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6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은 1986년 10월 11일부터 10월 17일까지 삼성 라이온즈와 OB 베어스의 플레이오프 5경기로 치러졌고, 삼성이 3승 2패로 승리, 한국시리즈에 올랐다.
플레이오프 신설 [ 편집 ]
1982년 부터 시행된 전후기 리그제는 유지되었으나, 1985년 삼성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그해 한국시리즈가 무산되자, 프로야구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시리즈가 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져, KBO는 만약 한 팀이 전후기 통합우승을 하면, 전기 2위와 후기 2위가 플레이오프를 치러 전후기 통합우승 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게끔 포스트 시즌 운영 방침을 변경하였다.
변경된 규정에 의하면, 전후기 모두 2위 안에 들면 한국시리즈에 직행하고, 단 한 번만 2위 안에 들면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 그 결과 두 번 모두 2위를 한 해태는 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고, 전기에만 1위를 하고 후기에는 4위에 그친 삼성과 전기에는 5위에 그쳤지만 후기에 1위를 한 OB는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대진표 [ 편집 ]
경기 결과 [ 편집 ]
1차전 [ 편집 ]
10월 11일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OB 베어스
0
0
0
0
0
0
0
0
0
0
4
1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1
0
0
0
0
0
0
0
X
1
6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김일융 패전 투수 : 박노준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
2차전 [ 편집 ]
10월 12일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OB 베어스
1
0
1
0
3
0
0
0
0
5
11
1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1
0
0
0
2
0
0
0
0
3
10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장호연 패전 투수 : 권영호 세이브 : 최일언 홀드 : {{{홀드투수}}}홈런 : OB – 이종도 (5회 투런)
3차전 [ 편집 ]
10월 1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0
0
0
0
0
8
1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0
1
0
0
0
0
1
0
X
2
5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최일언 패전 투수 : 김시진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 편집 ]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1
0
0
0
0
0
0
1
2
8
2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1
0
0
0
0
0
0
0
0
1
5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김일융 패전 투수 : 장호연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
5차전 [ 편집 ]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1
0
0
2
1
0
2
0
1
7
13
0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0
2
0
0
1
0
0
0
0
3
6
2
{{{홈팀볼넷}}}
승리 투수 : 권영호 패전 투수 : 박노준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삼성 – 이해창 (4회 솔로), 장효조 (7회 솔로)
한국시리즈 [ 편집 ]
1승 2패로 뒤진 상태에서 3승 2패로 승부를 뒤집은 삼성은 한국시리즈에서 해태 타이거즈와 처음으로 맞붙었다.
그러나, 3차전 종료 후 해태의 구단 버스가 전소되는 초유의 사태까지 빚어졌을 정도로 신경전을 벌였지만 1승 4패로 준우승에 머무르고 말았다.
같이 보기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