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골든글러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최다 부문 수상자에 이대호(1루수 3회, 3루수 1회, 지명타자 1회) 추가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78번째 줄: 78번째 줄:
|2003||정민태<br />(현대)||김동수<br />(현대)||이승엽<br />(삼성)||안경현<br />(두산)||김한수<br />(삼성)||[[홍세완]]<br />(KIA)||심정수<br />(현대)||이종범<br />(KIA)||양준혁<br />(삼성)||||김동주<br />(두산)
|2003||정민태<br />(현대)||김동수<br />(현대)||이승엽<br />(삼성)||안경현<br />(두산)||김한수<br />(삼성)||[[홍세완]]<br />(KIA)||심정수<br />(현대)||이종범<br />(KIA)||양준혁<br />(삼성)||||김동주<br />(두산)
|-
|-
|2004||[[배영수]]<br />(삼성)||홍성흔<br />(두산)||양준혁<br />(삼성)||박종호<br />(삼성)||김한수<br />(삼성)||박진만<br />(삼성)<ref>2004년 시즌을 현대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ref>||[[클리프 브룸바|브룸바]]<br />(현대)||[[이진영]]<br /> (SK)||[[박한이]]<br /> (삼성)||[[이병규 (1974년)|이병규]]<br /> (LG)<ref>박한이와 이병규가 138표로 공동 3위를 기록, 4명의 외야수가 골든글러브를 수상함</ref> ||김기태<br />(SK)
|2004||[[배영수]]<br />(삼성)||홍성흔<br />(두산)||양준혁<br />(삼성)||박종호<br />(삼성)||김한수<br />(삼성)||박진만<br />(삼성)<ref>2004년 시즌을 현대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ref>||[[클리프 브룸바|브룸바]]<br />(현대)||[[이진영]]<br /> (SK)||[[박한이]]<br /> (삼성)||||김기태<br />(SK)
|-
|-
|2005||[[손민한]]<br />(롯데)||진갑용<br />(삼성)||[[김태균 (1982년)|김태균]]<br />(한화)||안경현<br />(두산)||[[이범호]]<br />(한화)||[[손시헌]]<br />(두산)||이병규<br />(LG)||[[래리 서튼|서튼]]<br />(현대)||[[제이 데이비스|데이비스]]<br />(한화)||||김재현<br />(SK)
|2005||[[손민한]]<br />(롯데)||진갑용<br />(삼성)||[[김태균 (1982년)|김태균]]<br />(한화)||안경현<br />(두산)||[[이범호]]<br />(한화)||[[손시헌]]<br />(두산)||이병규<br />(LG)||[[래리 서튼|서튼]]<br />(현대)||[[제이 데이비스|데이비스]]<br />(한화)||||김재현<br />(SK)

2019년 6월 21일 (금) 21:53 판

KBO 골든글러브
주최KBO 리그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첫 시상1982년

KBO 골든글러브 (KBO Golden Glove Award)은 KBO 리그에서 매해 각 포지션별로 가장 우수한 활약을 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본 명칭은 한국프로야구 골든글러브 (Korean Baseball League Golden Glove Award)이었으나 한국야구위원회의 브랜드 아이덴디티 통합 작업에 따라 2015시즌부터 "KBO 골든글러브"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개요

한국 야구 위원회에서 주최하고 있으며 한국 프로 야구 창립 기념일을 기념하여 매년 동일하게 12월 11일에 열린다.

한국의 프로 야구 첫 해인 1982년과 1983년까지는 최고 수비수를 뽑는 취지의 시상식인 만큼 투표 없이 수비율로 수상자를 결정하였으나, 1984년부터는 베스트 10의 시상과 통합되면서 수비는 물론 공격 능력과 인지도까지 아울러서 평가하는 상으로 바뀌며 1984년부터는 지명 타자 부문도 신설되었다. 1985년까지는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부문을 분리해 시상했었지만 1986년부터는 외야수 부문으로 통합되어 시상되었다. 시즌에 활동했던 선수들 중 골든글러브 수상 자격이 되는 기록을 보유한 선수들이 먼저 후보자 명단에 오르고, 최종 수상자는 시상식 당일 프로 야구 기자단과 방송 관계자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수상자 명단

연도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외야수 지명 타자
1982 황태환
(OB)
김용운
(MBC)
김용달
(MBC)
차영화
(해태)
김용희
(롯데)
오대석
(삼성)
김성관
(롯데)
양승관
(삼미)
김준환
(해태)
-
1983 장명부
(삼미)
이만수
(삼성)
신경식
(OB)
정구선
(삼미)
김용희
(롯데)
김재박
(MBC)
김종모
(해태)
박종훈
(OB)
장효조
(삼성)
-
1984 최동원
(롯데)
이만수
(삼성)
김용철
(롯데)
정구선
(삼미)
이광은
(MBC)
김재박
(MBC)
김종모
(해태)
홍문종
(롯데)
장효조
(삼성)
양세종
(OB)
1985 김시진
(삼성)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정구선
(청보)
이순철
(해태)
김재박
(MBC)
이광은
(MBC)
박종훈
(OB)
장효조
(삼성)
김용희
(롯데)
1986 선동열
(해태)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김재박
(MBC)
이광은
(MBC)
김종모
(해태)
장효조
(삼성)
김봉연
(해태)
1987 김시진
(삼성)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류중일
(삼성)
이광은
(MBC)
김종모
(해태)
장효조
(삼성)
유승안
(빙그레)
1988 선동열
(해태)
장채근
(해태)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장종훈
(빙그레)
이순철
(해태)
이강돈
(빙그레)
이정훈
(빙그레)
김용철
(롯데)
1989 선동열
(해태)
유승안
(빙그레)
김성한
(해태)
강기웅
(삼성)
한대화
(해태)
김재박
(MBC)
김일권
(태평양)
이강돈
(빙그레)
고원부
(빙그레)
박철우
(해태)
1990 선동열
(해태)
김동수
(LG)
김상훈
(LG)
강기웅
(삼성)
한대화
(해태)
장종훈
(빙그레)
이정훈
(빙그레)
이강돈
(빙그레)
이호성
(해태)
박승호
(삼성)
1991 선동열
(해태)
장채근
(해태)
김성한
(해태)
박정태
(롯데)
한대화
(해태)
류중일
(삼성)
이순철
(해태)
이정훈
(빙그레)
이호성
(해태)
장종훈
(빙그레)
1992 염종석
(롯데)
장채근
(해태)
장종훈
(빙그레)
박정태
(롯데)
송구홍
(LG)
박계원
(롯데)
이순철
(해태)
이정훈
(빙그레)
김응국
(롯데)
김기태
(쌍방울)
1993 선동열
(해태)
김동수
(LG)
김성래
(삼성)
강기웅
(삼성)
한대화
(LG)
이종범
(해태)
이순철
(해태)
김광림
(OB)
전준호
(롯데)
김기태
(쌍방울)
1994 정명원
(태평양)
김동수
(LG)
서용빈
(LG)
박종호
(LG)
한대화
(LG)
이종범
(해태)
윤덕규
(태평양)
박노준
(쌍방울)
김재현
(LG)
김기태
(쌍방울)
1995 이상훈
(LG)
김동수
(LG)
장종훈
(한화)
이명수
(OB)
홍현우
(해태)
김민호
(OB)
김광림
(쌍방울)
김상호
(OB)
전준호
(롯데)
김형석
(OB)
1996 구대성
(한화)
박경완
(쌍방울)
김경기
(현대)
박정태
(롯데)
홍현우
(해태)
이종범
(해태)
김응국
(롯데)
양준혁
(삼성)
박재홍
(현대)
박재용
(해태)
1997 이대진
(해태)
김동수
(LG)
이승엽
(삼성)
최태원
(쌍방울)
홍현우
(해태)
이종범
(해태)
이병규
(LG)
양준혁
(삼성)
박재홍
(현대)
박재용
(해태)
1998 정민태
(현대)
박경완
(현대)
이승엽
(삼성)
박정태
(롯데)
김한수
(삼성)
유지현
(LG)
전준호
(현대)
박재홍
(현대)
김재현
(LG)
양준혁
(삼성)
1999 정민태
(현대)
김동수
(삼성)[1]
이승엽
(삼성)
박정태
(롯데)
김한수
(삼성)
유지현
(LG)
정수근
(두산)
이병규
(LG)
호세
(롯데)
로마이어
(한화)
2000 임선동
(현대)
박경완
(현대)
이승엽
(삼성)
박종호
(현대)
김동주
(두산)
박진만
(현대)
박재홍
(현대)
송지만
(한화)
이병규
(LG)
우즈
(두산)
2001 신윤호
(LG)
홍성흔
(두산)
이승엽
(삼성)
안경현
(두산)
김한수
(삼성)
박진만
(현대)
이병규
(LG)
정수근
(두산)
심재학
(두산)
양준혁
(LG)
2002 송진우
(한화)
진갑용
(삼성)
이승엽
(삼성)
김종국
(KIA)
김한수
(삼성)
브리또
(삼성)
송지만
(한화)
이종범
(KIA)
심정수
(현대)
마해영
(삼성)
2003 정민태
(현대)
김동수
(현대)
이승엽
(삼성)
안경현
(두산)
김한수
(삼성)
홍세완
(KIA)
심정수
(현대)
이종범
(KIA)
양준혁
(삼성)
김동주
(두산)
2004 배영수
(삼성)
홍성흔
(두산)
양준혁
(삼성)
박종호
(삼성)
김한수
(삼성)
박진만
(삼성)[2]
브룸바
(현대)
이진영
(SK)
박한이
(삼성)
김기태
(SK)
2005 손민한
(롯데)
진갑용
(삼성)
김태균
(한화)
안경현
(두산)
이범호
(한화)
손시헌
(두산)
이병규
(LG)
서튼
(현대)
데이비스
(한화)
김재현
(SK)
2006 류현진
(한화)
진갑용
(삼성)
이대호
(롯데)
정근우
(SK)
이범호
(한화)
박진만
(삼성)
이용규
(KIA)
이택근
(현대)
박한이
(삼성)
양준혁
(삼성)
2007 리오스
(두산)
박경완
(SK)
이대호
(롯데)
고영민
(두산)
김동주
(두산)
박진만
(삼성)
이종욱
(두산)
심정수
(삼성)
이대형
(LG)
양준혁
(삼성)
2008 김광현
(SK)
강민호
(롯데)
김태균
(한화)
조성환
(롯데)
김동주
(두산)
박기혁
(롯데)
김현수
(두산)
가르시아
(롯데)
이종욱
(두산)
홍성흔
(롯데)[3]
2009 로페즈
(KIA)
김상훈
(KIA)
최희섭
(KIA)
정근우
(SK)
김상현
(KIA)
손시헌
(두산)
김현수
(두산)
박용택
(LG)
이택근
(히어로즈)
홍성흔
(롯데)
2010 류현진
(한화)
조인성
(LG)
최준석
(두산)
조성환
(롯데)
이대호
(롯데)
강정호
(넥센)
김현수
(두산)
김강민
(SK)
이종욱
(두산)
홍성흔
(롯데)
2011 윤석민
(KIA)
강민호
(롯데)
이대호
(롯데)
안치홍
(KIA)
최정
(SK)
이대수
(한화)
최형우
(삼성)
이용규
(KIA)
손아섭
(롯데)
홍성흔
(롯데)
2012 장원삼
(삼성)
강민호
(롯데)
박병호
(넥센)
서건창
(넥센)
최정
(SK)
강정호
(넥센)
손아섭
(롯데)
이용규
(KIA)
박용택
(LG)
이승엽
(삼성)
2013 손승락
(넥센)
강민호
(롯데)
박병호
(넥센)
정근우
(한화)[4]
최정
(SK)
강정호
(넥센)
손아섭
(롯데)
최형우
(삼성)
박용택
(LG)
이병규
(LG)
2014 밴 헤켄
(넥센)
양의지
(두산)
박병호
(넥센)
서건창
(넥센)
박석민
(삼성)
강정호
(넥센)
손아섭
(롯데)
나성범
(NC)
최형우
(삼성)
이승엽
(삼성)
2015 해커
(NC)
양의지
(두산)
테임즈
(NC)
나바로
(삼성)
박석민
(NC)[5]
김재호
(두산)
김현수
(두산)
유한준
(KT)[6]
나성범
(NC)
이승엽
(삼성)
2016 니퍼트
(두산)
양의지
(두산)
테임즈
(NC)
서건창
(넥센)
최정
(SK)
김재호
(두산)
김재환
(두산)
최형우
(KIA)[7]
김주찬
(KIA)
김태균
(한화)
2017 양현종
(KIA)
강민호
(삼성)[8]
이대호
(롯데)
안치홍
(KIA)
최정
(SK)
김선빈
(KIA)
손아섭
(롯데)
최형우
(KIA)
버나디나
(KIA)
박용택
(LG)
2018 린드블럼
(두산)
양의지
(두산)
박병호
(넥센)
안치홍
(KIA)
허경민
(두산)
김하성
(넥센)
김재환
(두산)
전준우
(롯데)
이정후
(넥센)
이대호
(롯데)

각종 기록

주요 기록

# 내용' 기타
부문별 한 부문의 개인 최다 연속 수상 7년 연속 수상
개인 통산 최다 수상 10개
  • 이승엽 (1루수 부문<1997~2003년> 7회, 지명타자<2012, 2014, 2015년> 3회)
최다 부문 개인 수상 3개 부문 수상
  • 양준혁 (지명타자 4회, 외야수 3회, 1루수 1회)
  • 장종훈 (1루수 2회, 유격수 2회, 지명타자 1회)
  • 이대호 (1루수 3회, 3루수 1회, 지명타자 1회)
한국시리즈 관련 한국시리즈 우승 팀 최다 수상 6개 부문 수상 : 해태 타이거즈 (1991년)
한국시리즈 우승 팀 최소 수상 : 수상자 없음 : SK 와이번스 : (2018년)

1개 부문 수상

OB 베어스 (1982년), 해태 타이거즈 (1983년), 한화 이글스 (1999년)
현대 유니콘스 (2004년), 삼성 라이온즈 (2005년, 2011년, 2013년), SK 와이번스 (2007년, 2008년, 2010년)
한국시리즈 준우승 팀 최소 수상 수상자 없음 : LG 트윈스 (2002년), SK 와이번스 (2003년), 삼성 라이온즈 (2010년), 두산 베어스 (2013년, 2017년)
역대 최다 수상팀 67개 골든글러브 수상자 배출  : KIA 타이거스, 삼성 라이온즈
한 시즌 최다 수상팀 6개 부문 수상  : 해태 타이거즈 (1991년)
나이 관련 최고령 수상자 39세 3개월 20 : 이승엽 (2015년)
최연소 수상자 : 19세 2개월 9일 : 김재현 (1994년)
득표 관련 최다 득표 수상자 350표 득표 : 이종욱 (2007년, 총 397표, 득표율 88.2%)
최다 득표율 수상자 99.26% : 마해영 (2002년, 총 272표 중 270표 득표)
최소 표차 수상자 2표차 : 정구선 (1983년 2루수 부문, 29표 득표, 2위:김인식, 27표 득표)
     김동수 (1994년 포수 부문, 101표 득표, 2위:김동기, 99표 득표)
     양준혁 (2001년 지명타자 부문, 104표 득표, 2위:호세, 102표 득표)
     조인성 (2010년 포수 부문, 167표 득표, 2위:박경완, 165표 득표)
최다 득표 탈락자 189표 : 이택근 (2007년 외야수 부문, 총 397표, 3위 수상자는 이대형 : 208표 득표)
고졸 신인 수상자 염종석 (1992년), 김재현 (1994년), 류현진 (2006년)

같이 보기

각주

  1. 1999년 시즌을 LG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
  2. 2004년 시즌을 현대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
  3. 2008년 시즌을 두산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롯데에 입단 후 수상
  4. 2013년 시즌을 SK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한화에 입단 후 수상
  5. 2015년 시즌을 삼성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NC에 입단 후 수상
  6. 2015년 시즌을 넥센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KT에 입단 후 수상
  7. 2016년 시즌을 삼성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KIA에 입단 후 수상
  8. 2017년 시즌을 롯데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