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우 (1640년)
보이기
조상우 趙相愚 | |
---|---|
출생 | 1640년 |
사망 | 1718년 |
성별 | 남성 |
국적 | 조선 |
경력 | 우의정 |
직업 | 문신 |
조상우(趙相愚, 1640년 ~ 17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우의정을 지냈다. 본관은 풍양.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생애
[편집]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태인현감이 되고 지평, 병조좌랑, 부교리, 이조좌랑, 수찬, 검토관, 교리, 부응교, 시강관을 지내다 기사환국으로 쫓겨났지만 갑술환국으로 복귀해 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대사성, 부제학, 개성유수 등을 거쳐 대사간, 승지, 대사성, 부제학을 거쳐 경기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대사헌, 부제학을 거쳐 형조판서, 예조판서, 우참찬, 좌참찬을 거쳐 대사헌,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병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이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고 뒤에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가계
[편집]- 고조부 : 조세찬(趙世贊)
- 고조모 : 광주 이씨, 이은(李誾)의 딸
- 양고조부 : 조세훈(趙世勛) - 고조부 조세찬의 중형
- 양고조모 : 정부인 평해 손씨, 손준(孫濬)의 딸
- 증조부 : 조기(趙磯)
- 증조모 : 증 정부인 전주 이씨, 이숙(李淑)의 딸
- 부인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이장영(李長英)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