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포스트시즌
KBO 포스트시즌(KBO Post Season)은 KBO 리그 정규시즌이 끝난 뒤 리그 상위 팀을 1승 어드벤티지 적용, 그 승자와 정규시즌 3위 팀이 3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 그 승자와 정규시즌 2위 팀이 한국 시국시리즈를 치르게 된다.
본 명칭은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랜드 아이덴디티 통합 작업에 2015시즌부터 "체크안함 매직넘버"라는 새로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대회 역사[편집]
포스트시즌 진출 팀 중 진하게 표시된 팀은 해당 시즌 우승 팀이다.
통산 포스트시즌 출전[편집]
순위 | 팀 | 출전횟수 |
---|---|---|
1 | 삼성 라이온즈 | 28 |
2 | 두산 베어스 | 23 |
3 | KIA 타이거즈 | 21 |
4 | LG 트윈스 | 14 |
5 | 한화 이글스 | 13 |
6 | 롯데 자이언츠 | 12 |
SK 와이번스 | ||
8 | 현대 유니콘스 | 10 |
9 | 키움 히어로즈 | 7 |
10 | NC 다이노스 | 6 |
11 | 쌍방울 레이더스 | 2 |
12 | KT 위즈 | 1 |
포스트시즌 13회 이상[편집]



- 2008년 9월 3일에 한화 이글스-두산 베어스 경기가 18회말까지 가서 무박 2일까지 간 계기로 이후, 12회말까지 팽팽히 비긴다고 해도 무조건 무승부로 결정짓기로 했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서는 승부를 결정짓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13회로 넘어가야 했으며, 실제로 2013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부터 시작되었다. 다만, 포스트시즌의 경우 15회말까지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무승부로 끝난다. 그런데 사실 이것도 2013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이 처음은 아니었다.
- 두산 베어스는 과거 OB 베어스 시절 때에 1982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삼성 라이온즈와 1차전을 벌일 때에 15회말까지 3:3으로 팽팽히 가는 끝에 승부를 이루어내지 못하고 비긴 사례가 있었다.
- 1983년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도 해태 타이거즈와 MBC 청룡 경기에서도 1:1로 15회말까지 갔는데 승부가 나지 않아 그대로 무승부로 끝나야 했다[2].
- 그리고, 2006년 한국시리즈에서도 한화 이글스vs삼성 라이온즈 5차전에서도 끝까지 1:1로 비기면서 15회말까지 갔는데도 승부가 나지 않아 비긴 사례가 있었다[3].
결과 | |
---|---|
무승부 |
일자 | 맞대결 팀 | 장소 | 끝난 횟수 |
---|---|---|---|
2013년 10월 11일 | 넥센 히어로즈 vs 두산 베어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4회말 |
2013년 10월 14일 | 목동야구장 | 13회말 | |
2018년 11월 12일 | SK 와이번스 vs 두산 베어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
2020년 11월 2일 | 키움 히어로즈 vs LG 트윈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3회말 |
과거의 한국시리즈 무승부[편집]
일자 | 맞대결 팀 | 결과 | 끝난 횟수 | 장소 |
---|---|---|---|---|
1982년 10월 5일 | 삼성 라이온스 vs OB 베어스 | 3 : 3 | 15회말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
1983년 10월 19일 | 해태 타이거즈 vs MBC 청룡 | 1 : 1 | 15회말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2006년 10월 11일 | 한화 이글스 vs 삼성 라이온스 | 1 : 1 | 15회말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경우의 수가 나온 포스트시즌[편집]
2014년[편집]
2014년 10월 16일에 SK 와이번스가 두산 베어스를 힘겹게 승리하는 덕에, SK 와이번스는 최종전까지 포스트시즌 진출에 희망이 생겼다. 그건, 10월 17일에 SK 와이번스가 무조건 넥센 히어로즈를 잡는다는 전제하에 같은 시간에 열리는 LG 트윈스-롯데 자이언츠 경기를 지켜봐야 한다는 뜻이다. 결국, 2014년 때부터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진출이 확실하게 결정되지는 않았다.
최종전을 앞두고 SK 와이번스는 61승 2무 64패, LG 트윈스는 62승 2무 63패 이런 결과였다. 경우의 수는 이렇다.
- SK 와이번스가 무조건 최종전에서 넥센 히어로즈를 승리하지 못하면 LG 트윈스는 최종 결과 상관없이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고, SK 와이번스는 탈락한다.
- SK 와이번스가 최종전에서 넥센 히어로즈를 이길 시, 같은 시간 LG 트윈스도 롯데 자이언츠를 물리칠 경우 승점에서 LG 트윈스가 SK 와이번스보다 앞서기 때문에 탈락한다.
- SK 와이번스가 최종전에서 넥센 히어로즈를 이기고, 같은 시간 LG 트윈스가 반대로 롯데 자이언츠에게 지면 승점에서 LG 트윈스-SK 와이번스 승점이 같아지는데 상대전적 즉 승자승원칙에서 10승 6패로 SK 와이번스가 앞서기 때문에 이럴 경우, 유일하게 SK 와이번스가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수 있다.
실제 결과[편집]
날짜 | 최종 결과 | 장소 | 승점 | 결과 |
---|---|---|---|---|
2014년 10월 17일 | SK 와이번스 2:7 넥센 히어로즈 | 목동야구장 | 61승 2무 65패 | 탈락 |
2014년 10월 17일 | LG 트윈스 5:8 롯데 자이언츠 | 사직야구장 | 62승 2무 64패 | 2014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진출. |
- 그런데 실제로 최종전 목동야구장에서 넥센 히어로즈가 강정호의 40홈런과 서건창의 200안타 등 외에도 유한준과 로티노의 홈런과 안타 등의 여러가지 넥센 히어로즈가 득점 결과가 나오는 바람에 SK 와이번스는 시작부터 끝까지 넥센 히어로즈에게 뒤쳐져 역전도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패했다. 경기는 목동야구장이 사직야구장보다 더 일찍 끝났다.
- 한편, LG 자이언츠를 압도했지만, 시간에 지날수록 롯데 와이번스가 일찍이 넥센 트윈스가 2014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2020년에 나온 복잡한 경우의 수[편집]
2020년 10월 29일까지 2위 KT 위즈, 3위 LG 트윈스, 4위 키움 히어로즈, 5위 두산 베어스의 최종 순위가 가려지지 않았다. 10월 30일 마지막 경기는 키움 히어로즈-두산 베어스, LG 트윈스-SK 와이번스, KT 위즈-한화 이글스 경기를 치른다.
문제는 경우의 수가 좀 복잡해진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이유는 3팀 모두가 10월 30일의 최종 결과에 따라서 순위가 출렁거리기 때문이다. 최종 결과에 따라서 2020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의 순위가 결정된다.
10월 29일까지 야구 경기 결과[편집]
순위 | 팀명 | 승점 | 10월 30일 펼칠 상대 | 10월 30일에 펼칠 장소 |
---|---|---|---|---|
2위 | KT 위즈 | 81승 1무 61패 | KT 위즈 VS 한화 이글스 | 대전야구장 |
3위 | LG 트윈스 | 79승 4무 60패 | LG 트윈스 VS SK 와이번스 | 문학야구장 |
4위 | 키움 히어로즈 | 80승 1무 62패 | 키움 히어로즈 VS 두산 베어스 | 잠실야구장 |
5위 | 두산 베어스 | 79승 4무 60패 |
- 먼저 4위 키움 히어로즈와 5위 두산 베어스의 경우 10월 30일 마지막 경기에서 키움 히어로즈가 이기면 최소 키움 히어로즈가 4위가 되고, 반대로 두산 베어스가 승리하면 두산 베어스가 최소 4위가 된다. 일단 다른 경기 관계없이 최소 2020년 가을 야구 확정은 된다.
- 그런데 키움 히어로즈가 승리하고, LG 트윈스-SK 와이번스 경기에서 SK 와이번스가 이기고, KT 위즈-한화 이글스 경기에서도 한화 이글스가 이길 시 최대 2위도 가능하다. 만약에 LG 트윈스나 KT 위즈 중 한 팀만 패할 경우 키움 히어로즈는 3위가 된다.
- 반대로 두산 베어스가 승리하고, 다른 경기 LG 트윈스-SK 와이번스 경기에서 SK 와이번스가 승리할 경우 4위가 아닌 3위까지 올라갈 수 있다. 이유는 두산 베어스와 LG 트윈스의 성적은 승률과 게임차는 같아도 승자승원칙에서 두산 베어스가 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나, KT 위즈는 10월 30일에 한화 이글스에게 패하더라도 10월 29일에 미리 KT 위즈가 대승을 거두는 바람에 두산 베어스가 최종전에 승리하더라도 2위까지 올라가기에는 전혀 불가능하다.
- 그리고, 2위 KT 위즈가 한화 이글스를 무조건 이기면 키움 히어로즈와 LG 트윈스 경기 결과 상관없이 2위를 지키게 된다.
- 3위 LG 트윈스의 경우는 최종전에서 무조건 지면 4위로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유는 같은 시간에 최종전 키움 히어로즈-두산 베어스 중 거의 승자가 나기 마련이다. 그래서 LG 트윈스는 3위를 최소 유지하려면 최종전에서 비겨야 한다.
- LG 트윈스가 SK 와이번스를 12회말까지 계속 무승부를 유지할 경우 키움 히어로즈-두산 베어스 승패 상관없이 일단 4위로 떨어지는 일은 모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12회말까지 힘들게 무승부로 계속 유지해가면서 버터야 하므로 너무나 불안하다.
- LG 트윈스가 최종전에서 SK 와이번스를 이기고, 같은 시간에 KT 위즈가 한화 이글스를 물리치면, 사실상 이럴 경우 LG 트윈스는 승리하나, 비기나 3위를 유지하는 건 마찬가지이다.
- LG 트윈스가 최종전에서 SK 와이번스를 이기고, 같은 시간에 한화 이글스가 KT 위즈를 물리친다면 LG 트윈스가 2위로 올라간다.
- 거의 드물지만, LG 트윈스가 최종전에서 SK 와이번스에게 지고, 같은 시간에 키움 히어로즈-두산 베어스가 서로 무승부를 거둘 시에는 LG 트윈스가 운좋게 3위를 유지할 수도 있다.
10월 30일 실제 결과[편집]
- 키움 히어로즈-두산 베어스의 잠실야구장에서 1회말과 2회말에 일찍 두산 베어스가 1점씩 올려 2:0으로 앞서갔고, 이 득점을 끝까지 두산 베어스가 지켜내어 두산 베어스는 이 승리로 인해 우선 최소 4위 자리를 차지하여 일단 2020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진출에 무조건 성공하였다. 반대로, 키움 히어로즈는 5위로 밀려 와일드카드 경기를 치러야 했다.
- 한편, KT 위즈는 LG 트윈스처럼 1회에 한화 이글스에게 먼저 1점 앞섰다. 그런데 5회말에 한화 이글스에게 무려 4점을 내주고 말았다. 그런데, 대전야구장에서도 잠실야구장에서 키움 히어로즈가 패했다는 소식이 제일 일찍 전해졌고, 이후 문학야구장에서 LG 트윈스까지도 SK 와이번스에게 패하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로 인해 KT 위즈는 사실상 최종전 경기 상관없이 운좋게 2위를 유지했다. 그리고, KT 위즈는 이후 1점씩 차근차근 따라붙었지만, 3대4로 한화 이글스에게 패하여 역전에는 실패했다[4].
최종 결과[편집]
순위 | 팀명 | 승점 | 최종 결과 | 승패 결과 |
---|---|---|---|---|
2위 | KT 위즈 | 81승 1무 62패 | KT 위즈 1:4 한화 이글스 | 패배 |
3위 | 두산 베어스 | 79승 4무 61패 | 두산 베어스 2:0 키움 히어로즈 | 승리 |
4위 | LG 트윈스 | 79승 4무 61패 | LG 트윈스 2:3 SK 와이번스 | 패배 |
5위 | 키움 히어로즈 | 80승 1무 63패 | 키움 히어로즈 0:2 두산 베어스 | 패배 |
- 일단 KT 위즈는 비록 최종전에서 패했지만 키움 히어로즈와 LG 트윈스 모두 패하는 바람에 2위 유지는 그대로 되었다.
- 두산 베어스는 키움 히어로즈를 물리치고, 같은 시간에 SK 와이번스가 LG 트윈스를 이기는 덕에 3위까지 올라갔다.
- LG 트윈스는 SK 와이번스를 이기면 무조건 2위 희망을 노릴 수도 있었는데 반대로 지는 바람에 4위까지 떨어졌다.
- 키움 히어로즈는 일단 두산 베어스부터 이겨야 최소 4위를 지킬 수 있었으나, 맞대결 두산 베어스에게 지는 바람에 5위로 밀렸다. 그래서, 키움 히어로즈는 4위 LG 트윈스와 와일드카드 경기를 치러야 했다.
방송[편집]
연도 | 방송 채널 (생중계) |
비고 |
---|---|---|
1986년 ~ 1995년 1997년, 2000년 2003년 ~ 2005년 |
KBS 1TV | [5][6] |
1988년 ~ 1989년 1993년 / 1995년 ~ 현재 |
KBS 2TV | [7] |
1982년 ~ 2000년 2005년 ~ 현재 |
MBC TV | [8] |
1992년 ~ 현재 | SBS TV | [9]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종합승률 1위팀이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고, 종합승률 1위팀이 전기리그와 후기리즈중 하나를 우승했을 때는 다른 기 리그의 승률 1위팀과 종합 승률 2위팀이 플레이오프를 가진 뒤 (같은 경우는 한국시리즈 직행) 승리 팀과 종합 1위팀이 한국시리즈를 , 종합승률 1위팀이 전후기리그의 우승팀과 다 다른 경우는 전기리그와 후기리그의 우승팀간에 플레이오프를 갖고, 승리팀과 종합1위팀이 한국시리즈를, 전기리그 우승팀과 후기리그 우승팀이 같은 경우는 그 팀이 종합승률 1위팀이므로, 우승팀이 되며 한국시리즈는 거행하지 않음
- ↑ staiz 2018.3.27
- ↑ 2006년 한국시리즈 삼성 라이온즈 vs 한화 이글스 1~6차전 H/L 2016.10.21
- ↑ kt 2위 확보 2020.10.30
- ↑ 1994년 10월 이후부터 상업 광고를 하지 않는다.
- ↑ 2006년 이후부터 KBS 1TV에서 중계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 ↑ 1995년 이후부터 상업 광고를 다시 시작하였다.
- ↑ 2001년부터 2004년까지 MBC TV 중계하지 않았다.
- ↑ 1994년 이전에 수도권 전역을 볼 수 있으나, 지방 이외에 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