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구 (조선)
이서구(李書九, 1754년∼1825년)는 조선의 문신·학자이다.
생애[편집]
자(字)는 낙서(洛瑞), 호(號)는 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조선왕조 제14대 임금인 선조의 열두째 아들인 인흥군(仁興君)의 후손으로 영조 때 문과 과거시험에 급제하여 사관·지평·경상우도 암행어사 등을 지냈다. 1795년 정조 때 천주교도를 옹호한다는 죄로 영해부에 유배되었다가 성균관의 대사성이 되었다. 이듬해 교정당상이 되어 왕명으로 《장릉지》를 편찬했으며, 1800년 순조 때 호조판서로 지실록사가 되어 《정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후 형조판서·대사헌·대호군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판중추 부사로 재직 중 죽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명문장가로서 특히 시명이 높아 박제가·이덕무·유득공과 함께 한시의 4대가로 알려졌으며 5언 고시에 능했다. 저서로 《서산집》, 《장재집》, 《여지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