 광산(光山) | 1772.10.22~1772.11.22 | 중정(仲靜) | - | ||
188 | 신회(申晦) | 평산(平山) | 1772.11.22~1773.1.27 | 자연(自然) | 문헌(文憲) | ||
189 | 한익모(韓翼謩) | 청주(淸州) | 1773.1.27~1773.2.2 | 정견(靜見) | 문숙(文肅) | ||
190 | 김상복(金相福) | 광산(光山) | 1773.2.2~1773.윤3.13 | 중정(仲靜) | - | ||
191 | 한익모(韓翼謩) | 청주(淸州) | 1773.윤3.13~1773.4.15 | 정견(靜見) | 문숙(文肅) | ||
192 | 김상복(金相福) | 광산(光山) | 1773.4.16~1774.6.21 | 중정(仲靜) | - | ||
193 | 한익모(韓翼謩) | 청주(淸州) | 1774.6.21~1774.6.28 | 정견(靜見) | 문숙(文肅) | ||
194 | 신회(申晦) | 광산(光山) | 1774.6.28~1775.7.1 | 자연(自然) | 문헌(文憲) | ||
195 | 한익모(韓翼謩) | 청주(淸州) | 1775.7.7~1775.12.4 | 정견(靜見) | 문숙(文肅) | ||
196 | 김상철(金尙喆) | 강릉(江陵) | 1775.12.4-1776.3.19 | 화서(華西) | 충익(忠翼) | 소론 | |
197 | 김양택(金陽澤) | 광주(光州) | 1776.3.19~1776.8.7 | 건암(健菴) | 문간(文簡) | 노론 | |
정조(正祖) | 198 | 김상철(金尙喆) | 강릉(江陵) | 1776.8.8~1779.9.29 | 화서(華西) | 충익(忠翼) | 소론 시파 |
199 | 서명선(徐命善) | 대구(大丘) | 1779.9.29~1780.1.5 | 귀천(歸泉) | 충헌(忠憲) | 소론 벽파 | |
200 | 김상철(金尙喆) | 강릉(江陵) | 1780.1.8~1781.1.6 | 화서(華西) | 충익(忠翼) | 소론 시파 | |
201 | 서명선(徐命善) | 대구(大丘) | 1781.1.6~1783.3.7 | 귀천(歸泉) | 충헌(忠憲) | 소론 벽파 | |
202 | 정존겸(鄭存謙) | 동래(東萊) | 1783.6.2~1784.10.8 | 陽菴 . 源村 | 문안(文安) | 노론 벽파 | |
203 | 서명선(徐命善) | 대구(大丘) | 1784.10.11~1785.3.9 | 귀천(歸泉) | 충헌(忠憲) | 소론 벽파 | |
204 | 정존겸(鄭存謙) | 동래(東萊) | 1786.2.13~1786.10.21 | 陽菴 . 源村 | 문안(文安) | 노론 벽파 | |
205 | 김치인(金致仁) | 청풍(淸風) | 1786.10.21~1789.7.11 | 고정(古亭) | 헌숙(憲肅) | 노론 시파 | |
206 | 김익(金熤) | 연안(延安) | 1789.7.11~1789.9.27 | 죽하(竹下) | 문정(文貞) | 노론 벽파 | |
207 | 이재협(李在協) | 용인(龍仁) | 1789.9.27~1789.11.17 | 소론 시파 | |||
208 | 김익(金熤) | 연안(延安) | 1790.1.19~1790.3.20 | 죽하(竹下) | 문정(文貞) | 소론 벽파 | |
209 | 채제공(蔡濟恭) | 평강(平康) | 1793.5.25~1793.6.4 | 번암(樊巖) 번옹(樊翁) |
문숙(文肅) | 남인 | |
210 | 홍낙성(洪樂性) | 풍산(豊山) | 1793.6.22~1797.5.22 | 항재(恒齋) | 효안(孝安) | 노론 시파 | |
211 | 이병모(李秉模) | 덕수(德水) | 1799.10.29~1800.7.4 | 정수재(靜修齋) | 문익(文翼) | 소론 시파 | |
순조(純祖) | 212 | 심환지(沈煥之) | 청송(靑松) | 1800.7.4~1802.10.18 | 만포(晩圃) | 문충(文忠) | 노론 벽파 |
213 | 이시수(李時秀) | 연안(延安) | 1802.10.27~1803.1.22 | - | 충정(忠正) | 시파 | |
214 | 이병모(李秉模) | 덕수(德水) | 1803.3.20~1805.12.6 | 정수재(靜修齋) | 문익(文翼) | ||
215 | 서매수(徐邁修) | 대구(大丘) | 1805.12.7~1806.1.30 | 당헌(戇軒) | 익헌(翼憲) | 벽파 | |
216 | 이병모(李秉模) | 덕수(德水) | 1806.2.1~1806.9.10 | 정수재(靜修齋) | 문익(文翼) | 시파 | |
217 | 김재찬(金載瓚) | 연안(延安) | 1812.5.1~1816.5.10 | 해석(海石) | 문충(文忠) | ||
218 | 서용보(徐榮輔) | 대구(大丘) | 1819.1.25~1820.6.15 | 죽석(竹石) | 문헌(文憲) | ||
219 | 한용귀(韓用龜) | 청주(淸州) | 1821.4.24~1821.10.18 | 만오(晩悟) | 익정(翼貞) | ||
220 | 김재찬(金載瓚) | 연안(延安) | 1821.11.19~1823.2.22 | 해석(海石) | 문충(文忠) | ||
221 | 남공철(南公轍) | 의령(宜寧) | 1823.2.23~1833.5.16 | 思穎 .金陵 | 문헌(文獻) | ||
222 | 이상황(李相璜) | 전주(全州) | 1833.5.16~1834.2.4 | 桐漁 .玄圃 | 문익(文翼) | ||
223 | 심상규(沈象奎) | 청송(靑松) | 1834.7.9~1835.6.10 | 두실(斗室) | 문숙(文肅) | ||
헌종(憲宗) | 224 | 이상황(李相璜) | 전주(全州) | 1837.10.20~1838.3.23 | 桐漁 .玄圃 | 문익(文翼) | |
225 | 조인영(趙寅永) | 풍양(豊壤) | 1841.4.22~1844.9.22 | 운석(雲石) | 문충(文忠) | 풍양조씨 | |
226 | 권돈인(權敦仁) | 안동(安東) | 1844.9.22~1848.7.14 | 彝齋. 又閬.又髥 | 문헌(文獻) | 무소속 | |
227 | 정원용(鄭元容) | 동래(東萊) | 1848.7.14~1850.10.4 | 경산(經山) | 문충(文忠) | 안동김씨파 | |
철종(哲宗) | 228 | 조인영(趙寅永) | 풍양(豊壤) | 1850.10.6~1850.12.6 | 운석(雲石) | 문충(文忠) | 풍양조씨 |
229 | 권돈인(權敦仁) | 안동(安東) | 1850.12.6~1851.6.19 | 彝齋. 又閬.又髥 | 문헌(文獻) | 무소속 | |
230 | 김흥근(金興根) | 안동(安東) | 1851.6.19~1852.3.17 | 유관(游觀) | 충문(忠文) | 안동김씨 | |
231 | 김좌근(金左根) | 안동(安東) | 1853.2.25~1859.1.12 | 하옥(荷屋) | 충익(忠翼) | ||
232 | 정원용(鄭元容) | 동래(東萊) | 1859.1.12~1863.9.8 | 경산(經山) | 문충(文忠) | 안동김씨파 | |
233 | 김좌근(金左根) | 안동(安東) | 1863.9.8~1864.4.18 | 하옥(荷屋) | 충익(忠翼) | 안동김씨 | |
고종(高宗) | 234 | 조두순(趙斗淳) | 양주(楊州) | 1864.6.15~1866.4.13 | 심암(心菴) | 문헌(文獻) | 대원군파 |
235 | 이경재(李景在) | 한산(韓山) | 1866.4.13~1867.5.18 | 송서(松西) | 문간(文簡) | ||
236 | 김병학(金炳學) | 안동(安東) | 1867.5.18~1869.4.11 | 영초(穎樵) | 문헌(文獻) | ||
237 | 정원용(鄭元容) | 동래(東萊) | 1869.4.11~1869.4.21 | 경산(經山) | 문충(文忠) | 안동김씨파 | |
238 | 김병학(金炳學) | 안동(安東) | 1869.4.23~1872.10.1 | 영초(潁樵) | 문헌(文獻) | 대원군파 | |
239 | 홍순목(洪淳穆) | 남양(南陽) | 1872.10.12~1873.4.29 | 분계(汾溪) | 문익(文翼) | ||
240 | 이유원(李裕元) | 경주(慶州) | 1873.11.13~1875.4.22 | 귤산(橘山).默農 | 충문(忠文) | 중전파 | |
241 | 이최응(李最應) | 전주(全州) | 1875.11.20~1882.1.13 | 산향(山響) 흥인군(興寅君) |
충익(忠翼) | 수구당 | |
242 | 서당보(徐堂輔) | 대구(大丘) | 1882.1.13~1882.3.2 | 다사(茶史) | 문간(文簡) | ||
243 | 홍순목(洪淳穆) | 남양(南陽) | 1882.3.3~1883.6.7 | 분계(汾溪) | 문익(文翼) | ||
244 | 김병국(金炳國) | 안동(安東) | 1884.5.22~1884.10.2 | 영어(穎漁) | 충문(忠文) | 개화당 | |
245 | 심순택(沈舜澤) | 청송(靑松) | 1884.10.21~1894.6.18 | - | 문충(文忠) | ||
246 | 김병시(金炳始) | 안동(安東) | 1894.6.20~1894.6.25 | 용암(蓉庵) | 충문(忠文) | 수구당 | |
247 | 김홍집(金弘集) | 경주(慶州) | 1894.6.25~1894.7.20 | 도원(道園) | 충헌(忠獻) | 개화당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꿩 한 마리와 한강 배다리 (상)”. 사이언스타임즈. 2009년 11월 26일.
- ↑ 임진왜란 끝나고 처음에는 좌의정으로 추존되었다. 그후 사후 200년 되는 해인 1793년 정조 명으로 영의정으로 추존되었다.
- ↑ 세조 42권, 13년(1467 정해 / 명 성화(成化) 3년) 4월 6일(신축) 1번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