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하시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의 문하시중
門下侍中
소속중서문하성
품계종1품
지명자고려 국왕
임명자고려 국왕
임기일정하지 않음
상관고려 국왕
초대최승로
설치일988년
마지막심덕부
폐지일1399년
후신조선 영의정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다.

당나라의 제도를 고려에서 본따 도입하였다. 조선영의정과 같고, 대한민국국무총리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벼슬이다.

역사[편집]

982년(고려 성종(成宗) 원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설치하였다.

고려 문종(文宗) 때에 정원을 1인으로 정하고, 관품을 종1품으로 하였다.

1275년(충렬왕(忠烈王) 원년)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고치고,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298년에 충선왕(忠宣王)이 왕위를 이어받고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고쳤다가, 조금 뒤에 다시 중찬(中贊)으로 개칭하였다.

1308년 충선왕이 원(元)에 있으면서 정승(政丞)으로 고쳤으며, 1인으로 줄였다.

1330년(충숙왕(忠肅王) 17년)에 충혜왕(忠惠王)이 다시 중찬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우정승(右政丞)·좌정승(左政丞)으로 고쳤다.

1354년(공민왕(恭愍王) 3년)에 다시 시중으로 고쳤다가, 조금 뒤에 다시 우정승·좌정승으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년)에 문하시중·수시중(守侍中)으로 고쳤다.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첨의좌정승(僉議左政丞)으로 개칭하였다가 1363년(공민왕 12)에 첨의좌시중(僉議左侍中)·첨의우시중(僉議右侍中)으로 개칭하였으며, 1369년(공민왕 18년)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으로 고쳤다.

창왕(昌王) 때에 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각각 바뀌었다.[1]

이후 조선에 이르러 1394년 시중을 '정승'으로 바꾸었고, 1401년에는 문하부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좌정승, 우정승은 각각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

역대 문하시중[편집]

성명 재임 기간 관직
최승로 988년
한언공[2][3] 1001년 ~ 1004년
윤부(柳允孚)[4] 1009년 ~
위수여(韋壽餘) 1012년 2월 ~ 1012년 4월
유진(劉瑨) 1014년 ~ 1019년
유방(庾方) 1027년
강감찬 1030년
서눌 1031년
황주량 1043년
최충 1047년
이자연 1055년 10월 ~
박성걸[5] 1063년 9월
김원정 1063년
이정 1077년 5월
정공(李靖恭)[6] 1086년
문정(文正) ~ 1093년
소태보(邵台輔) 1095년
최사추 1103년 ~
위계정 1105년 음력 10월 ~ 1107년 음력 1월
윤관 1108년 12월 ~ 1109년 11월, 1110년 ~ 1111년
경용 1112년 ~
위(李瑋)[7]
이공수 1128년 3월 ~ 1131년
약온[8] 1140년
임원후 1146년 ~
왕충 1149년
두경승 1176년 ~
조영인 1201년
임유
이항(李抗)[9]
김취려 1233년 6월 ~
최종준
서능
오대승
서원경
이장용 1268년 ~ 1271년
우천석 1280년[10]
원부 ~ 1287년 첨의중찬
설공검 중찬
염승익 ~ 1302년 도첨의중찬
채인규 ~ 1303년 도첨의중찬
안향 1304년 도첨의중찬
류청신 1310년 첨의정승
민지(閔漬) 1325년 첨의정승
이능간 1341년 도첨의정승
하중(蔡河中) 1342년 정승
이제현 1351년 ~ 1356년 ~ 1357년
염제신 1358년
이암 1359년
홍언박 1361년
유탁 1365년 ~ 1368년
춘부 1368년 ~ 1371년
1371년 ~ 1372년
경복흥(慶復興) 1372년 ~ 1374년
염제신 1374년
경복흥 1374년 ~ 1380년
1380년 ~ 1381년
이인임 1381년 ~ 1382년
영통 1382년 ~ 1383년
조민수 1383년 ~ 1384년
최영 1384년
임견미 1384년 ~ 1386년
이인임 1386년 ~ 1387년
이림 1387년 ~ 1388년 철성부원군
최영 1388년
조민수 1388년 창성부원군
이색 1388년[11]
   이성계 1388년 수문하시중
이림 1388년 ~ 1389년 철성부원군
    이무방 검교문하시중, 광양부원군
심덕부 1389년 ~ 1390년
   이성계 1390년 ~ 1391년 수문하시중
   정몽주 1390년 ~ 1392년 수문하시중
   심덕부 1391년 ~ 1392년 문하좌시중
이성계 1392년 영삼사사
   배극렴 1392년 ~ 1393년 문하좌시중
   조준 1393년 ~ 1398년 문하좌정승
    설장수 1396년 검교(檢校) 문하시중, 판삼사사
심덕부 1398년 ~ 1399년 판문하부사, 영삼사사, 좌의정
   성석린 1399년 문하우정승
   민제 1399년 문하우정승
이거이 1399년 ~ 1400년 참찬문하부사, 판문하부사
   김사형 1400년 ~ 1401년 문하부판사, 문하좌정승

추증 문하시중[편집]

문하시중 지위에 임명은 고려, 1392년 이후의 조선 두 국가에서 모두 등장하므로 《고려사》에 모든 문하시중 임명 기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성명 추증 시기 추증 국왕
김맹[12] 문종
김인존 1131년 인종
기탁성 1179년 명종
서신 1380년 우왕
이자춘 1392년 음력 8월 조선 태조
구홍 1403년[13] 조선 태종

변천[편집]

문하시중, 문하시랑, 첨의중찬, 도첨의시중, 중찬, 도첨의정승, 첨의정승, 첨의시중

기타[편집]

정승 류청신은 국외에서 국정을 행한 고려 충숙왕을 따라 원나라에 머무르기도 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 《재상》, 〈고려의 재상〉, 박윤규 저, 이가서(2005년, 162~163p)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