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극배
이극배
李克培 | |
前 조선국 의정부 영의정 겸 섭정승 | |
임기 | 1494년 12월 ~ 1495년 3월 20일 |
---|---|
군주 | 조선 연산군 이융 |
신상정보 | |
국적 | 조선 |
출생일 | 1422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495년 10월 (74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본관 | 광주(廣州) |
학력 | 1447년 식년문과 급제 |
경력 | 조선 시대 문관 겸 정치가 |
정당 | 훈구파 |
부모 | 이인손(부), 노씨 부인(모) |
형제 | 이극돈(아우) 이극균(아우) |
배우자 | 최씨 부인 |
자녀 | 이세필(장남) |
친인척 | 최유종(빙부) 이지직(친조부) 이장손(친백부) 이예손(친숙부) 노신(외조부) |
별명 | 호(號)는 우봉(牛峰) |
종교 | 유교(성리학) |
이극배(李克培, 1422년 ~ 1495년 10월)는 조선 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며 시인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겸보(謙甫), 호는 우봉(牛峰),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그는 이극균의 형이기도 하다.
생애[편집]
1447년에 식년문과에 급제한 이후 승문원부정자, 사헌부지평, 사헌부감찰, 사헌부장령, 사헌부헌납, 사헌부정언을 거쳐 1449년, 병조좌랑 겸 형조좌랑이 되고 이어서 1457년, 예조참의와 경상도관찰사를 겸하고 병조참판, 예조참판, 집현전제학을 거쳐 1462년, 이조,예조,형조,병조의 판서를 거쳐 우참찬, 판중추부사, 영중추부사가 되고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후 1494년 12월에서 이듬해 1495년 3월 20일까지 영의정이라는 관직 신분으로 연산군의 섭정을 3개월간 담당하였으며 1495년 3월 20일을 기하여 영의정 겸 섭정 직위를 사퇴하였다. 그로부터 7개월 후 1495년 10월에 향년 74세로 별세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 증조부: 이집(李集, 1327년 ~ 1387년), 호는 둔촌
- 할아버지: 이지직(李之直), 이조참의, 호 탄천
- 백부: 이장손(李長孫, 1390 - 1429)
- 사촌: 이극규(李克圭, 병조참의, 대사헌)
- 숙부: 이예손(李禮孫, ? - 1459, 관찰사)
- 사촌: 이극기(李克基, 1426 - 1491, 참판)
- 사촌: 이극견(李克堅, 통례원좌통례)
- 아버지: 이인손(李仁孫), 우의정
- 어머니: 노신(盧信)의 딸
- 백부: 이장손(李長孫, 1390 - 1429)
- 할아버지: 이지직(李之直), 이조참의, 호 탄천
전임 한명회 |
조선의 섭정 1494년 12월 ~ 1495년 3월 |
후임 노사신 |
![]() |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