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순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순택
沈舜澤
조선국 영의정 겸 대리집정대신
(朝鮮國 領議政 兼 代理聽政大臣)
임기 1884년 11월 30일 ~ 1885년 1월 1일
군주 고종 이형

신상정보
출생일 1824년
출생지 조선 경상도 청송
사망일 1906년 (82세)
사망지 대한제국 한성부
국적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경력 영의정, 총리대신, 의정대신
대한제국 공작
청녕공(靑寧公)
정당 온건개화파
부모 아버지 : 심의린(沈宜麟) - 증 영의정
어머니 : 의령 남씨(宜寧 南氏) - 증 정경부인
형제자매 심훈택(형) - 평양서윤, 증 이조참판
심이택(동생) - 이조판서, 내무독판
배우자 초배 : 정경부인 한산 이씨
계배 : 공작부인 능성 구씨
자녀 양자 : 심상진(沈相璡, 승지, 대사성) - 이조판서 심이택(沈履澤)의 아들
종교 유교(성리학)
상훈
대한제국 대한제국 건국 공신 훈1등 태극장 (1901년)
대한제국 대훈위 이화대수장 (1902년)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공작이다. 자는 치화(穉華), 본관은 청송이다. 서인의 초대 영수였던 병조판서 청양군(靑陽君) 심의겸(沈義謙)의 11대손, 조선 영조이조판서와 판돈녕부사를 지낸 심택현(沈宅賢)의 5대손, 조선 정조예조판서를 지낸 심풍지(沈豊之)의 증손, 조선 순조헌종이조판서를 지낸 심능악(沈能岳)의 손자이며, 영의정에 증직된 심의린(沈宜麟)의 아들이다. 또한, 고종 때, 이조판서와 내무독판을 지낸 심이택(沈履澤)의 친형이다. 1906년 대한제국 공작(청녕공 靑寧公)에 봉작되었다.[1]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관력[편집]

고종 34년 정유년(1897년) 9월에 의정부 의정(議政府議政) 심순택(沈舜澤)이 문무의 관리들을 거느리고 황제의 칭호를 올릴 것을 청한 결과 17일 계묘일(癸卯日)에는 천지에 제사를 지내어 고한 다음에 황제의 지위에 올랐다. 나라 이름을 대한(大韓)으로 정하고 광무(光武)라는 연호(年號)를 사용하였다.

— 《고종실록》 총서

조령(詔令)을 내리기를,

"시귀(蓍龜)의 원로로서 나라에 큰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는 응당 특별한 은전을 베풀어야 하는 만큼, 영돈녕사사(領敦寧司事) 심순택(沈舜澤)에게 특별히 공작(公爵)을 봉하는 절차는 궁내부(宮內府)에서 널리 상고하여 거행하게 하라."

하였다. 궁내부(宮內府)에서 청녕공(靑寧公)에 봉하였다고 아뢰었다.

— 고종실록 47권, 고종 43년 2월 20일 양력 1번째기사 심순택을 청녕공으로 봉하다

청녕공(靑寧公) 심순택(沈舜澤)이 졸하니, 조령(詔令)을 내리기를,

"이 대신은 풍채와 위풍(威風)이 순수하고 단아하며 성품과 도량이 온화하고 은혜로우며 일에 임해서는 치밀하게 잘 처리하고 차분하고 부지런하였다. 벼슬이 정승에 오른 지 10여 년 동안 충성과 지성을 다하여 짐(朕)을 도와 정사를 다스려 보익(補益)한 것이 실로 많았다. 나라의 명을 유신(維新)할 때에는 보필한 공로가 많았으며, 늙어서 시골집에 물러났을 때에도 오히려 원로로 의지하였다. 나이가 많았으나 정력과 식견이 쇠하지 않았거늘 부고가 갑자기 날아들 줄이야 어찌 생각이나 하였겠는가? 짐의 마음이 너무나 아파 가눌 수가 없다.

졸한 청녕공 심순택의 장사에 동원부기(東園副器) 1부(部)를 보내주고 예장(禮葬) 등의 절차는 규례를 살펴 거행하라. 아경(亞卿)을 보내어 치제(致祭)하도록 하고, 제문(祭文)은 직접 지어서 내려 보낼 것이다. 시호를 주는 은전은 시장(諡狀)을 기다리지 말고 장사를 지내기 전에 시호를 의정(議定)하라."

하였다.

— 고종실록 47권, 고종 43년 2월 25일 양력 1번째기사 청녕공 심순택이 졸하다

가계[편집]

참조[편집]

  1. “고종실록 47권, 고종 43년 2월 20일 양력 1번째기사”. 2019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 《철종실록》
  • 《고종실록》

같이 보기[편집]

전임
김병국
조선섭정
1884년 11월 30일 - 1885년 1월 1일
후임
김홍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