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믿음 또는 (信, 산스크리트어: śraddhā 스라다, 사라태 捨攞馱, 팔리어: saddhā, 영어: faith)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산스크리트어 śraddhā팔리어 saddhā에 해당하는 (信)의 기본적인 뜻은 믿음이지만, 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그 정의가 단순히 '믿는 것'은 아니다.[1]

부파불교설일체유부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믿음은 마음이 청정한 것이다. 즉, 청정(清淨, 산스크리트어: śuddha, 팔리어: suddha, 영어: purity)은 믿음의 다른 말이다.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믿음은 (業: 복등3업· (果: 4과· 진리[諦: 4성제· 보배[寶: 3보]와 지극하게 서로 계합하고 따르는 상태[極相符順]를 말한다. 또는 이러한 계합의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청정한 마음 혹은 이러한 계합의 상태가 일어나고 있을 때의 바로 그 청정한 마음을 말한다.[2][3][4][5] 그리고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이러한 의미에서의 청정한 마음 또는 맑은 마음믿음심정(心淨: 마음이 맑음, 마음이 깨끗함, 마음이 청정함) 또는 심징정(心澄淨: 마음이 맑고 깨끗함)이라 한다.[2][3][6][7]

또한, 《아비달마장현종론·대승아비달마집론·대승광오온론》 등에 따르면, 믿음[信]은 선업(善業) · (果) · 진리[諦] · 보배[寶]와 지극하게 서로 계합하고 따르는 상태[極相符順], 즉 청정의 상태를 희구(希求)하는 것 즉 바라고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하기 때문에 믿음[信]은 (欲: 희망, 욕구)의 마음작용소의(所依) 즉 의지처 또는 발동근거가 되는 것을 그 본질적 작용[業]으로 한다.[4][5][8][9][10][11]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믿는다는 것 즉 청정하다는 것은 아무런 욕구가 없는 상태가 아니라 선욕(善欲: 선한 욕구)과 낙욕(樂欲: 기꺼이 구하는 욕구, 즐거이 구하는 욕구)이 오히려 더욱 지극해지는 상태라는 점이다.

부파불교대승불교믿음[信]에 대한 정의와 설명들에서 공통되는 다른 사항은, 믿음은 모든 (善)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항상 함께 일어나는 마음작용(심소법)이며,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며, 열반에 이르는 길로서의 불법(佛法)의 대해(大海)로 들어가는 첫걸음이 되는 마음작용이라는 것이다.[12]

부파불교[편집]

(信, 산스크리트어: śraddhā, 팔리어: saddhā)은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2][13]

세친은 《구사론》에서 신(信)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頌曰。


 信及不放逸  輕安捨慚愧
 二根及不害  勤唯遍善心

論曰。如是諸法唯遍善心。此中信者。 令心澄淨。有說。 於諦實業果中現前忍許故名為信。

 (信)과, 그리고 불방일(不放逸)과
 경안(輕安) · (捨) · (慚) · (愧)와
 두 가지의 (根)과, 그리고 불해(不害)와
 (勤)은 오로지 선심(善心)에만 두루하는 것이다.

논하여 말하겠다. 이와 같은 제법은 오로지 선심(善心)에만 두루 존재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신(信)이란 마음으로 하여금 징정(澄淨)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어떤 이는 설하기를, "4성제[諦: 四聖諦]나 3보[實: 三寶], (業)과 그 과보[果]에 대해 현전에서 인가하고 허락[忍許, 즉 확신]하기 때문에 그것을 일컬어 '신(信)'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 《구사론》 제4권. 한문본한글본

위의 세친의 설명, 즉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신(信)에는 다음의 4가지 측면이 있다.[1][14]

  1. 신(信)은 선심(善心: 선한 마음)에만 두루 존재하는 마음작용(심소법)이다. 즉,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에 속하는 마음작용(심소법)이다.
  2. 신(信)은 대선지법(大善地法)에 속하는 마음작용(심소법) 10가지들 중 가장 먼저 꼽는다.
  3. 신(信)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청정(淸淨)하게 하는 마음작용(심소법), 즉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澄淨] 마음작용(심소법)이다.
  4. 신(信)이라는 마음작용(심소법)의 대상, 즉 믿음의 대상은 4성제(四聖諦)와 3보(三寶)와 선인선과(善因善果) · 악인악과(惡因惡果) · 선인낙과(善因樂果) · 악인고과(惡人苦果)의 인과법칙이다.

대승불교[편집]

참고 문헌[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대승광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9(17-641), T.1613(31-85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64 / 1397쪽.
  2.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8c21 - T31n1612_p0848c22. 신(信)
    "云何為信。謂於業果諸諦寶中。極正符順心淨為性。"
  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3 / 12. 신(信)
    "어떤 것이 신(信)인가. 업(業)과 과(果), 모든 진리[諦]와 보배[寶] 등에 대해 지극히 바르게 부합하여 마음이 청정함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4.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신(信)
    "云何信。謂於業果諸諦寶等。深正符順。心淨為性。於業者。謂福。非福。不動業。於果者。謂須陀洹。斯陀含。阿那含。阿羅漢果。於諦者。謂苦集滅道諦。於寶者。謂佛法僧寶。於如是業果等。極相符順。亦名清淨。及希求義。與欲所依為業。"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T.1613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3_p0852a10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신(信)"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7 / 24. 신(信)
    "무엇을 믿음[信]이라고 하는가?
    업 · 과보 · 모든 진리[諦] · 보배 등에 대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청정함을 성질로 삼는다. 업에 대하여 복(福) · 복이 아님(非福) · 부동업(不動業)을 말한다. 과보에 대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과보를 말한다. 진리에 대하여 괴로움의 진리[苦諦] · 집착의 진리[集諦] · 집착을 없애는 진리[滅諦] ·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道諦]이다. 보배에 대하여 불보(佛寶) · 법보(法寶) · 승보(僧寶)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업 · 과보 등에 대하여 지극히 맞게 따르는 것을 청정(淸淨)이라고 한다. 간절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K.619, T.1613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2startNum7 7 / 24]. 신(信)"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a19 - T26n1542_p0693a20. 신(信)
    "信云何。謂心澄淨性。"
  7.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5 / 448. 신(信)
    "신(信)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맑고 깨끗한 성품[澄淨性]이다."
  8. 황욱 1999, 54. 신(信)심소쪽
    "‘信’은 有體와 有德과 有能에 대하여 淨心으로 忍可하는 것으로써 體를 삼고, 不信의 장애를 끊는 것으로써 業을 삼으며, 나아가서는 菩提資糧을 원만하게 함과 自他를 이익되게 함과 善道에 나아감과 淨信을 增長하게 하는 것 등으로써 業을 삼는다. 즉, 五濁의 心心所를 대치하여 청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73) 한편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는 體와 德과 功能에 있어서의 忍可와 淸淨한 희망을 體로 하고, 樂欲에게 의지가 되는 것을 業으로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174)
    173) ‘信’의 性用은 實과 德과 能에 대하여 깊이 忍하고 欲해서 心心所를 청정하게 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그 業用은 不信을 對治하고 善을 願樂하는 작용을 가리킨다. 곧, ‘信’은 實在에 대한 이해와 佛·法·僧 三寶에 대한 동경과 모든 선행을 향한 의욕으로서, 이 信은 마음을 정화하는 작용이 있다.
    174) 《大乘阿毘達磨集論》 1(《大正藏》 31, p. 664中). “何等為信。謂於有體有德有能忍可清淨希望為體。樂欲所依為業。”"
  9.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7b19 - T31n1606_p0697b22. 신(信)심소
    "信者。於有體有德有能忍可清淨希望為體。樂欲所依為業。謂於實有體起忍可行信。於實有德起清淨行信。於實有能起希望行信。謂我有力能得能成。"
  10.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3, 제5권. p. T29n1563_p0799c27 - T29n1563_p0799c28. 신(信)
    "心濁相違現前忍許。無倒因果各別相屬。為欲所依能資勝解。說名為信。"
  11.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7, T.1563, 제5권. p. 202 / 1762. 신(信)
    "마음의 혼탁함[心濁]과 서로 반대되는 것으로서, 전도됨이 없는 인과는 각기 개별적으로 상속(相屬)한다는 사실을 즉각적으로 인가 허락[忍許,즉 확신]하여 욕(欲)의 소의가 되고 능히 승해의 자량이 되는 것을 일컬어 ‘신(信)’이라고 한다.105)
    105) 신(śraddhā)이란 마치 청수주(淸水珠)를 연못에 놓아두면 더러운 물이 깨끗하게 되는 것처럼 마음을 맑게[澄淨]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입아비달마론』 상권, 대정장28,p.982중: 『구사론』 제4권, 앞의 책,p.164) 『구사론』에서 ‘전도됨이 없는 인과에 대한 즉각적인 인가 허락하는 것’이라는 정의는 어떤 이의 설로 전하고 있다. 곧 청정한 의식작용으로 말미암아 4제(諦)와 3보(寶) 그리고 인과의 이치를 바로 믿게 되는 것이다."
  12. 星雲, "". 2012년 9월 26일에 확인.
  13. 운허, "信(신)". 2012년 9월 3일에 확인.
  14. 星雲, "". 2012년 9월 27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