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음함수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7번째 줄: 67번째 줄:
*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_3)</math>에 대하여, <math>f(\mathbf x,g(\mathbf x')-\epsilon)<0<f(\mathbf x,g(\mathbf x')+\epsilon)</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_3)</math>에 대하여, <math>f(\mathbf x,g(\mathbf x')-\epsilon)<0<f(\mathbf x,g(\mathbf x')+\epsilon)</math>
따라서,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math>에 대하여, <math>g(\mathbf x)\in\operatorname B(g(\mathbf x'),\epsilon)</math>이다. 이제 <math>g</math>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연속 함수 <math>h\colo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to\mathbb R</math>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math>에 대하여, <math>g(\mathbf x)\in\operatorname B(g(\mathbf x'),\epsilon)</math>이다. 이제 <math>g</math>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연속 함수 <math>h\colo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to\mathbb R</math>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가정하자.
*<math>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subseteq V</math>
* <math>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subseteq V</math>
*<math>b=h(\mathbf a)</math>
* <math>b=h(\mathbf a)</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math>f(\mathbf x,h(\mathbf x))=0</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math>f(\mathbf x,h(\mathbf x))=0</math>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집합이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의 [[열린닫힌집합]]임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집합이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의 [[열린닫힌집합]]임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75번째 줄: 75번째 줄:
* <math>\operatorname B(\mathbf x',\delta_4)\subseteq\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
* <math>\operatorname B(\mathbf x',\delta_4)\subseteq\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_4)</math>에 대하여, <math>h(\mathbf x)\in\operatorname B(b,\delta_1)</math>
*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_4)</math>에 대하여, <math>h(\mathbf x)\in\operatorname B(b,\delta_1)</math>

따라서,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_4)</math>에 대하여, <math>h(\mathbf x)=g(\mathbf x)</math>이다. 즉, <math>A</math>는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의 열린집합이다. 또한 임의의 <math>\mathbf x'\in A'\cap\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math>g,h</math>의 연속성에 의하여 <math>\mathbf x'\in A</math>이다. 즉, <math>A</math>는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의 닫힌집합이다.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는 [[연결 집합]]이며, 또한 <math>A\ne\varnothing</math>이므로, <math>A=\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이다. 즉,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math>g(\mathbf x)=h(\mathbf x)</math>이다. 이제 <math>f</math>가 <math>\mathcal C^k</math> 함수일 때 <math>g</math>의 <math>\mathcal C^k</math>성을 보이고 도함수를 구하자. 임의의 <math>j\in\{1,\dots,n\}</math> 및 <math>\mathbf x',\mathbf x'+\Delta x_j\mathbf e_j\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따라서,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x',\delta_4)</math>에 대하여, <math>h(\mathbf x)=g(\mathbf x)</math>이다. 즉, <math>A</math>는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의 열린집합이다. 또한 임의의 <math>\mathbf x'\in A'\cap\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math>g,h</math>의 연속성에 의하여 <math>\mathbf x'\in A</math>이다. 즉, <math>A</math>는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의 닫힌집합이다.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는 [[연결 집합]]이며, 또한 <math>A\ne\varnothing</math>이므로, <math>A=\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이다. 즉, 임의의 <math>\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math>g(\mathbf x)=h(\mathbf x)</math>이다. 이제 <math>f</math>가 <math>\mathcal C^k</math> 함수일 때 <math>g</math>의 <math>\mathcal C^k</math>성을 보이고 도함수를 구하자. 임의의 <math>j\in\{1,\dots,n\}</math> 및 <math>\mathbf x',\mathbf x'+\Delta x_j\mathbf e_j\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math>\Delta y(\mathbf x',\mathbf x'+\Delta x_j\mathbf e_j)=g(\mathbf x'+\Delta x_j\mathbf e_j)-g(\mathbf x')</math>
:<math>\Delta y(\mathbf x',\mathbf x'+\Delta x_j\mathbf e_j)=g(\mathbf x'+\Delta x_j\mathbf e_j)-g(\mathbf x')</math>
그러면 [[평균값 정리]]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math>0<\theta(\mathbf x',\mathbf x'+\Delta x_j\mathbf e_j)<1</math>가 존재한다.
그러면 [[평균값 정리]]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math>0<\theta(\mathbf x',\mathbf x'+\Delta x_j\mathbf e_j)<1</math>가 존재한다.
97번째 줄: 95번째 줄:
(\partial f/\partial y)(\mathbf x',g(\mathbf x'))}
(\partial f/\partial y)(\mathbf x',g(\mathbf x'))}
\end{align}</math>
\end{align}</math>

또한 <math>(\partial f/\partial x_j)(\mathbf x',g(\mathbf x'))</math>와 <math>(\partial f/\partial y)(\mathbf x',g(\mathbf x'))</math>가 연속 함수이므로, <math>g</math>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또한 <math>(\partial f/\partial x_j)(\mathbf x',g(\mathbf x'))</math>와 <math>(\partial f/\partial y)(\mathbf x',g(\mathbf x'))</math>가 연속 함수이므로, <math>g</math>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 m>1 ====
==== m>1 ====
이제 <math>m>1</math>일 경우를 증명하자. <math>V</math>의 원소를 <math>\mathbf y=(y_1,\tilde\mathbf y)</math>로 쓰고, <math>\mathbf f=(f_1,\tilde\mathbf f)</math>와 같이 표기하자. 또한 편의상 <math>\det(\mathrm D_{\tilde\mathbf y}\tilde\mathbf f\!(\mathbf a,\mathbf b))\ne 0</math>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함수 <math>\tilde\mathbf g\colon\operatorname B(\mathbf a,\delta_1)\times\operatorname B(b_1,\delta_1)\to\mathbb R^{m-1}</math>가 존재하게 되는 <math>\delta_1>0</math>가 존재한다.
이제 <math>m>1</math>일 경우를 증명하자. <math>V</math>의 원소를 <math>\mathbf y=(y_1,\tilde\mathbf y)</math>로 쓰고, <math>\mathbf f=(f_1,\tilde\mathbf f)</math>와 같이 표기하자. 또한 편의상 <math>\det(\mathrm D_{\tilde\mathbf y}\tilde\mathbf f\!(\mathbf a,\mathbf b))\ne 0</math>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함수 <math>\tilde\mathbf g\colon\operatorname B(\mathbf a,\delta_1)\times\operatorname B(b_1,\delta_1)\to\mathbb R^{m-1}</math>가 존재하게 되는 <math>\delta_1>0</math>가 존재한다.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1)\subseteq U</math>
*<math>\operatorname B(\mathbf a,\delta_1)\subseteq U</math>
*<math>\operatorname B(b_1,\delta_1)\times\tilde\mathbf g(\operatorname B(\mathbf a,\delta_1)\times\operatorname B(b_1,\delta_1))\subseteq V</math>
*<math>\operatorname B(b_1,\delta_1)\times\tilde\mathbf g(\operatorname B(\mathbf a,\delta_1)\times\operatorname B(b_1,\delta_1))\subseteq V</math>
138번째 줄: 134번째 줄:
:<math>f_i(\mathbf x,\mathbf g(\mathbf x))=f_i(\mathbf x,g_1(\mathbf x),\tilde\mathbf g(\mathbf x,g_1(\mathbf x)))=0\qquad\forall\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i\in\{2,\dots,m\}</math>
:<math>f_i(\mathbf x,\mathbf g(\mathbf x))=f_i(\mathbf x,g_1(\mathbf x),\tilde\mathbf g(\mathbf x,g_1(\mathbf x)))=0\qquad\forall\mathbf x\in\operatorname B(\mathbf a,\delta_2),\;i\in\{2,\dots,m\}</math>
:<math>\mathbf g(\mathbf a)=(g_1(\mathbf a),\tilde\mathbf g(\mathbf a,b_1))=\mathbf b</math>
:<math>\mathbf g(\mathbf a)=(g_1(\mathbf a),\tilde\mathbf g(\mathbf a,b_1))=\mathbf b</math>

이러한 <math>\mathbf g</math>의 유일성은 <math>m=1</math>의 경우와 똑같은 방법으로 보일 수 있다. 만약 <math>\mathbf f</math>가 <math>\mathcal C^k</math> 함수라면, 각 <math>i\in\{1,\dots,m\}</math> 및 <math>j\in\{1,\dots,n\}</math>에 대하여, <math>f_i(\mathbf x,\mathbf g(\mathbf x))=0</math>의 양변에 <math>\partial/\partial x_j</math>를 취하면, [[연쇄 법칙]]에 따라 다음을 얻는다.
이러한 <math>\mathbf g</math>의 유일성은 <math>m=1</math>의 경우와 똑같은 방법으로 보일 수 있다. 만약 <math>\mathbf f</math>가 <math>\mathcal C^k</math> 함수라면, 각 <math>i\in\{1,\dots,m\}</math> 및 <math>j\in\{1,\dots,n\}</math>에 대하여, <math>f_i(\mathbf x,\mathbf g(\mathbf x))=0</math>의 양변에 <math>\partial/\partial x_j</math>를 취하면, [[연쇄 법칙]]에 따라 다음을 얻는다.

:<math>\frac{\partial f_i}{\partial x_j}+\sum_{k=1}^m\frac{\partial f_i}{\partial y_k}\frac{\partial g_k}{\partial y_j}=0</math>
:<math>\frac{\partial f_i}{\partial x_j}+\sum_{k=1}^m\frac{\partial f_i}{\partial y_k}\frac{\partial g_k}{\partial y_j}=0</math>

이를 행렬로 표기하면 <math>\mathrm D\mathbf g</math>의 공식을 얻으며, 따라서 <math>\mathbf g</math> 역시 <math>\mathcal C^k</math> 함수이다.
이를 행렬로 표기하면 <math>\mathrm D\mathbf g</math>의 공식을 얻으며, 따라서 <math>\mathbf g</math> 역시 <math>\mathcal C^k</math> 함수이다.


192번째 줄: 185번째 줄:
즉, 다음이 성립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math>\Vert\mathbf g(\mathbf x'+\Delta\mathbf x)-\mathbf g(\mathbf x')\Vert\le\frac{c'}{1-c}\Vert\Delta\mathbf x\Vert</math>
:<math>\Vert\mathbf g(\mathbf x'+\Delta\mathbf x)-\mathbf g(\mathbf x')\Vert\le\frac{c'}{1-c}\Vert\Delta\mathbf x\Vert</math>

따라서 <math>\mathbf g</math>는 연속 함수가 맞다. <math>\mathbf g</math>의 유일성은 고정점의 유일성에 따라 성립한다. 이제 <math>\mathbf f</math>가 <math>\mathcal C^k</math> 함수일 때 <math>\mathbf g</math>의 <math>\mathcal C^k</math>성을 보이고 도함수를 구하자. 임의의 <math>\mathbf x',\mathbf x'+\Delta\mathbf x\in\bar\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따라서 <math>\mathbf g</math>는 연속 함수가 맞다. <math>\mathbf g</math>의 유일성은 고정점의 유일성에 따라 성립한다. 이제 <math>\mathbf f</math>가 <math>\mathcal C^k</math> 함수일 때 <math>\mathbf g</math>의 <math>\mathcal C^k</math>성을 보이고 도함수를 구하자. 임의의 <math>\mathbf x',\mathbf x'+\Delta\mathbf x\in\bar\operatorname B(\mathbf a,\delta_2)</math>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math>\Delta\mathbf y(\mathbf x',\mathbf x'+\Delta\mathbf x)=\mathbf g(\mathbf x+\Delta\mathbf x)-\mathbf g(\mathbf x)</math>
:<math>\Delta\mathbf y(\mathbf x',\mathbf x'+\Delta\mathbf x)=\mathbf g(\mathbf x+\Delta\mathbf x)-\mathbf g(\mathbf x)</math>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begin{align}\Vert\Delta\mathbf y+
:<math>\begin{align}\Vert\Delta\mathbf y+
(\mathrm D_{\mathbf y}\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1}
(\mathrm D_{\mathbf y}\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1}
213번째 줄: 202번째 줄:
&=o(\Vert\Delta\mathbf x\Vert)\qquad(\Delta\mathbf x\to\mathbf 0)
&=o(\Vert\Delta\mathbf x\Vert)\qquad(\Delta\mathbf x\to\mathbf 0)
\end{align}</math>
\end{align}</math>

마지막 등호는 <math>\Vert\Delta\mathbf y\Vert\le(c'/(1-c))\Vert\Delta\mathbf x\Vert</math> 때문이다. 즉,
마지막 등호는 <math>\Vert\Delta\mathbf y\Vert\le(c'/(1-c))\Vert\Delta\mathbf x\Vert</math> 때문이다. 즉,

:<math>\mathrm D\mathbf g(\mathbf x')=-(\mathrm D_{\mathbf y}\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1}
:<math>\mathrm D\mathbf g(\mathbf x')=-(\mathrm D_{\mathbf y}\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1}
\mathrm D_{\mathbf x}\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math>
\mathrm D_{\mathbf x}\mathbf f(\mathbf x',\mathbf g(\mathbf x'))</math>

가 성립하며, <math>\mathbf g</math>는 <math>\mathcal C^k</math> 함수이다.
가 성립하며, <math>\mathbf g</math>는 <math>\mathcal C^k</math> 함수이다.


233번째 줄: 219번째 줄:


=== 충분 조건의 비필요성 ===
=== 충분 조건의 비필요성 ===
다음과 같은 함수 <math>f\colon\mathbb R^2\to\mathbb R</math>를 생각하자.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 <math>f,g\colon\mathbb R^2\to\mathbb R</math> 및 <math>h\colon\mathbb R\to\mathbb R</math>를 생각하자.
:<math>f(x,y)=|y|\qquad\forall x,y\in\mathbb R</math>
:<math>f(x,y)=|y|\qquad\forall x,y\in\mathbb R</math>
그렇다면, 방정식 <math>f(x,y)=0</math>는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 <math>g\colon\mathbb R\to\mathbb R</math>와 동치이다.
:<math>g(x,y)=y^3\qquad\forall x,y\in\mathbb R</math>
:<math>g(x)=0\qquad\forall x\in\mathbb R</math>
:<math>h(x)=0\qquad\forall x\in\mathbb R</math>
그러면 <math>x,y\in\mathbb R</math>에 대하여 다음 세 가지가 동치이다.
따라서, <math>f</math>는 <math>(0,0)</math>에서 음함수 정리의 결론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math>f_y(0,0)</math>는 존재하지 않는다.
* <math>f(x,y)=0</math>

* <math>g(x,y)=0</math>
다음과 같은 함수 <math>f\colon\mathbb R^2\to\mathbb R</math>를 생각하자.
* <math>y=h(x)</math>

, <math>h</math>는 <math>f</math> 또는 <math>g</math>가 유도하는 음함수이다. 그러나 <math>f_y(0,0)</math>는 존재하지 않으며, <math>g_y(0,0)=0</math>이다.
:<math>f(x,y)=y^3\qquad\forall x,y\in\mathbb R</math>

그렇다면, 방정식 <math>f(x,y)=0</math>는 같은 함수 <math>g</math>와 동치이나, <math>f_y(0,0)=0</math>이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3월 20일 (수) 17:17 판

다변수 미적분학에서, 음함수 정리(陰函數定理, 영어: implicit function theorem)는 변수들에 대한 방정식이 국소적으로 함수 관계를 나타낼 충분 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도입

2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에서 원점 을 중심으로 하며 1을 반지름으로 하는 의 방정식

을 생각하자. 이 방정식은 에서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함수와 동치이다.

또한 이 방정식은 에서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함수와 동치이다.

이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에서 위와 같은 두 가지가 있으므로 유일하지 않다. 그러나 을 지나는 연속 함수는 첫 번째 함수로 유일하다. 이 사실에 대한 기하학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이렇게 정의한 의 그래프는 에 놓인 곡면이며, 위와 같은 원은 이 곡면과 평면 의 교선이다. 주변에서 인 점 을 임의로 취하자. 여기에는 특히 역시 포함된다. 가 고정되었을 때, 주변에서 에 대한 순증가 함수이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에 대하여 이 성립하며,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따라서 의 영점 집합은 에서 국소적으로 어떤 함수 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에 대한 순단조 함수가 되기 위한 한 가지 충분 조건은 이다. 이를 만족시키지 않는 점을 지나는 연속 함수는 국소적으로 유일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방정식을 만족시키며 을 지나는 연속 함수는 대역적으로나 국소적으로나 유일하지 않다. 음함수 정리에서는 이 조건을 가정으로 삼아 국소적으로 유일한 음함수의 존재를 결론으로 제시한다. 사실 은 비퇴화 조건의 가장 간단한 경우이다. 여러 개의 방정식의 연립

에서 가 국소적으로 의 함수인지를 다루려면 다음과 같은 비퇴화 조건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 부등식의 좌변은 함수 의 변수 에 대한 야코비 행렬식이다. 특히, 만약

일 경우, 위에서 정의한 야코비 행렬식은 을 상수로 간주하여 얻는 연립 일차 방정식의 계수 행렬의 행렬식 이다.

정의

열린집합 연속 함수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역시 연속 함수이다. 여기서 이다.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 및 유일한 연속 함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또한, 에 대하여, 만약 함수라면, 역시 함수이며, 의 도함수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다. 이를 음함수 정리라고 한다. 함수임을 가정하지 않을 경우, 의 미분 가능성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경우

두 열린구간 및 연속 함수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역시 연속 함수이다.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열린구간 및 유일한 연속 함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또한, 에 대하여, 만약 함수라면, 역시 함수이며, 의 도함수 는 다음과 같다.

이는 음함수 정리에서 을 취한 가장 간단한 경우이다.

증명

수학적 귀납법을 통한 증명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m=1

먼저 일 경우를 증명하자. 편의상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에 연속성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에 따라 에서 순증가 함수이며, 또한 이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에서 순증가 함수이자 연속 함수이므로, 중간값 정리에 따라 인 유일한 가 존재한다. 이렇게 정의한 함수 는 임의의 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며, 특히 이다. 이제 의 연속성을 증명하자. 임의의 및 충분히 작은 에 대하여, 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이제 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연속 함수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가정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집합이 열린닫힌집합임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우선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즉, 의 열린집합이다. 또한 임의의 에 대하여, 의 연속성에 의하여 이다. 즉, 의 닫힌집합이다. 연결 집합이며, 또한 이므로, 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이제 함수일 때 성을 보이고 도함수를 구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그러면 평균값 정리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또한 가 연속 함수이므로, 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m>1

이제 일 경우를 증명하자. 의 원소를 로 쓰고, 와 같이 표기하자. 또한 편의상 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함수 가 존재하게 되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다. 수학적 귀납법 가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속 함수 가 존재하게 되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제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렇다면, 는 연속 함수이며, 다음이 성립한다.

이러한 의 유일성은 의 경우와 똑같은 방법으로 보일 수 있다. 만약 함수라면, 각 에 대하여, 의 양변에 를 취하면, 연쇄 법칙에 따라 다음을 얻는다.

이를 행렬로 표기하면 의 공식을 얻으며, 따라서 역시 함수이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통한 증명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정의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다. 또한 이므로, 를 취하였을 때,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며

또한, 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제 임의의 에 대하여, 위의 -립시츠 연속 함수임을 증명하자. 우선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다. 또한,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즉, 위의 -립시츠 연속 함수이다. 또한 바나흐 공간이므로,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따라 에서 유일한 고정점 를 가진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이제 이렇게 정의한 가 연속 함수임을 증명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는 연속 함수가 맞다. 의 유일성은 고정점의 유일성에 따라 성립한다. 이제 함수일 때 성을 보이고 도함수를 구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마지막 등호는 때문이다. 즉,

가 성립하며, 함수이다.

닫힌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함수

어떤 에 대하여, 케플러 방정식

을 생각하자.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인 유일한 가 존재한다. 음함수 정리에 따라, 이러한 함수 함수이다. 다시 말해, 케플러 방정식은 어떤 유일한 () 함수와 동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함수 는 닫힌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다.

충분 조건의 비필요성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 를 생각하자.

그러면 에 대하여 다음 세 가지가 동치이다.

즉, 또는 가 유도하는 음함수이다. 그러나 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