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북대서양 조약 기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NATO"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나토}}
{{번역 확장 필요|en|NATO}}
{{단체 정보
| 이름 = 북대서양 조약 기구<br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br />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
| 로고 = NATO OTAN landscape logo.svg
| 그림 = Flag of NATO.svg
| 크기 = 150px
| 설명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기]]
| 지도 그림 =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orthographic projection).svg
| 지도 그림 설명 =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초록)
| 약칭 = NATO
| 표어 = Animus in consulendo liber<ref>{{웹 인용|url= http://www.nato.int/multi/animus.htm |title= The Official motto of NATO |work= NATO |date= 20 January 2011 |accessdate= 8 August 2013}}</ref>
| 결성 = [[1949년]] [[4월 4일]]
| 유형 = 군사 동맹
| 형태 =
| 목적 =
| 본부 = [[벨기에]] [[브뤼셀]]
| 위치 = [[유럽]] 및 [[아메리카]]
| 활동지역 = [[유럽]], [[아메리카]], [[아프가니스탄]], [[인도양]]
| 회원 = 32개국
| 언어 = [[영어]]<br/>[[프랑스어]]
| 수장명칭 = 사무총장
| 현재수장 = [[옌스 스톨텐베르그]]
| 예산 = 8,669억 7,100만 [[달러]]([[미국]])<Br/>1,036조 303억 4,500만 [[대한민국 원|원]]([[대한민국]])<Br/>6,829억 7,834만 7,715.45 [[파운드]]([[영국]])<Br/>7,614억 71만 9,487.91 [[유로]]([[유럽 연합]])<Br/>92조 6,574억 1,416만 4,721.45 [[엔]]([[일본]])<Br/>6억 1,227만 4,892.15 [[위안]]([[중국]])<Br/>2경 1,949조 7,954억 4,491만 5,250 [[베트남 동|동]]([[베트남]])<ref>{{웹 인용|url= http://www.nato.int/nato_static_fl2014/assets/pdf/pdf_2016_07/20160704_160704-pr2016-116.pdf |title=Defense Expenditures of NATO Countries (2009–2016) |p=4 |work= NATO |date= 4 July 2016 |accessdate= 25 October 2016}}</ref>
| 웹사이트 = [http://www.nato.int/ nato.int]
| 기타사항 =
}}


{{단체 정보|name=북대서양 조약 기구|native_name=''{{lang|fr|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logo=NATO OTAN landscape logo.svg|logo_size=150px|logo_caption=로고|image=NATO flag.svg{{!}}border|image_size=125px|caption=[[나토의 기|기]]|map=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orthographic projection).svg|msize=250px|mcaption=나토 회원국은 초록색으로 명시되어 있다|abbreviation=NATO, ''{{lang|fr|OTAN}}''|formation={{Start date and age|1949|4|4|df=y|p=y}}|type=[[군사 동맹]]|headquarters=[[브뤼셀]], [[벨기에]]|expenses={{USD|1조 3600억|link=yes}}<ref>{{cite web|url=https://www.nato.int/nato_static_fl2014/assets/pdf/pdf_2019_06/20190625_pr2019-069-en.pdf|title=Defence Expenditure of NATO Countries (2010–2019)|website=Nato.int|access-date=10 July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030111707/https://www.nato.int/nato_static_fl2014/assets/pdf/pdf_2019_06/20190625_pr2019-069-en.pdf|archive-date=30 October 2018|url-status=live}}</ref>|expenses_year=2019년|membership={{Collapsible list|titlestyle = background:transparent;text-align:left;font-weight:normal;
'''북대서양 조약 기구'''(北大西洋條約機構, {{llang|en|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노스애틀랜틱 트리티 오거니제이션}}, {{llang|fr|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오르가니자시옹 뒤 트레테 드 라틀랑티크노르}}) 또는 '''나토'''({{llang|en|NATO|나토}}), '''오탕'''({{llang|fr|OTAN|오탕}})은 군사 동맹 조직으로 1949년 4월 4일 체결된 [[북대서양 조약]]에 의해 창설되었다. 이 기구는 회원국이 어떤 비가입국의 공격에 대응하여 상호 방어하는 것을 인정했기 때문에 '''집단 군사 동맹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벨기에]]의 [[브뤼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최고사령관 또한 이곳에서 거주하고 있다. 벨기에는 유럽 및 북아메리카의 회원국 중 한 곳이며, 2020년 3월 기준으로 30개국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21개국이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의 회원국이며 15개국이 개별적으로 제도화된 대화 및 회담의 가입국이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의 군사 지출비는 [[군사비 지출에 따른 나라 목록|세계 전체 군사 지출비]]의 70%을 차지한다.<ref name="sipri1">{{웹 인용|url=http://milexdata.sipri.org/ |title=The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publisher=Milexdata.sipri.org |accessdate=22 August 2010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328072123/http://milexdata.sipri.org/ |archivedate=28 March 2010 }}</ref> 회원국의 방어 비용은 [[GDP]]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ref name = "NYT spending">{{뉴스 인용|last = Erlanger |first = Steven |date = 26 March 2014 |title = Europe Begins to Rethink Cuts to Military Spending |url = http://www.nytimes.com/2014/03/27/world/europe/europe-begins-to-rethink-cuts.html |work = [[nytimes.com]] |accessdate = 3 April 2014 |quote = Last year, only a handful of NATO countries met the target, according to NATO figur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t 4.1 percent, and Britain, at 2.4 percent.}}</ref>
|title = [[나토의 회원국|30개국]]
|{{국기|알바니아}}
|{{국기|벨기에}}
|{{국기|불가리아}}
|{{국기|캐나다}}
|{{국기|크로아티아}}
|{{국기|체코}}
|{{국기|덴마크}}
|{{국기|에스토니아}}
|{{국기|프랑스}}
|{{국기|독일}}
|{{국기|그리스}}
|{{국기|헝가리}}
|{{국기|아이슬란드}}
|{{국기|이탈리아}}
|{{국기|라트비아}}
|{{국기|리투아니아}}
|{{국기|룩셈부르크}}
|{{국기|몬테네그로}}
|{{국기|네덜란드}}
|{{국기|북마케도니아}}
|{{국기|노르웨이}}
|{{국기|폴란드}}
|{{국기|포르투갈}}
|{{국기|루마니아}}
|{{국기|슬로바키아}}
|{{국기|슬로베니아}}
|{{국기|스페인}}
|{{국기|튀르키예}}
|{{국기|영국}}
|{{국기|미국}}
}}|language={{plainlist|
* [[영어|영어]]
* [[프랑스어|프랑스어]]
<ref>"[[영어|영어]] and [[프랑스어|프랑스어]] 가 북태평양 조약 기구의 공용어가 되어야 한다". [http://www.nato.int/docu/comm/49-95/c490917a.htm Final Communiqué following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on 17 September 1949]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1206002220/http://www.nato.int/docu/comm/49-95/c490917a.htm|date=6 December 2006}}. "... the English and French texts [of the Treaty] are equally authentic ..." [http://www.nato.int/cps/en/natolive/official_texts_17120.htm The North Atlantic Treaty, Article 14] {{Webarchive |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14102953/http://www.nato.int/cps/en/natolive/official_texts_17120.htm|date=14 September 2011}}</ref>}}|leader_title=[[나토 사무총장|사무총장]]|leader_name=[[옌스 스톨텐베르그]]|leader_title2=[[나토 군사위원회 위원장]]|leader_name2=[[롭 바우어|롭 바우어 해군 중장]], [[네덜란드 왕실 해군]]|leader_title3=[[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leader_name3=[[크리스토퍼 G. 카볼리|크리스토퍼 G. 카볼리 장군]], [[미국 육군]]|leader_title4=[[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leader_name4=[[필립 라빈|필립 라빈 장군]], [[프랑스 항공우주군]]|website={{Official URL}}}}
[[Category:Infoboxes without native name language parameter]]
'''북대서양 조약 기구''' 혹은 '''북대서양 동맹'''('''나토'''/; 영어: '''NATO''' {{IPAc-en|ˈ|n|eɪ|t|oʊ}}; [[프랑스어]]: 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 '''{{Lang|fr|OTAN}}''')은 30개 회원국(유럽 28개국과 북미 2개국) 간의 [[군사 동맹]]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설립된 이 단체는 1949년 4월 4일 [[워싱턴 D.C.]]에서 체결된 [[북대서양 조약]]을 이행한다.<ref name=":1">{{웹 인용|url=https://www.nato.int/nato-welcome/index.html|제목=What is NATO?|날짜=n.d.|웹사이트=NATO – Homepage|출판사=|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8095023/https://www.nato.int/nato-welcome/index.html|보존날짜=28 Febr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22}}</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militarytimes.com/news/pentagon-congress/2017/05/25/nato-the-world-s-biggest-military-alliance-explained/|제목=NATO, the world's biggest military alliance, explained|성=Cook|이름=Lorne|날짜=25 May 2017|뉴스=[[Military Times]]|통신사=Associated Pres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525215404/http://www.militarytimes.com/articles/nato-the-worlds-biggest-military-alliance-explained|보존날짜=25 May 2017|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22}}</ref> 나토는 [[집단안전보장|집단 안보 체계]]이다(나토의 독립 회원국들은 제3자의 공격으로부터 서로를 방어하는 데 동의한다). [[냉전]] 기간 동안 나토는 [[소련]]이 제기하는 위협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이 동맹은 소련이 해체된 후에도 유지되었고 [[발칸반도|발칸 반도]],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에서의 군사 작전에 관여해 왔다.


나토의 주요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있으며,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나토의 군사 본부]]는 벨기에 [[몽스]] 근처에 있다. 이 동맹은 동유럽에 [[NATO 대응군|나토 대응군]]을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모든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나토 회원국]]의 연합군에는 약 350만 명의 군인과 병력이 포함되어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independent.co.uk/news/world/europe/nato-troops-russia-ukraine-estonia-map-b2031894.html|제목=Where are Nato troops stationed and how many are deployed across Europe?|성=Batchelor|이름=Tom|날짜=9 March 2022|뉴스=The Independent|확인날짜=8 June 2022}}</ref> 2020년 총 군사비 지출은 [[군사비 지출에 따른 나라 목록|전 세계 명목 총액]]의 57% 이상을 차지했다.<ref name="sipri1">{{웹 인용|url=https://sipri.org/sites/default/files/SIPRI-Milex-data-1949-2020_0.xlsx|제목=The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날짜=2021|웹사이트=SIPRI|출판사=IMF World Economic Outlook|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4071552/https://sipri.org/sites/default/files/SIPRI-Milex-data-1949-2020_0.xlsx|보존날짜=24 February 2022|확인날짜=3 March 2022}}</ref> 회원국들은 자신들의 목표가 2024년까지 [[국내총생산]]의 최소 2%의 국방비 목표를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ref>[https://www.nato.int/cps/en/natohq/official_texts_112985.htm The Wales Declaration on the Transatlantic Bond]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180610061817/https://www.nato.int/cps/en/natohq/official_texts_112985.htm|date=10 June 2018}}, NATO, 5 September 2014.</ref><ref name="NYT spending">{{뉴스 인용|url=https://www.nytimes.com/2014/03/27/world/europe/europe-begins-to-rethink-cuts.html|제목=Europe Begins to Rethink Cuts to Military Spending|성=Erlanger|이름=Steven|날짜=26 March 2014|뉴스=The New York Time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29132620/http://www.nytimes.com/2014/03/27/world/europe/europe-begins-to-rethink-cuts.html|보존날짜=29 March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3 April 2014|인용문=Last year, only a handful of NATO countries met the target, according to NATO figur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t 4.1 percent, and Britain, at 2.4 percent.}}</ref>
북대서양 조약 5조는 회원국이 무장 공격을 당한 회원국에 대해 어떤 지원도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는 [[9·11 테러]] 이후 처음이자 유일하게 이루어졌다.<ref>{{웹 인용|title=Invocation of Article 5 confirmed |url=http://www.nato.int/docu/update/2001/1001/e1002a.htm |date=3 October 2001 |publisher=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accessdate=29 January 2013}}</ref> 북대서양 조약 기구가 주도하는 [[국제안보지원군]]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것이었다.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추가적인 역할의 범위를 넓혀 작전을 수행했다. [[이라크]]에 교관을 파견하고, [[해양 방어 작전]]을 지원하였으며,<ref>{{웹 인용|title=Counter-piracy operations |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8815.htm |work=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accessdate=27 May 2011}}</ref>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에 따라 2011년 [[리비아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여 [[리비아 내전]]에 개입했다. 덜 잠재적인 4조는 회원국 간의 회담에 따라 결정되는데 총 5번 주최되었다. [[이라크 전쟁]]이 발발한 2003년 [[터키]]가 처음 발령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 [[시리아 내전]]에 대하여 터키가 2번 주최했다.<ref>{{뉴스 인용 |url= http://www.reuters.com/article/2012/10/03/us-syria-crisis-alliance-idUSBRE8921F220121003 |title= NATO demands halt to Syria aggression against Turkey |work= [[Reuters]] |first= Adrian |last= Croft |date= 3 October 2012 |accessdate= 3 October 2012 |archive-date= 2013-05-12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512030210/http://www.reuters.com/article/2012/10/03/us-syria-crisis-alliance-idUSBRE8921F220121003 }}</ref> 2014년에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문제로 [[폴란드]]가 주최했으며<ref>{{뉴스 인용|url= http://www.nato.int/cps/en/natolive/news_107716.htm |title= Statement by the North Atlantic Council following meeting under article 4 of the Washington Treaty |work= NATO Newsroom |date= 4 March 2014 |accessdate= 2 April 2014}}</ref> 터키가 2015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의 위협에 맞서 다시 개최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nn.com/2015/07/26/middleeast/turkey-nato-talks/index.html |title=Turkey calls for rare NATO talks after attacks along Syrian border |last1=Ford |first1=Dana |date=26 July 2015 |website=www.cnn.com |publisher=CNN |accessdate=26 July 2015}}</ref>

나토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12개 창립 회원국]]으로 구성됐으며, 8차례 새 회원국을 추가했으며, 가장 최근인 2020년 3월 [[북마케도니아]]가 가입했다. [[핀란드]]와 [[스웨덴]]은 2022년 6월 가입 신청을 받아들인 데 이어 31번째, 32번째 회원국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북대서양 조약 가입 의정서가 기존 회원국의 비준을 받고 있다. 나토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루지야]], [[우크라이나]]도 후보국으로 인지하고 있다.<ref name=":1">{{웹 인용|url=https://www.nato.int/nato-welcome/index.html|제목=What is NATO?|날짜=n.d.|웹사이트=NATO – Homepage|출판사=|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8095023/https://www.nato.int/nato-welcome/index.html|보존날짜=28 Febr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22}}</ref> 나토의 확장은 나토의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 프로그램]]에 추가로 참여하는 20개국 중 하나인 비회원국 [[러시아]]와의 긴장을 초래했다. 또 다른 19개국은 나토와의 제도화된 대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 역사 ==
== 역사 ==
됭케르크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냉전|냉전이 시작]]된 1947년 3월 4일 [[프랑스]]와 [[영국]]이 독일이나 소련의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 동맹과 상호원조 조약으로 체결한 조약이다. 1948년 3월, [[브뤼셀 조약]]에서 [[베네룩스]] 국가들을 포함하도록 동맹이 확대되었고, [[브뤼셀 조약 기구]]가 형성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cvce.eu/en/collections/unit-content/-/unit/d5906df5-4f83-4603-85f7-0cabc24b9fe1/051bd03c-4887-4f53-82eb-0f12e59f8dbd|제목=The origins of WEU: Western Union|날짜=December 2009|웹사이트=University of Luxembourg|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621020009/https://www.cvce.eu/en/collections/unit-content/-/unit/d5906df5-4f83-4603-85f7-0cabc24b9fe1/051bd03c-4887-4f53-82eb-0f12e59f8dbd|보존날짜=21 June 2018|url-status=live|확인날짜=23 July 2018}}</ref>[[트루먼 독트린]] 아래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1948년 2월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와 같은 공산주의의 침략에 대항하여 국제적 연대를 촉진했던 외교 정책과 북미를 포함할 수 있는 더 넓은 군사 동맹을 위한 회담이 그 달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이 회담은 1949년 4월 4일 미국, 캐나다, 포르투갈, 이탈리아,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와 함께 [[북대서양 조약]]에 서명하는 결과를 낳았다.<ref name="history">{{웹 인용|url=http://nato.int/cps/en/natohq/declassified_139339.htm|제목=A short history of NATO|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26231233/http://nato.int/cps/en/natohq/declassified_139339.htm|보존날짜=26 March 2017|url-status=live|확인날짜=26 March 2017}}</ref> 캐나다 외교관 [[레스터 B. 피어슨]]은 그 조약의 주요 저자이자 초안자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declassified_161511.htm|제목=Canada and NATO - 1949}}</ref><ref>{{서적 인용|url=https://www.google.com/books/edition/Speaking_Out/8LgDutkaOU0C?hl=en&gbpv=1&dq=%22author+of+the+north+atlantic+treaty%22&pg=PA293&printsec=frontcover|제목=Speaking Out: A Congressman's Lifelong Fight Against Bigotry, Famine, and War - Paul Findley - Google Books|성=Findley|이름=Paul|연도=2011|isbn=9781569768914|확인날짜=2022-04-24}}</ref><ref>{{서적 인용|url=https://www.google.com/books/edition/The_McGraw_Hill_Encyclopedia_of_World_Bi/nktsAAAAIAAJ?hl=en&gbpv=1&bsq=%22founder+of+the+north+atlantic+treaty%22&dq=%22founder+of+the+north+atlantic+treaty%22&printsec=frontcover|제목=The McGraw-Hill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An International Reference Work - Google Books|연도=1973|출판사=McGraw-Hill|isbn=9780070796331|확인날짜=2022-04-24}}</ref>
나토는 이후 동서냉전 체제하에서 서방국가들의 집단적 안전보장체제 구축의 모델로서,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에 대항하는 대표적 상징으로서의 위상을 지녀왔는데 그 본질은 군사동맹이었다.
[[파일:Bundesarchiv_B_145_Bild-098967,_Aufnahme_der_Bundesrepublik_in_die_NATO.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0/Bundesarchiv_B_145_Bild-098967%2C_Aufnahme_der_Bundesrepublik_in_die_NATO.jpg/220px-Bundesarchiv_B_145_Bild-098967%2C_Aufnahme_der_Bundesrepublik_in_die_NATO.jpg|대체글=A long rectangular room with multiple rows of seated individuals on each side, and flags hanging at the far end.|왼쪽|섬네일|[[서독]]은 1955년에 [[나토]]에 가입했고, 이는 [[냉전]] 기간 동안 경쟁 국가인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성립으로 이어졌다.]]
북대서양 조약은 한국전쟁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설립을 개시하여 통합된 군사구조로 이행하기 전까지 대부분 잠잠했다. 1951년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SHAPE)가 창설되면서<ref name="pace">{{웹 인용|url=http://archives.nato.int/nato-first-5-years-1949-1954-by-lord-ismay-secretary-general-of-north-atlantic-treaty-organization;isad|제목=NATO the first five years 1949–1954|성=Ismay|이름=Hastings|저자링크=Hastings Ismay, 1st Baron Ismay|날짜=4 September 2001|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15234941/http://archives.nato.int/nato-first-5-years-1949-1954-by-lord-ismay-secretary-general-of-north-atlantic-treaty-organization%3Bisad|보존날짜=15 March 2017|url-status=dead|확인날짜=10 April 2012}}</ref>장비 표준화 협정, 유럽 주둔 외국군 주둔 협정 등 서방 연합군의 많은 군사 구조와 계획이 채택되었다. 1952년 나토 사무총장이 조직의 민간인 수장으로 성립되었다 .그 해 나토의 첫 주요 해상 훈련인 메인브레이스 훈련과 그리스와 튀르키예의 가입이 있었다.<ref>{{저널 인용|제목=Navies Meet the Test in Operation Mainbrace|저널=New York Times|성=Baldwin|이름=Hanson|url=https://www.nytimes.com/1952/09/28/archives/navies-meet-the-test-in-operation-mainbrace-important-role-in.html|날짜=28 September 1952|쪽=E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010140743/http://www.nytimes.com/1952/09/28/archives/navies-meet-the-test-in-operation-mainbrace-important-role-in.html|보존날짜=10 October 2017|url-status=live|확인날짜=10 April 2012}}</ref><ref>{{잡지 인용|잡지=[[Time (magazine)|Time]]}}</ref> 런던과 파리 회담 이후, 서독은 1955년 5월 나토에 가입하면서 군사적으로 재군비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소련이 바르샤바 조약을 체결한 주요 요인이었으며 냉전의 대립 측면을 보여준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politico.com/story/2014/05/this-day-in-politics-106640|제목=Soviet Union establishes Warsaw Pact, May 14, 1955|성=Glass|이름=Andrew|날짜=14 May 2014|뉴스=Poltico|확인날짜=10 June 2022}}</ref>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은 40만 명의 미군이 유럽에 주둔했을 때 냉전의 긴장의 극치를 기록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ionalww2museum.org/war/articles/should-united-states-keep-troops-germany|제목=Should the United States Keep Troops in Germany?|성=Olmsted|이름=Dan|날짜=September 2020|웹사이트=National WW2 Museum|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125212146/https://www.nationalww2museum.org/war/articles/should-united-states-keep-troops-germany|보존날짜=25 January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22 February 2021}}</ref> 유럽 국가들(1966년 프랑스의 독립적인 핵 억지력의 개발과 나토의 군사 구조에서 프랑스의 철수를 초래한 사건)과 미국 사이의 관계의 강도에 대한 의구심은 소련의 침공에 대한 나토 방어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과 함께 가라앉았다. {{Sfn|van der Eyden|2003}}<ref name="WP-France">{{뉴스 인용|url=https://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03/11/AR2009031100547.html|제목=After 43 Years, France to Rejoin NATO as Full Member|성=Cody|이름=Edward|날짜=12 March 2009|뉴스=[[The Washington Pos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026171515/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03/11/AR2009031100547.html|보존날짜=26 October 2017|url-status=live|확인날짜=19 December 2011}}</ref> 이후 1982년 신생 민주주의 국가인 스페인이 동맹에 가입했다.<ref>{{웹 인용|url=http://countrystudies.us/spain/88.htm|제목=Spain and NATO|웹사이트=countrystudies.us|출판사=Source: U.S. Library of Congres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415105730/http://countrystudies.us/spain/88.htm|보존날짜=15 April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0 April 2021}}</ref>
북대서양 조약 체약국으로 구성되는 나토는 회원국 간의 이해 관계가 맞물려 파동을 겪기도 했는데, [[프랑스]]는 1966년 3월 핵무기 개발을 둘러싸고 미국과 대립하다가 통합 군사 조직에서 탈퇴하였고, [[그리스]]는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과 관련된 나토의 태도에 불만을 갖고 1974년 4월에 통합 군사 조직에서 탈퇴하였다가 1980년 10월에 다시 복귀했다.


[[1989년 혁명|1989년 유럽 혁명]]은 나토의 목적, 성격, 과제, 그리고 그 대륙에 대한 집중에 대한 전략적 재평가로 이어졌다. 1990년 10월 [[동독]]은 [[독일|독일 연방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1990년 11월 소련과 파리에서 유럽 재래식 무력에 관한 조약(CFE)을 체결했다. 1991년 2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붕괴되고 그해 12월 [[소련의 붕괴|소련이 해체]]되면서 나토의 실질적인 주요 적대국들이 제거되면서 대륙 전체에 걸쳐 구체적인 군사 감축이 요구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7/jul/15/russia.nato|제목=Kremlin tears up arms pact with Nato|성=Harding|이름=Luke|날짜=14 July 2007|뉴스=The Observer|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831182652/http://www.theguardian.com/world/2007/jul/15/russia.nato|보존날짜=31 August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1 May 2012}}</ref> 이는 유럽의 군사비 지출과 장비들을 감소시키기 시작했다. CFE 조약은 서명국들이 다음 16년 동안 52,000개의 재래식 무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ref>{{웹 인용|url=https://www.armscontrol.org/factsheet/cfe|제목=The Conventional Armed Forces in Europe (CFE) Treaty and the Adapted CFE Treaty at a Glance|성=Kimball|이름=Daryl|날짜=August 2017|웹사이트=Arms Control Associ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224222245/https://www.armscontrol.org/factsheet/cfe|보존날짜=24 February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22 February 2021}}</ref> 1990년부터 2015년까지 나토 유럽 회원국들의 군사 지출이 28% 감소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carnegieeurope.eu/2015/09/02/politics-of-2-percent-nato-and-security-vacuum-in-europe-pub-61139|제목=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성=Techau|이름=Jan|날짜=2 September 2015|뉴스=Carnegie Europ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923231851/http://carnegieeurope.eu/2015/09/02/politics-of-2-percent-nato-and-security-vacuum-in-europe-pub-61139|보존날짜=23 September 2018|url-status=live|확인날짜=22 February 2021}}</ref> 1990년 몇몇 서방 지도자들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나토가 더 이상 동쪽으로 확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했다.<ref>{{서적 인용|제목=NATO's Expansion After the Cold War: Geopolitics and Impacts for International Security|성=Eichler|이름=Jan|날짜=2021|출판사=Springer Nature|쪽=34, 35|isbn=9783030666415}}</ref><ref>{{웹 인용|url=https://nsarchive.gwu.edu/briefing-book/russia-programs/2017-12-12/nato-expansion-what-gorbachev-heard-western-leaders-early|제목=Declassified documents show security assurances against NATO expansion to Soviet leaders from Baker, Bush, Genscher, Kohl, Gates, Mitterrand, Thatcher, Hurd, Major, and Woerner|날짜=12 December 2017|웹사이트=|출판사=National Security Archiv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1223011430/https://nsarchive.gwu.edu/briefing-book/russia-programs/2017-12-12/nato-expansion-what-gorbachev-heard-western-leaders-early|보존날짜=23 December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22}}</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spiegel.de/ausland/nato-osterweiterung-aktenfund-stuetzt-russische-version-a-1613d467-bd72-4f02-8e16-2cd6d3285295|제목=Neuer Aktenfund von 1991 stützt russischen Vorwurf|성=Wiegrefe|이름=Klaus|날짜=18 February 2022|출판사=[[Der Spiegel]]|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3104526/https://www.spiegel.de/ausland/nato-osterweiterung-aktenfund-stuetzt-russische-version-a-1613d467-bd72-4f02-8e16-2cd6d3285295|보존날짜=3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22}}</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nytimes.com/2022/01/09/us/politics/russia-ukraine-james-baker.html|제목=In Ukraine Conflict, Putin Relies on a Promise That Ultimately Wasn't|성=Baker|이름=Peter|날짜=9 January 2022|뉴스=[[The New York Time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1223355/https://www.nytimes.com/2022/01/09/us/politics/russia-ukraine-james-baker.html|보존날짜=1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22}}</ref> 그러나 그해 말에 체결된 [[2+4 조약|독일과의 최종 합의에 관한 조약]]의 최종 문서에는 동쪽 확장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초기 나토의 조직은 상설기관으로 최고기관인 각료이사회와 사무국, 그리고 그 아래의 전문·보좌 기관과 통합군사기구로 구성되었다. 각료이사회는 회원국 외무·재무·국방 장관 및 관계장관으로 구성되는 최고기관으로 연 2회 이상의 정례회합을 가지며, 각국의 대통령·총리·수상이 개인자격으로 참가하기도 하였다.
[[파일:Berlin_Wall_at_NATO_Headquarters.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7/Berlin_Wall_at_NATO_Headquarters.jpg/220px-Berlin_Wall_at_NATO_Headquarters.jpg|대체글=Two tall concrete sections of a wall in a grass lawn in front of a curved building with blue-glass windows.|오른쪽|섬네일|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유럽에서 나토의 역할의 전환점이 되었고, 장벽의 한 부분은 현재 나토 본부 밖에 전시되어 있다.]]
1990년대에 나토는 활동을 이전에는 관심사가 아니었던 정치적, 인도적 상황으로 확장했다.<ref name="rfe">{{뉴스 인용|url=https://www.rferl.org/a/nato-announces-special-summit-in-london-in-december/29754567.html|제목=NATO Announces Special 70th Anniversary Summit In London In December|날짜=6 February 2019|뉴스=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406165903/https://www.rferl.org/a/nato-announces-special-summit-in-london-in-december/29754567.html|보존날짜=6 April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6 April 2019}}</ref>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는 동안, 이 조직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보스니아에서 첫 군사 개입을 수행했고, 이후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1999년에 유고슬라비아에서 군사 개입]]을 수행했다.<ref>{{웹 인용|url=https://web.uri.edu/iaics/files/16-Jing-Ke.pdf|제목=Did the US Media Reflect the Reality of the Kosovo War in an Objective Manner? A Case Study of The Washington Post and The Washington Times|성=Jing Ke|날짜=2008|웹사이트=University of Rhode Island|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323093720/https://web.uri.edu/iaics/files/16-Jing-Ke.pdf|보존날짜=23 March 2019|url-status=dead}}</ref> 이러한 갈등은 냉전 이후의 주요 군사 구조조정에 동기를 부여했다. 나토의 군사 구조는 축소되고 재편성되었으며, [[연합신속대응군단]]과 같은 새로운 병력이 창설되었다. 이는 1999년 이스탄불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유럽 재래식 무장 조약에서 CFE 조약이 인정된 이후 소련의 유럽 내 군사 균형에 대한 붕괴에 따른 변화이다.


정치적으로, 그 조직은 새로운 중앙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더 나은 관계를 추구했고, 1994년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과 지중해 대화 계획을 포함한 냉전 이후 이 기간 동안 나토와 그 주변국 간의 지역 협력을 위한 외교 포럼이 설립되었다. 1997년 나토 파트너십 협의회와 1998년 러시아 상설공동위원회가 출범했다. 1999년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헝가리, 폴란드, 체코가 나토에 공식적으로 가입했고, 이 기구는 개별화된 "회원국 행동 계획" 과 함께 새로운 가입 지침을 발표했다. 2004년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2009년 [[알바니아]]와 [[크로아티아]], 2017년 [[몬테네그로]], 2020년 [[북마케도니아]] 등 새로운 동맹 회원국을 추가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48830.htm|제목=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Archived)|성=NATO|웹사이트=NATO|언어=e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310022112/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48830.htm|보존날짜=10 March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022-02-16}}</ref> 2007년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프랑스의 군사 지위가 크게 개선되었고, 2009년 4월 4일 정회원국으로 복귀하면서 프랑스는 독자적인 핵 억지력을 유지하면서 프랑스는 나토에 가입하였다.<ref name="WP-France">{{뉴스 인용|url=https://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03/11/AR2009031100547.html|제목=After 43 Years, France to Rejoin NATO as Full Member|성=Cody|이름=Edward|날짜=12 March 2009|뉴스=[[The Washington Pos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026171515/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03/11/AR2009031100547.html|보존날짜=26 October 2017|url-status=live|확인날짜=19 December 2011}}</ref><ref name="guardian-france">{{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8/jun/17/france.military|제목=Sarkozy military plan unveiled|성=Stratton|이름=Allegra|날짜=17 June 2008|뉴스=The Guardian|위치=UK|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7184804/http://www.theguardian.com/world/2008/jun/17/france.military|보존날짜=7 March 2016|url-status=live|확인날짜=17 December 2016}}</ref><ref name="DPC">{{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hq/topics_49201.htm|제목=Defence Planning Committee (DPC) (Archived)|날짜=11 November 2014|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22165648/http://www.nato.int/cps/en/natohq/topics_49201.htm|보존날짜=22 December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13 August 2016}}</ref>
산하에 핵방위문제위원회·방위계획위원회·핵기획 그룹 등의 전문기관이 설치되어 그 보좌를 받으며, 보조기관으로 대사급 상설이사회가 설치되었는데, 사무총장이 의장을 겸임하고, 회의방식은 만장일치제를 채택하였다. 전문기관 중 핵방위문제위원회는 프랑스·룩셈부르크·아이슬란드를 제외한 회원국 국방장관으로 구성되어 나토의 핵전략을 결정하였고, 방위계획위원회는 회원국 국방장관으로 구성되는 최고군령기관으로 통합군사조직을 통할하며, 핵기획 그룹은 1966년 12월 방위계획위원회와 동시에 설치되었는데 프랑스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회원국방장관으로 구성되었다. 방위계획위원회는 통합군사조직의 최고통수기관이며 그 아래 군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SHAPE), 대서양해군사령부(ACLANT), 해협연합군사령부, 3기구를 관할하였다. SHAPE는 북대서양 최고사령부라고도 칭하는데, 각료이사회의 결정에 의해 1951년 4월 발족하였다. 방위 범위는 영국·프랑스·포르투갈을 제외한 서유럽 전역과 영국영공이며, 전시에는 최고사령관이 유럽 지역의 육·해·공 3군이 작전권을 행사하였다. 산하에 북유럽군·중부유럽군·남부유럽군·영국반공군·기동부대·조기경계기동대 등 6개 사령부를 두었다. ACLANT는 상비병력은 없지만 훈련시·전시에는 회원국 해군이 전속되었다. 방위범위는 영국·프랑스 해협과 잉글랜드 연안을 제외한 미국 연합수역에서 유럽·아프리카 연안수역까지, 즉 위도상으로는 북극에서 적도까지였다. 해협연합사령부는 해협연합군 사령관과 해협연합군 항공대 사령관의 지휘 아래 영국·프랑스 해협과 북해남부의 방위를 담당하였다. 설립 당시 파리에 본부를 두고 있었으나 프랑스가 통합군사조직에서 탈퇴하자 브뤼셀로 이전하였다.


[[북대서양 조약]] 제5조는 회원국이 무력 공격을 받는 모든 회원국의 도움을 받도록 하는 조항으로, [[9·11 테러|9.11 테러]] 이후 처음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발동되었으며,<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docu/update/2001/1001/e1002a.htm|제목=Invocation of Article 5 confirmed|날짜=3 October 2001|출판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230143558/http://www.nato.int/docu/update/2001/1001/e1002a.htm|보존날짜=30 Decem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29 January 2013}}</ref> 그 후 나토가 주도하는 [[국제안보지원군|ISAF]]의 군대가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973호]]에 따라 이라크에 훈련병 파견, 해적 퇴치 작전 지원,<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8815.htm|제목=Counter-piracy operations|웹사이트=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526115212/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8815.htm|보존날짜=26 May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27 May 2011}}</ref>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시행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나토는 1990년대에 들어서 딜레마에 봉착하기도 했는데, 1991년에는 나토 회원국에 대해 즉각적으로 어떠한 군사적 위협도 없을 정도로 상황이 개선되어, 미래의 나토 역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그 해에 바르샤바조약국들은 동맹관계를 청산하는 데에 합의했고, 소련의 공산당은 정부에 대한 지배력을 잃었으며, 1991년 후반에 소련은 해체되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국가 붕괴된 후, 나토는 나토 회원국뿐만 아니라 이전에 바르샤바조약을 체결한 나라들도 포함하는 북대서양협력회의를 결성했다. 이 기구는 두 개의 국가 집단 사이의 연대를 강화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1991년에 나토는 유럽에 대한 핵무기 공급을 80%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나토는 1992년에 소속군이 유럽의 비회원국들에게 평화유지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군사적인 역할이 커지도록 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은 나토 국가들의 강력한 규탄으로 이어졌고,<ref>{{뉴스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news_107716.htm|제목=Statement by the North Atlantic Council following meeting under article 4 of the Washington Treaty|날짜=4 March 2014|뉴스=NATO Newsroom|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10182356/http://www.nato.int/cps/en/natolive/news_107716.htm|보존날짜=10 March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2 April 2014}}</ref> 나토 회원국 간 협의를 요구하는 [[북대서양 조약]] 제4조가 발동된 7차례 중 하나였다. 이전 발동 시기는 [[이라크 전쟁]]과 [[시리아 내전]] 기간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187.htm|제목=The consultation process and Article 4|날짜=24 February 2022|웹사이트=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02192427/https://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187.htm|보존날짜=2 April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3 April 2022}}</ref> 2014년 웨일스 정상회담에서 나토 회원국 정상들은 2024년까지 [[국내총생산]]의 최소 2%에 해당하는 금액을 국방비로 지출하기로 공식적으로 약속했다..<ref>{{웹 인용|url=http://carnegieeurope.eu/2015/09/02/politics-of-2-percent-nato-and-security-vacuum-in-europe-pub-61139|제목=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성=Techau|이름=Jan|날짜=2 September 2015|출판사=[[Carnegie Europ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712221337/https://carnegieeurope.eu/2015/09/02/politics-of-2-percent-nato-and-security-vacuum-in-europe-pub-61139|보존날짜=12 July 2018|url-status=dead|확인날짜=11 July 2018|인용문=A month before [the alliance's summit in Riga in 2006], Victoria Nuland, then the U.S. ambassador to NATO, called the 2 percent metric the "unofficial floor" on defence spending in NATO. But never had all governments of NATO's 28 nations officially embraced it at the highest possible political level – a summit declaration.}}</ref> 2016년 바르샤바 정상회담에서 나토 국가들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에 4개의 다국적 대대 규모의 전투단을 배치하는 나토의 개선된 전방 주둔군(EFP) 창설에 합의했다. .<ref name="EFP">{{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136388.htm|제목=NATO's military presence in the east of the Alliance|날짜=28 March 2022|웹사이트=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31223713/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136388.htm|보존날짜=31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3 April 2022}}</re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후로 나토의 여러 나라가 연합군의 동쪽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지상군, 군함, 전투기를 보냈고, 여러 나라가 다시 [[북대서양 조약]] 제4조를 발동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politico.com/news/2022/02/11/us-sending-3000-more-troops-to-poland-00008357|제목=U.S. sending 3,000 more troops to Poland amid fresh Ukraine invasion warnings|성=McLeary|이름=Paul|성2=Toosi|이름2=Nahal|날짜=11 February 2022|뉴스=Politico|확인날짜=3 April 2022}}</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world/spain-sends-warships-black-sea-considers-sending-warplanes-2022-01-20/|제목=Spain sends warships to Black Sea, considers sending warplanes|날짜=21 January 2022|뉴스=Reuters|확인날짜=3 April 2022}}</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world/europe/spain-will-send-four-fighter-jets-130-troops-bulgaria-2022-02-09/|제목=Spain will send four fighter jets and 130 troops to Bulgaria|날짜=9 February 2022|뉴스=Reuters|확인날짜=3 April 2022}}</ref>2022년 3월, 나토 정상들은 [[브뤼셀]]에서 [[G7]] 정상들과 [[유럽 연합]] 지도자들이 참여한 임시 정상회담을 위해 만났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dw.com/en/nato-g7-eu-leaders-display-unity-avoid-confrontation-with-russia/a-61259981|제목=NATO, G7, EU leaders display unity, avoid confrontation with Russia|날짜=25 March 2022|뉴스=Deutsche Welle|확인날짜=3 April 2022}}</ref>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은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슬로바키아에 4개 전투단을 추가로 설립하기로 합의했으며,<ref name="EFP"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역사상 처음으로 [[NATO 대응군|나토 대응군]]이 가동됐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axios.com/nato-kremlin-russian-invasion-ukraine-0872be5e-b5e0-486b-b356-2985370e5148.html|제목=NATO Response Force deploys for first time|성=Gonzalez|이름=Oriana|날짜=26 February 2022|뉴스=Axios|확인날짜=3 April 2022}}</ref>
나토는 1994년 2월 소속 항공기가 유엔이 지정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비행 금지 구역을 침범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계 전투기 4대를 격추함으로써 처음으로 전투행위를 수행했다. 또한 1994년에는 대부분 과거에 공산국가였던 20개국이 평화를 위한 동반자라고 하는 나토와의 연대 기구에 가입하였고, 군사적으로도 참여하였다.

2022년 6월, 나토는 러시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2500km 길이의 동부 측면을 따라 40,000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불가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에 배치되었으며, 5개국은 259,000명의 전 나토 군대를 소집한다. 불가리아 공군을 보충하기 위해 스페인은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보냈고, 네덜란드는 [[F-35 라이트닝 II]] 공격기 8대를 보냈으며, 프랑스와 미국의 공격기도 곧 도착할 예정이다.<ref name="birn14.6">{{뉴스 인용|url=https://balkaninsight.com/2022/06/14/nato-boosts-forces-in-east-to-deter-russian-menace/|제목=NATO BOOSTS FORCES IN EAST TO DETER RUSSIAN MENACE|날짜=14 June 2022|뉴스=BIRN|출판사=Balkan Insight|통신사=Balkan Investigative Reporting Network}}</ref>

== 군사 작전 ==

=== 초기 작전 ===
냉전 기간 동안 나토에 의해 수행된 군사 작전은 없었다. 냉전 종식 후, 1990년 앵커가드 작전과 1991년 에이스가드 작전은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촉발되었다. 터키 남동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공중조기경보기가 파견되었고, 이후 신속대응부대가 이 지역에 배치되었다.<ref name="NATO Operations">{{웹 인용|url=http://www.aco.nato.int/resources/21/NATO%20Operations,%201949-Present.pdf|제목=NATO's Operations 1949–Present|연도=2009|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301231459/http://www.aco.nato.int/resources/21/NATO%20Operations,%201949-Present.pdf|보존날짜=1 March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13}}</ref>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개입 ===
[[파일:F-16_deliberate_force.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5/F-16_deliberate_force.JPG/220px-F-16_deliberate_force.JPG|대체글=A fighter jet with AV marked on its tail takes off from a mountain runway.|오른쪽|섬네일|[[스레브레니차 대학살]] 이후 신중한 군사 작전 중 공중폭격을 가하는 나토 항공기들]]
[[보스니아 전쟁]]은 1992년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의 결과로 시작되었다. 상황이 악화되자 1992년 10월 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816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에 [[비행금지구역|비행 금지 구역]]을 명령했고, 나토는 1993년 4월 12일 비행 거부 작전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1993년 6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샤프 가드 작전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와 [[경제 제재]]를 해상 집행 목적으로 추가됐다. 1994년 2월 28일, 나토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계 항공기 4대를 격추하여 첫 전시 행동을 취했다.{{Sfn|Zenko|2010}}

1994년 4월 10일과 11일, 유엔 보호군은 [[고라주데|고라즈데]] 안전지대를 보호하기 위해 공습을 가했고, 나토의 지휘를 받는 미군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 파이팅 팰컨|F-16]] 전투기 2대가 고라즈데 근처에 있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사령부 전초기지를 폭격했다.{{Sfn|Zenko|2010}} 이에 대한 보복으로 세르비아는 4월 14일 유엔 요원 150명을 인질로 잡았다.<ref>{{인용|출판사=NATO}}</ref><ref>UN Document [https://www.un.org/Docs/journal/asp/ws.asp?m=A/54/549 A/54/549],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pursuant to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3/35: The fall of Srebrenica, un.org,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090912110426/http://www.un.org/Docs/journal/asp/ws.asp?m=A%2F54%2F549|date=12 September 2009}}, accessed 25 April 2015.</ref> 4월 16일, 영국 해병대 소속 [[시 해리어]] 한 척이 세르비아군에 의해 고라즈데 상공에서 격추되었다.{{Sfn|Bethlehem|Weller|1997}}

1995년 8월, [[스레브레니차 집단학살|스레브레니차 집단 학살]]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대한 나토의 폭격 작전이 시작되었다. .<ref name="zenko137">{{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Zenko|2010|pp=137–138}}</ref> 나토의 추가 공습은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종식시켰고, 1995년 11월 [[데이턴 협정]]이 체결되었다.<ref name="zenko137" /> 이 협정의 일부로서, 나토는 합동 노력 작전 하에 IFOR라는 이름의 유엔이 위임한 평화 유지군을 배치했다. 약 60,000명의 나토군이 이 평화 유지 임무에 비 나토 국가로부터 온 병력과 합류했다. 이 작전은 소규모의 SFOR로 전환되었는데, 처음에는 32,000명의 병력으로 시작하여 1996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운영되었다.{{Sfn|Clausson|2006}} 회원국의 지도에 따라, 나토는 이러한 작전에 대해 나토 훈장을 수여하기 시작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armytimes.com/news/2009/02/army_natomedal_022209w/|제목=Thousands more now eligible for NATO Medal|성=Tice|이름=Jim|날짜=22 February 2009|뉴스=[[Army Times]]|확인날짜=11 April 2012}}</ref>

=== 코소보 개입 ===
[[파일:German_KFOR_troops_patrol_southern_Kosovo,_summer_1999.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8/German_KFOR_troops_patrol_southern_Kosovo%2C_summer_1999.jpg/220px-German_KFOR_troops_patrol_southern_Kosovo%2C_summer_1999.jpg|대체글=Three trucks of soldiers idle on a country road in front of trees and red-roofed houses. The rear truck has KFOR painted on is back.|오른쪽|섬네일|1999년 코소보 남부에서 순찰 중이던 독일 [[코소보군|KFOR]] 병사들]]
[[파일:MSU_Mitrovica_Manbox_-_Ibar_Bridge_summer_2019.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d/MSU_Mitrovica_Manbox_-_Ibar_Bridge_summer_2019.jpg/220px-MSU_Mitrovica_Manbox_-_Ibar_Bridge_summer_2019.jpg|오른쪽|섬네일|2019년 [[미트로비처 (코소보)|코소보 미트로비차]] 이바르 다리 앞에서 [[코소보군|KFOR]]-MSU의 [[카라비니에리]] 순찰]]
1998년 9월 23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코소보에서 세르비아 주도의 [[코소보 해방군|KLA 분리주의자들]]과 알바니아 시민들에 대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탄압을 막기 위해 결의안 1199호를 통과시켰다. 1999년 3월 23일 미국 특사 [[리처드 홀브룩]]의 협상은 결렬되었고,<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europe/302265.stm|제목=Nato to strike Yugoslavia|날짜=24 March 1999|뉴스=BBC New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6010110/http://news.bbc.co.uk/2/hi/europe/302265.stm|보존날짜=26 September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5 September 2015}}</ref> 그는 이 문제를 나토에 넘겨 1999년 3월 24일 78일간의 폭격 작전을 시작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europe/3565799.stm|제목=UN Kosovo mission walks a tightrope|성=Thorpe|이름=Nick|날짜=24 March 2004|뉴스=BBC New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726190617/http://news.bbc.co.uk/2/hi/europe/3565799.stm|보존날짜=26 July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11 April 2012}}</ref> 연합군은 당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군사력을 목표로 삼았다. 나토는 코소보 난민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하기 위해 국제 대응부대 중 하나인 ACE 기동부대(육상)를 알바니아군(AFOR)으로 알바니아에 배치하기도 했다.<ref name="gs">{{웹 인용|url=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sustain_hope.htm|제목=Operation Shining Hope|날짜=5 July 2011|웹사이트=Global Security|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108164929/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sustain_hope.htm|보존날짜=8 Novem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11 April 2012}}</ref>

비록 이 작전은 큰 규모의 민간인 피해와 베오그라드에 있는 중국 대사관에 폭탄 피해가 생겼음에도, 1999년 6월 3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코소보 전쟁]]을 종식시킨 국제 평화 계획의 조건을 받아들였다. 6월 11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유엔 결의안 1244호를 수락했다. 이로 거의 100만 명의 난민이 코소보를 탈출했고, 이때 [[코소보군|KFOR]]의 임무 중 일부는 폭력을 막는 것 외에도 인도주의적 임무를 보호하는 것이었다.<ref name="gs">{{웹 인용|url=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sustain_hope.htm|제목=Operation Shining Hope|날짜=5 July 2011|웹사이트=Global Security|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108164929/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sustain_hope.htm|보존날짜=8 Novem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11 April 2012}}</ref><ref>{{웹 인용|url=http://www.crisisgroup.org/en/publication-type/media-releases/2000/kosovo-report-card.aspx|제목=Kosovo Report Card|날짜=28 August 2000|웹사이트=[[International Crisis Group]]|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304114736/http://www.crisisgroup.org/en/publication-type/media-releases/2000/kosovo-report-card.aspx|보존날짜=4 March 2012|url-status=dead|확인날짜=11 April 2012}}</ref> 2001년 8월부터 9월까지, 이 동맹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알바니아계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는 임무인 필수적 수확 작전을 개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elegraph.co.uk/news/worldnews/europe/macedonia/1357773/Macedonia-mission-a-success-says-Nato.html|제목=Macedonia mission a success, says Nato|성=Helm|이름=Toby|날짜=27 September 2001|뉴스=The Daily Telegraph|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905212636/http://www.telegraph.co.uk/news/worldnews/europe/macedonia/1357773/Macedonia-mission-a-success-says-Nato.html|보존날짜=5 Septem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11 April 2012}}</ref> 2013년 12월 1일부터 31개국을 대표하는 4,882명의 KFOR 장병들이 이 지역에서 계속 활동하고 있다.

미국, 영국, 그리고 대부분의 나토 국가들은 1999년 세르비아에 대한 조치와 같은 나토 군사 공격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승인하도록 요구하는 노력에 반대했고, 프랑스 등은 이 동맹에 유엔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nn.com/WORLD/europe/9904/24/nato.un/|제목=NATO reaffirms power to take action without UN approval|날짜=24 April 1999|뉴스=[[CN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128045422/http://www.cnn.com/WORLD/europe/9904/24/nato.un/|보존날짜=28 January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3}}</ref> 미국과 영국 측은 "이것이 동맹의 권위를 손상시킬 것이고, 이에 러시아와 중국이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공격을 막기 위해 안보리 거부권을 행사했을 것이며, 나토의 개입이 필요한 미래 분쟁에서도 같은 행동을 할 수 있어 조직의 전체 역량과 목적을 무효화할 수 있다" 고 언급했다. 냉전 이후의 군사 환경을 인식한 나토는 1999년 4월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분쟁 예방과 위기 관리를 강조하는 동맹 전략 개념을 채택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
[[파일:National_Park_Service_9-11_Statue_of_Liberty_and_WTC.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f/National_Park_Service_9-11_Statue_of_Liberty_and_WTC.jpg/220px-National_Park_Service_9-11_Statue_of_Liberty_and_WTC.jpg|대체글=A monumental green copper statue of a woman with a torch stands on an island in front of a mainland where a massive plume of grey smoke billows among skyscrapers.|왼쪽|섬네일|미국의 [[9·11 테러]]는 나토가 처음으로 집단방위조항을 발동하게 만들었다. ]]
미국의 9·11 테러는 나토가 사상 처음으로 [[북대서양 조약|나토 헌장 5조]]를 발동하게 만들었다.<ref>{{저널 인용|제목=Creating common sense: Getting NATO to Afghanistan|저널=Journal of Transatlantic Studies|성=Münch|이름=Philipp|연도=2021|권=19|호=2|쪽=138–166|doi=10.1057/s42738-021-00067-0}}</ref> 이 조항은 어떤 멤버에 대한 공격이 모든 멤버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2001년 10월 4일, 북대서양 조약에 따라 나토가 이 공격이 실제로 자격이 있다고 판단했고 이는 승인되었다.이 공격에 대응하여 나토가 취한 8가지 공식 행동에는 테러범이나 대량살상무기의 이동을 막기 위해 고안된 지중해에서의 해군 작전인 이글 어시스트 작전과 액티브 엔데버 작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2001년 10월 4일에 개시되었다.

2003년 4월 16일, 나토는 42개국의 군대를 포함한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지휘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정은 합의 당시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이끌던 독일과 네덜란드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으며, 나토 대사 19명 전원이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8월 11일, 나토가 북대서양 지역 밖에서 임무를 맡은 것은 나토 역사상 처음이다. 
[[파일:210321-D-BN624-1005_(51058690203).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f/210321-D-BN624-1005_%2851058690203%29.jpg/220px-210321-D-BN624-1005_%2851058690203%29.jpg|오른쪽|섬네일|[[오스틴 밀러|오스틴 S 밀러]] 장군(오른쪽)은 2018년 9월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과 나토군 사령관이 돼 2021년 7월까지 철수를 감독했다.]]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당초 [[탈레반]], [[알카에다]], 파벌 군벌로부터 [[카불]]과 주변 지역을 확보해 [[하미드 카르자이]]가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국]] 수립을 허용하는 임무를 맡았다. 2003년 10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의 임무를 아프가니스탄 전역으로 확대할 것을 승인했고,[[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이후 4개의 주요 단계로 임무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2006년 7월 31일,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미국이 이끄는 반테러 연합군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의 군사 작전을 추가로 인계 받았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bloomberg.com/apps/news?pid=newsarchive&sid=a1qU01AKOHT8|제목=NATO Takes Control of East Afghanistan From U.S.-Led Coalition|성=Morales|이름=Alex|날짜=5 October 2006|뉴스=[[Bloomberg L.P.]]|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24142511/https://www.bloomberg.com/apps/news?pid=newsarchive&sid=a1qU01AKOHT8|보존날짜=24 July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3}}</ref> 남부에서의 전투가 격렬했기에 2011년 프랑스는 동맹을 지원하기 위해 [[다소 미라주 2000]] 전투기와 공격기 편대를 [[칸다하르]]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했다.<ref>{{웹 인용|url=http://www.lemonde.fr/cgi-bin/ACHATS/acheter.cgi?offre=ARCHIVES&type_item=ART_ARCH_30J&objet_id=1002456&clef=ARC-TRK-NC_01|제목=La France et l'OTAN|웹사이트=Le Monde|위치=France|언어=fr|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2175557/http://www.lemonde.fr/cgi-bin/ACHATS/acheter.cgi?offre=ARCHIVES&type_item=ART_ARCH_30J&objet_id=1002456&clef=ARC-TRK-NC_01|보존날짜=12 October 2007|url-status=live|확인날짜=16 July 2011}}</ref> [[2012년 시카고 회담]]에서 나토는 2014년 12월 말까지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끝내고 나토가 이끄는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해체하는 계획을 승인했다.<ref name="Reuters 20120521">{{뉴스 인용|url=http://ca.reuters.com/article/topNews/idCABRE84J02C20120521?sp=true|제목=NATO sets "irreversible" but risky course to end Afghan war|날짜=21 May 2012|뉴스=Reuters|통신사=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22162349/http://ca.reuters.com/article/topNews/idCABRE84J02C20120521?sp=true|보존날짜=22 Octo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22 May 2012}}</ref> 2014년 12월, [[국제안보지원군|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해체되었고 후속 훈련인 [[확고한 지원 임무]]로 대체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4/dec/28/nato-ends-afghanistan-combat-operations-after-13-years|제목=Nato ends combat operations in Afghanistan|성=Rasmussen|이름=Sune Engel|날짜=28 December 2014|뉴스=The Guardian|언어=en-GB|issn=0261-307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102134349/http://www.theguardian.com/world/2014/dec/28/nato-ends-afghanistan-combat-operations-after-13-years|보존날짜=2 January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4 October 2019}}</ref>

2021년 4월 14일, 나토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그]]는 나토 동맹이 5월 1일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voanews.com/usa/nato-cut-forces-afghanistan-match-us-withdrawal|제목=NATO to Cut Forces in Afghanistan, Match US Withdrawal|날짜=14 April 2021|뉴스=[[VOA New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415000426/https://www.voanews.com/usa/nato-cut-forces-afghanistan-match-us-withdrawal|보존날짜=15 April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7 August 2021}}</ref> 나토군의 철수가 시작된 직후 탈레반은 무너진 아프간군 앞에서 빠르게 진격하며 [[2021년 탈레반 공세|아프간 정부를 향한 공세]]를 펼쳤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1/jul/13/afghanistan-stunned-by-scale-and-speed-of-security-forces-collapse|제목=Afghanistan stunned by scale and speed of security forces' collapse|날짜=13 July 2021|뉴스=The Guardia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15063215/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1/jul/13/afghanistan-stunned-by-scale-and-speed-of-security-forces-collapse|보존날짜=15 August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7 August 2021}}</ref> 2021년 8월 15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방위군]]은 아프가니스탄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수도 [[카불]]을 포위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dw.com/en/taliban-surge-in-afghanistan-eu-and-nato-in-state-of-shock/a-58881129|제목=Taliban surge in Afghanistan: EU and NATO in state of shock|날짜=16 August 2021|뉴스=Deutsche Well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17130423/https://www.dw.com/en/taliban-surge-in-afghanistan-eu-and-nato-in-state-of-shock/a-58881129|보존날짜=17 August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7 August 2021}}</ref> 나토 회원국의 일부 정치인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서방군의 혼란스러운 철수와 [[2021년 카불 함락|아프간 정부의 붕괴]]를 나토가 건국 이래 겪은 가장 큰 재앙이라고 묘사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dw.com/en/afghanistan-takeover-sparks-concern-from-nato-allies/a-58880292|제목=Afghanistan takeover sparks concern from NATO allies|날짜=16 August 2021|뉴스=Deutsche Well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19073025/https://www.dw.com/en/afghanistan-takeover-sparks-concern-from-nato-allies/a-58880292|보존날짜=19 August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9 August 2021}}</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politico.eu/article/afghanistan-crisis-migration-europe-response/|제목=Migration fears complicate Europe's response to Afghanistan crisis|날짜=16 August 2021|뉴스=Politic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19092700/https://www.politico.eu/article/afghanistan-crisis-migration-europe-response/|보존날짜=19 August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9 August 2021}}</ref>

=== 이라크 훈련 임무 ===
2004년 8월, [[이라크 전쟁]] 당시, 나토는 미국이 이끄는 [[이라크 다국적군]](MNF-I)과 함께 이라크 보안군을 지원하기 위한 훈련 임무인 나토 이라크 훈련 임무 작전을 수립했다.<ref>{{웹 인용|url=http://www.jfcnaples.nato.int/training_mission_iraq.aspx|제목=Official Website|웹사이트=Jfcnaples.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12165020/http://www.jfcnaples.nato.int/training_mission_iraq.aspx|보존날짜=12 December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29 January 2013}}</ref> 나토 이라크 훈련 임무 작전에 따른 [[이라크 다국적군]](NTM-I)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546호의 규정에 따라 이라크 임시정부의 요청에 따라 창설되었다. [[이라크 다국적군]](NTM-I)의 목적은 이라크 보안군의 훈련 구조와 기관 개발을 지원하여 이라크가 국가의 요구에 부응하고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라크 다국적군]](NTM-I)은 전투 임무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북대서양 평의회의 정치적 통제 하에 별개로 운영됐다. 운영 상의 중점은 훈련과 멘토링이었다. 임무의 활동은 이라크 당국과 미국이 이끄는 부사령관 자문 및 훈련과 함께 조정되었다. 이 임무는 2011년 12월 17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iraq-withdrawal-nato-idUSTRE7BG0IK20111217|제목=NATO closes up training mission in Iraq|성=El Gamal|이름=Rania|날짜=17 December 2011|뉴스=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18070636/http://www.reuters.com/article/2011/12/17/us-iraq-withdrawal-nato-idUSTRE7BG0IK20111217|보존날짜=18 December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17 January 2012}}</ref>

[[튀르키예]]는 2003년 [[이라크 전쟁]]이 시작될 때 [[북대서양 조약|북대서양 조약 4조]]에 따른 첫 회의를 소집했다. 터키는 2012년 [[시리아 내전]] 당시에도 두 차례나 이 조항을 인용했고, 비무장 튀르키예 [[맥도널 더글러스 F-4 팬텀|F-4]] 정찰기가 격추된 뒤, [[시리아]]에서 [[튀르키예]]를 향해 박격포가 발사됐고,<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syria-crisis-alliance-idUSBRE8921F220121003|제목=NATO demands halt to Syria aggression against Turkey|성=Croft|이름=Adrian|날짜=3 October 2012|뉴스=[[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04011242/http://www.reuters.com/article/2012/10/03/us-syria-crisis-alliance-idUSBRE8921F220121003|보존날짜=4 Octo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3 October 2012}}</ref> 2015년에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영토 보전에 대한 이슬람 국가의 위협이 있은 뒤 이 조항을 인용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nn.com/2015/07/26/middleeast/turkey-nato-talks/index.html|제목=Turkey calls for rare NATO talks after attacks along Syrian border|성=Ford|이름=Dana|날짜=26 July 2015|뉴스=Cnn.com|출판사=CN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727233434/http://www.cnn.com/2015/07/26/middleeast/turkey-nato-talks/index.html|보존날짜=27 July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26 July 2015}}</ref>

=== 아덴만 해적 퇴치 ===
[[파일:Gulf_of_Aden_-_disabled_pirate_boat.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5/Gulf_of_Aden_-_disabled_pirate_boat.jpg/220px-Gulf_of_Aden_-_disabled_pirate_boat.jpg|대체글=A tall plume of black smoke rises from the blue ocean waters next to a large grey battleship and a small black inflatable boat.|오른쪽|섬네일|2010년 3월 USS 패러거트가 소말리아 해적선을 파괴하는 모습.]]
2009년 8월 17일부터 나토는 [[소말리아의 해적|소말리아 해적]]들로부터 [[아덴만]]과 인도양의 해상 교통을 보호하고, 지역 국가들의 해군과 해안 경비대를 강화하기 위한 작전에 군함을 배치했다. 이 작전은 북대서양 평의회에 의해 승인되었고, 주로 미국에서 온 전함들이 참여하였다. 오션 실드 작전은 소말리아에서 [[세계 식량 계획|세계식량계획]] 임무의 일환으로 원조를 배급하던 연합군 제공자 작전의 선박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러시아, 중국, 한국도 이 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군함을 보냈다.이 작전은 해적들의 공격을 저지하고 선박을 보호하며 이 지역의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 리비아 개입 ===
[[파일:Palmaria_bengasi_1903_0612_b1.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3/Palmaria_bengasi_1903_0612_b1.jpg/220px-Palmaria_bengasi_1903_0612_b1.jpg|대체글=Pieces of a destroyed tank, notably the gun turret, lie on a sandy landscape.|섬네일|2011년 3월 [[벵가지]] 인근에서 [[프랑스 공군]]에 의해 파괴된 리비아 육군의 팔마리아 자주포]]
[[리비아 위기|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령 휘하의 시위대와 리비아 정부 사이의 폭력은 고조되었고, 2011년 3월 17일 휴전을 요구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973호]]가 통과되었고,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 행동을 승인했다. 3월 19일, 나토 회원국들의 연합군은 [[프랑스 공군]]의 [[아르마탕 작전]]을 시작으로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 시행을 시작했다.

2011년 3월 20일, 나토 회원국들은 리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ref name="NATOSecGen1">{{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SID-E403D555-2A5EEC9A/natolive/news_71689.htm?mode=pressrelease|제목=Statement by the NATO Secretary General on Libya arms embargo|날짜=22 March 2011|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428121505/http://www.nato.int/cps/en/SID-E403D555-2A5EEC9A/natolive/news_71689.htm?mode=pressrelease|보존날짜=28 April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25 March 2011}}</ref><ref name="NATOPressBriefing1">{{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SID-83A5384E-C37D94AC/natolive/opinions_71716.htm?selectedLocale=en|제목=Press briefing by NATO Spokesperson Oana Lungescu, Brigadier General Pierre St-Amand, Canadian Air Force and General Massimo Panizzi, spokesperson of the Chairman of the Military Committee|날짜=23 March 2011|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428121332/http://www.nato.int/cps/en/SID-83A5384E-C37D94AC/natolive/opinions_71716.htm?selectedLocale=en|보존날짜=28 April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25 March 2011}}</ref> 나토는 "불법 무기나 용병을 운반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감시하고, 보고하고, 필요하다면 차단하겠다."라고 말했다.<ref name="NATOSecGen1" />

3월 24일, 나토는 초기 연합군으로부터 비행금지 구역을 통제하기로 합의했고, 지상부대를 목표로 하는 지휘권은 연합군의 손에 있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articles.washingtonpost.com/2011-03-25/world/35208327_1_libya-operation-charles-bouchard-nato|제목=NATO reaches deal to take over Libya operation; allied planes hit ground forces|날짜=25 March 2011|뉴스=Washington Post|보존url=https://archive.today/20130217004750/http://articles.washingtonpost.com/2011-03-25/world/35208327_1_libya-operation-charles-bouchard-nato|보존날짜=17 February 2013|url-status=dead}}</ref><ref>{{뉴스 인용|url=http://english.aljazeera.net/news/africa/2011/03/2011324221036894697.html|제목=NATO to police Libya no-fly zone|날짜=24 March 2011|뉴스=English.aljazeera.ne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326033949/http://english.aljazeera.net/news/africa/2011/03/2011324221036894697.html|보존날짜=26 March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25 March 2011}}</ref> 나토는 2011년 3월 27일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의 지원을 받아 유엔 결의안을 공식 시행하기 시작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jpost.com/MiddleEast/Article.aspx?id=214574|제목=UAE and Qatar pack an Arab punch in Libya operation|성=O'Sullivan|이름=Arieh|날짜=31 March 2011|뉴스=Jerusalem Post|통신사=s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106134641/http://www.jpost.com/MiddleEast/Article.aspx?id=214574|보존날짜=6 Novem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29 January 2013}}</ref> 6월까지 28개 회원국 중 8개 회원국만이 전투 작전에 참여하면서<ref>[http://thestar.com.my/news/story.asp?file=/2011/6/9/worldupdates/2011-06-09T025953Z_01_NOOTR_RTRMDNC_0_-575860-1&sec=Worldupdates "NATO strikes Tripoli, Gaddafi army close on Misrata"]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12030653/http://thestar.com.my/news/story.asp?file=%2F2011%2F6%2F9%2Fworldupdates%2F2011-06-09T025953Z_01_NOOTR_RTRMDNC_0_-575860-1&sec=Worldupdates|date=12 August 2011}}, Khaled al-Ramahi. </ref> 동맹 내 분열 보고가 표면화되면서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과 폴란드, 스페인, 네덜란드, 튀르키예, 독일 등이 대립했고 게이츠는 독일이 더 많은 기여를 요구하는 것과 조직 분쟁에 대해서 자신의 권한을 초과했다고 했다.<ref>[https://latimes.com/news/nationworld/world/la-fg-libya-nato-20110609,0,6023643.story "Gates Calls on NATO Allies to Do More in Libya"]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4100915/https://www.latimes.com/world/la-xpm-2011-jun-09-la-fg-libya-nato-20110609-story.html|date=14 March 2022}}, Jim Garamone. </ref> 6월 10일 브뤼셀에서 열린 자신의 마지막 정책 연설에서 게이츠는 동맹국들의 행동이 나토의 종말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동맹국들을 더욱 비판했다. 독일 외무부는 "독일이 나토와 나토 주도의 작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이 작전을 너무 높이 평가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임무가 9월까지 연장되는 동안, [[노르웨이]]는 6월 10일 지원금 규모를 축소하고 8월 1일까지 철수를 완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주 초 덴마크 공군기들의 폭탄이 바닥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ref>[http://www.timesofmalta.com/articles/view/20110610/world/Danish-planes-running-out-of-bombs.369868 "Danish planes running out of bombs"]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110612163628/http://www.timesofmalta.com/articles/view/20110610/world/Danish-planes-running-out-of-bombs.369868|date=12 June 2011}}, ''Times of Malta''. 10 June 2011. </ref> 그 다음 주, [[영국 왕립해군]]의 수장은 분쟁에서 국가의 작전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ref>[https://www.telegraph.co.uk/news/worldnews/africaandindianocean/libya/8573849/Navy-chief-Britain-cannot-keep-up-its-role-in-Libya-air-war-due-to-cuts.html "Navy chief: Britain cannot keep up its role in Libya air war due to cuts"]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180913110403/https://www.telegraph.co.uk/news/worldnews/africaandindianocean/libya/8573849/Navy-chief-Britain-cannot-keep-up-its-role-in-Libya-air-war-due-to-cuts.html|date=13 September 2018}}, James Kirkup. </ref> 2011년 10월,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령이 사망한 후 작전이 끝날 때까지 나토 항공기는 친카다피 목표물에 대해 약 9,500회의 폭격을 감행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upi.com/Top_News/Special/2011/10/11/NATO-surprised-by-pro-Gadhafi-resistance/UPI-62851318359224/|제목=NATO: Ongoing resistance by pro-Gadhafi forces in Libya is 'surprising'|날짜=11 October 2011|뉴스=The Washington Post|통신사=[[UPI]]|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16020425/http://www.upi.com/Top_News/Special/2011/10/11/NATO-surprised-by-pro-Gadhafi-resistance/UPI-62851318359224/|보존날짜=16 October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29 January 2013}}</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usatoday.com/news/world/story/2011-10-21/Libya-NATO/50858104/1?csp=34news|제목=NATO strategy in Libya may not work elsewhere|날짜=21 October 2011|뉴스=USA Today|확인날짜=22 October 2011}}</ref> 2012년 5월 [[휴먼 라이츠 워치|국제인권감시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적어도 72명의 민간인이 이 작전으로 사망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world.time.com/2012/05/16/how-many-innocent-civilians-did-nato-kill-in-libya/|제목=How Many Innocent Civilians Did NATO Kill in Libya?|성=Tharoor|이름=Ishaan|날짜=16 May 2012|뉴스=Time Magazin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1032328/http://world.time.com/2012/05/16/how-many-innocent-civilians-did-nato-kill-in-libya/|보존날짜=1 April 2016|url-status=live|확인날짜=9 April 2016}}</ref>

2013년 10월 쿠데타 시도에 이어 알리 자이단 리비아 총리는 나토에 지속적인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자문과 지도원을 요청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libya-nato-idUSBRE99K0GX20131021|제목=NATO to advise Libya on strengthening security forces|성=Croft|이름=Adrian|뉴스=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30090823/http://www.reuters.com/article/2013/10/21/us-libya-nato-idUSBRE99K0GX20131021|보존날짜=30 September 2015|url-status=live|확인날짜=1 July 2017}}</ref>


== 회원국 ==
== 회원국 ==
{| style="background:white; border:1px solid rgb(153, 153, 153); margin: 1em auto 1em auto; overflow:auto; overflow-x:auto; overflow-y:hidden;"
{{본문|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파일:NATO_partnerships.svg|대체글=A world map with countries in blue, cyan, orange, yellow, purple, and green, based on their NATO affiliation.|1000x1000픽셀]]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회원국은 30개국이다. 창립 회원국은 12개국이며, 가장 마지막으로 가입한 회원국은 [[2022년]]에 가입한 [[핀란드]] [[스웨덴]]이다.
|- style="font-size:85%;"
|
{| class="wikitable collapsible collapsed" style="background:white; border:1px solid white;"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004990}}
| style="border:0;" |[[나토 회원국|'''나토 회원국''']]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2a7fff}}
| style="border:0;" |'''맴버십 활동 계획'''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88b7ff}}
| style="border:0;" |'''기회 향상 파트너'''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ffd900}}
| style="border:0;"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ff7826}}
| style="border:0;"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d40000}}
| style="border:0;" |'''지중해 대화 계획'''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cc00ff}}
| style="border:0;" |'''이스탄불 협력 계획'''
| style="border:0; width:2em;" |{{범례|#008000}}
| style="border:0;" |'''글로벌 파트너 계획'''
! style="border:0; background:none; width:3.6em;" |
|- valign="top"
| colspan="2" style="border:0;" |{{단순목록|* {{국기|알바니아}}
* {{국기|벨기에}}
* {{국기|불가리아}}
* {{국기|캐나다}}
* {{국기|크로아티아}}
* {{국기|체코}}
* {{국기|덴마크}}
* {{국기|에스토니아}}
* {{국기|프랑스}}
* {{국기|독일}}
* {{국기|그리스}}
* {{국기|헝가리}}
* {{국기|아이슬란드}}
* {{국기|이탈리아}}
* {{국기|라트비아}}
* {{국기|리투아니아}}
* {{국기|룩셈부르크}}
* {{국기|몬테네그로}}
* {{국기|네덜란드}}
* {{국기|북마케도니아}}
* {{국기|노르웨이}}
* {{국기|포르투갈}}
* {{국기|루마니아}}
* {{국기|슬로바키아}}
* {{국기|스페인}}
* {{국기|튀르키예}}
* {{국기|영국}}
* {{국기|미국}}}}
| colspan="2" style="border:0;" |{{국기|보스니아}}
| colspan="2" style="border:0;" |{{국기|오스트리아}}


{{국기|핀란드}} {{국기|조지아}}
== 나토 정상회의 ==
* 이상 생략
* [[2022년]] [[6월 29일]]-30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ref>[https://news.v.daum.net/v/20220610191918596?f=p 윤 대통령, 나토 정상회의 참석.."다수 정상과 양자회담"]</ref>


{{국기|요르단}} {{국기|스웨덴}} {{국기|우크라이나}}
== 같이 보기 ==
| colspan="2" style="border:0;" |{{국기|아르메니아}}
*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SHAPE)
* [[베를린 봉쇄]]
* [[나토 음성 기호]]
*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상하이 협력 기구]]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항구적 자유 작전]](OEF)
* [[ISAF]]
** [[PRT]]
** [[RRT]]


{{국기|아제르바이잔}}
== 각주 ==
<references/>


{{국기|보스니아}}
== 참고 자료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국기|조지아}}

{{국기|카자흐스탄}}

{{국기|몰도바}}

{{국기|세르비아}}

{{국기|우크라이나}}
| colspan="2" style="border:0;" |{{단순목록|* {{국기|아르메니아}}
* {{국기|오스트리아}}
* {{국기|아제르바이잔}}
* {{국기|벨라루스}}
* {{국기|보스니아}}
* {{국기|핀란드}}
* {{국기|조지아}}
* {{국기|아일랜드}}
* {{국기|타지키스탄}}
* {{국기|키르기스스탄}}
* {{국기|몰타}}
* {{국기|몰도바}}
* {{국기|러시아}}
* {{국기|세르비아}}
* {{국기|스웨덴}}
* {{국기|스위스}}
* {{국기|카자흐스탄}}
* {{국기|투르크메니스탄}}
* {{국기|우크라이나}}
* {{국기|우즈베키스탄}}}}
| colspan="2" style="border:0;" |{{단순목록|* {{국기|알제리}}
* {{국기|이집트}}
* {{국기|이스라엘}}
* {{국기|요르단}}
* {{국기|모리타니}}
* {{국기|튀니지}}}}
| colspan="2" style="border:0;" |{{단순목록|* {{국기|바레인}}
* {{국기|쿠웨이트}}
* {{국기|카타르}}
* {{국기|아랍에미리트}}}}
| colspan="3" style="border:0;" |{{단순목록|* {{국기|호주}}
* {{국기|콜롬비아}}
* {{국기|이라크}}
* {{국기|일본}}
* {{국기|몽골}}
* {{국기|뉴질랜드}}
* {{국기|파키스탄}}
* {{국기|대한민국}}}}
|}
|}
{{정리정돈|[[File:NATO and US EU Summits in Lisbon (2).jpg|thumb|upright=1.0|2010년 11월 리스본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서 [[압둘라 굴]] 튀르키예 전 대통령과 다른 지도자들과 함께 있는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
나토는 주로 유럽과 북미에 30개의 회원국을 두고 있다. 이들 국가 중 일부는 [[북대서양 조약|북대서양 조약 제6조]]에 따라 나토의 '책임 지역'을 규정한 대서양 [[북회귀선]]까지만 남하할 수 있는 여러 대륙에 영토를 가지고 있다. 원래 조약 협상에서 미국은 [[벨기에령 콩고]]와 같은 식민지는 조약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Sfn|Collins|2011}}<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ebookshop/video/declassified/#/en/encyclopedia/the_birth_of_nato/the_key_issues_of_contention/the_area_of_responsibility/|제목=The area of responsibility|날짜=23 February 2013|웹사이트=NATO Declassified|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01131134/http://www.nato.int/ebookshop/video/declassified/#/en/encyclopedia/the_birth_of_nato/the_key_issues_of_contention/the_area_of_responsibility/|보존날짜=1 June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28 September 2013}}</ref> 하나 [[프랑스령 알제리]]는 1962년 7월 3일 독립할 때까지 통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SID-C6AD72DE-2E05A89E/natolive/topics_67656.htm?selectedLocale=en|제목=Washington Treaty|날짜=11 April 2011|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16081817/http://www.nato.int/cps/en/SID-C6AD72DE-2E05A89E/natolive/topics_67656.htm?selectedLocale=en|보존날짜=16 October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28 September 2013}}</ref> 30개국 중 12국은 1949년에 가입한 원회원이고, 나머지 18국은 8차례 확대 회의들 중 하나에서 가입했다.

미국이 나토 방위비의 4분의 3을 차지하나<ref>{{뉴스 인용|url=https://articles.washingtonpost.com/2012-01-29/world/35437915_1_nato-allies-defense-budgets-european-members|제목=NATO allies grapple with shrinking defense budgets|성=Craig Whitlock|날짜=29 January 2012|뉴스=Washington Pos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30110403/http://articles.washingtonpost.com/2012-01-29/world/35437915_1_nato-allies-defense-budgets-european-members|보존날짜=30 May 2013|url-status=dead|확인날짜=29 March 2013}}</ref> 국내총생산의 2% 이상을 국방비로 쓰는 회원국은 거의 없다.<ref>{{뉴스 인용|url=http://mobile.reuters.com/article/idUSL5E8KJJSL20120919?irpc=932|제목=Some EU states may no longer afford air forces-general|성=Adrian Croft|날짜=19 September 2013|뉴스=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10035915/http://mobile.reuters.com/article/idUSL5E8KJJSL20120919?irpc=932|보존날짜=10 May 2013|url-status=dead|확인날짜=31 March 2013}}</ref>

=== 특별 계약 ===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등 나토에 가입했던 북유럽 3개국은 항구적인 평시 기지는 없을 것이며, 핵탄두는 불허하며, 연합국 군사활동(초청되지 않는 한)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세 가지 분야에 대한 참여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하나 덴마크는 미 공군이 그린란드에 있는 [[툴레 공군기지]]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declassified_162357.htm|제목=Denmark and NATO - 1949}}</ref>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프랑스는 나토로부터 독립하는 군사 전략을 추구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iris-france.org/136272-why-the-concept-of-gaullo-mitterrandism-is-still-relevant/|제목=Why the concept of Gaullo-Mitterrandism is still relevant|날짜=29 April 2019|웹사이트=IRI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7043522/https://www.iris-france.org/136272-why-the-concept-of-gaullo-mitterrandism-is-still-relevant/|보존날짜=7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7 March 2022}}</ref> [[니콜라 사르코지]]는 2009년 프랑스의 통합군 사령부 복귀와 국방계획위원회 복귀를 협상했다. 프랑스는 나토의 핵 계획 그룹에 참여하지 않은 유일한 나토 회원국으로 남아 있으며 미국과 영국과는 달리 핵무장 잠수함을 동맹에 맡기지 않을 것이다.<ref name="WP-France">{{뉴스 인용|url=https://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03/11/AR2009031100547.html|제목=After 43 Years, France to Rejoin NATO as Full Member|성=Cody|이름=Edward|날짜=12 March 2009|뉴스=[[The Washington Pos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026171515/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03/11/AR2009031100547.html|보존날짜=26 October 2017|url-status=live|확인날짜=19 December 2011}}</ref><ref name="guardian-france">{{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8/jun/17/france.military|제목=Sarkozy military plan unveiled|성=Stratton|이름=Allegra|날짜=17 June 2008|뉴스=The Guardian|위치=UK|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7184804/http://www.theguardian.com/world/2008/jun/17/france.military|보존날짜=7 March 2016|url-status=live|확인날짜=17 December 2016}}</ref>

=== 확장 ===
<div class="stack stack-right"><div>[[File:History_of_NATO_enlargement.svg|대체글=A map of Europe with countries labelled in shades of blue, green, and yellow based on when they joined NATO.|오른쪽|섬네일|나토는 [[독일의 통일]]과 냉전 종식 이후 14개의 새로운 회원국을 추가했다.]]</div></div>동맹 가입은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에 따라 관리되며, 각 회원국의 승인이 필요하다. 나토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핀란드]], [[스웨덴]] 등 3개 후보국을 보유하고 있다. 2019년 2월, 2020년 3월 27일에 [[북마케도니아]]는 나토 회원국이 되기 위한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고 2020년 3월 27일,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bbc.com/news/world-europe-47139118|제목=Macedonia signs Nato accession agreement|날짜=6 February 2019|웹사이트=[[BBC]]|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207032125/https://www.bbc.com/news/world-europe-47139118|보존날짜=7 February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6 February 2019}}</ref><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74589.htm|제목=North Macedonia joins NATO as 30th Ally|날짜=27 March 2020|웹사이트=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21150245/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74589.htm|보존날짜=21 May 2020|url-status=live|확인날짜=27 March 2020}}</ref> 2018년 [[프레스파 협정]]에 의해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으로 그리스에 의해 가입이 차단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edition.cnn.com/2014/01/14/business/macedonia-prime-minister-greece/|제목=Macedonian PM: Greece is avoiding talks over name dispute|성=Joy|이름=Oliver|날짜=16 January 2014|뉴스=CN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9013140/http://edition.cnn.com/2014/01/14/business/macedonia-prime-minister-greece/|보존날짜=19 April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18 April 2014}}</ref> 이 과정에서 서로를 지원하기 위해 이 지역의 새로운 회원국과 잠재적 회원국은 2003년에 아드리아 헌장을 만들었다. <ref>{{뉴스 인용|url=http://www.setimes.com/cocoon/setimes/xhtml/en_GB/features/setimes/features/2008/12/09/feature-02|제목=Montenegro, BiH join Adriatic Charter|성=Ramadanovic|이름=Jusuf|성2=Nedjeljko Rudovic|날짜=12 September 2008|뉴스=[[Southeast European Time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0115939/http://www.setimes.com/cocoon/setimes/xhtml/en_GB/features/setimes/features/2008/12/09/feature-02|보존날짜=20 December 2008|url-status=live|확인날짜=24 March 2009}}</ref> [[조지아]]는 또한 후보국으로 지명되었고, 2008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정상회담 동안 "미래 회원국"을 약속 받았지만,<ref>{{저널 인용|제목=NATO Enlargement and Institution Building: Military Personnel Policy Challenges in the Post-Soviet Context|저널=European Security|성=George J, Teigen JM|연도=2008|권=17|호=2|쪽=346|doi=10.1080/09662830802642512}}</ref> 2014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국가가 현재 회원국으로 가는 길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ref name="Obama says no">{{뉴스 인용|url=http://www.thedailybeast.com/articles/2014/03/27/obama-tells-georgia-to-forget-about-nato-after-encouraging-it-to-join.html|제목=Obama Tells Georgia to Forget About NATO After Encouraging It to Join|성=Cathcourt|이름=Will|날짜=27 March 2014|뉴스=[[The Daily Beas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6193123/http://www.thedailybeast.com/articles/2014/03/27/obama-tells-georgia-to-forget-about-nato-after-encouraging-it-to-join.html|보존날짜=16 April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15 April 2014}}</ref>

[[우크라이나]]와 나토 및 유럽 간의 관계는 정치적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이러한 관계 개선은 2014년 친러시아 성향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축출된 '[[유로마이단]]' 시위의 목표 중 하나였다.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8개국 중 하나로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을 가지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290.htm|제목=NATO Topics: Individual Partnership Action Plans|출판사=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310015635/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290.htm|보존날짜=10 March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29 January 2013}}</ref>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IPAP)은 2002년에 시작되었으며, 나토와의 관계를 발전 시킬 정치적 의지와 능력을 가진 국가들에 개방되어 있다. 2019년 2월 21일, 우크라이나 헌법이 개정되었고, [[유럽 연합]]과 나토 가입을 위한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경로에 대한 규범이 기본법, 3개 조항 및 과도 조항 전문에 명시되어 있다. <ref>{{웹 인용|url=https://eu-ua.org/novyny/zakon-pro-zminy-do-konstytuciyi-shchodo-kursu-na-vstup-v-yes-i-nato-nabuv-chynnosti|제목=The law amending the Constitution on the course of accession to the EU and NATO has entered into force {{!}} European integration portal|웹사이트=eu-ua.org|언어=uk|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928024828/https://eu-ua.org/novyny/zakon-pro-zminy-do-konstytuciyi-shchodo-kursu-na-vstup-v-yes-i-nato-nabuv-chynnosti|보존날짜=28 September 2020|url-status=live|확인날짜=2021-03-23}}</ref> 나토 정상들은 2021년 6월 브뤼셀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가 맴버십 실행 계획(MAP)의 회원국이 될 것이며, 우크라이나가 외부의 간섭 없이 자신의 미래와 외교 정책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결정을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회의에서 반복했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85000.htm|제목=Brussels Summit Communiqué issued by th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in Brussels 14 June 2021|웹사이트=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1172546/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85000.htm|보존날짜=21 Febr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14 June 2021}}</ref> 2021년 11월 3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나토의 우크라이나 주둔 확대, 특히 러시아 도시나 루마니아, 폴란드와 유사한 [[국가 미사일 방어|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타격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의 배치는 러시아에게 "레드라인"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1/nov/30/russia-will-act-if-nato-countries-cross-ukraine-red-lines-putin-says|제목=Russia will act if Nato countries cross Ukraine 'red lines', Putin says|날짜=30 November 2021|뉴스=The Guardia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17112550/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1/nov/30/russia-will-act-if-nato-countries-cross-ukraine-red-lines-putin-says|보존날짜=17 December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21}}</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drive.com/the-war-zone/43334/nato-pushes-back-against-russian-president-putins-red-lines-over-ukraine|제목=NATO Pushes Back Against Russian President Putin's 'Red Lines' Over Ukraine|날짜=1 December 2021|뉴스=The Driv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14164345/https://www.thedrive.com/the-war-zone/43334/nato-pushes-back-against-russian-president-putins-red-lines-over-ukraine|보존날짜=14 December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21}}</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markets/stocks/putin-warns-russia-will-act-if-nato-crosses-its-red-lines-ukraine-2021-11-30/|제목=Putin warns Russia will act if NATO crosses its red lines in Ukraine|날짜=30 November 2021|뉴스=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9022224/https://www.reuters.com/markets/stocks/putin-warns-russia-will-act-if-nato-crosses-its-red-lines-ukraine-2021-11-30/|보존날짜=19 Jan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21}}</ref> 푸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나토가 동쪽으로 확장하거나 "러시아 영토와 가까운 곳에 우리를 위협하는 무기 체계"를 두지 않을 것이라는 법적 보장을 요청했고, <ref>{{뉴스 인용|url=https://www.usnews.com/news/business/articles/2021-12-01/russia-says-its-worried-about-ukrainian-military-buildup|제목=Putin Demands NATO Guarantees Not to Expand Eastward|날짜=1 December 2021|뉴스=[[U.S. News & World Repor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12174653/https://www.usnews.com/news/business/articles/2021-12-01/russia-says-its-worried-about-ukrainian-military-buildup|보존날짜=12 December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21}}</ref>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와 나토 동맹국 30개국만이 나토 가입 준비를 마쳤다. 러시아는 거부권이 없고, 발언권이 없으며, 러시아는 이웃 국가들을 통제하기 위해 세력권을 설정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axios.com/nato-russia-ukraine-invasion-18619fd7-be80-4d37-86f8-fcebcb1fbe8a.html|제목=NATO chief: "Russia has no right to establish a sphere of influence"|날짜=1 December 2021|뉴스=Axio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14172403/https://www.axios.com/nato-russia-ukraine-invasion-18619fd7-be80-4d37-86f8-fcebcb1fbe8a.html|보존날짜=14 Febr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21}}</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bbc.com/news/world-europe-56720589|제목=Is Russia preparing to invade Ukraine? And other questions|날짜=10 December 2021|뉴스=BBC New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19125518/https://www.bbc.com/news/world-europe-56720589|보존날짜=19 December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3 December 2021}}</ref>

러시아는 소련의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유럽 및 미국 협상가들 사이의 평화적 독일 통일을 허용한 비공식적인 이해와 모순된다고 보고 정치적으로 계속 반대했다.<ref name="Spiegel review">{{뉴스 인용|url=http://www.spiegel.de/international/world/nato-s-eastward-expansion-did-the-west-break-its-promise-to-moscow-a-663315.html|제목=NATO's Eastward Expansion: Did the West Break Its Promise to Moscow?|성=Klussmann|이름=Uwe|성2=Schepp|이름2=Matthias|날짜=26 November 2009|뉴스=[[Spiegel Onlin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5190301/http://www.spiegel.de/international/world/nato-s-eastward-expansion-did-the-west-break-its-promise-to-moscow-a-663315.html|보존날짜=5 April 2014|url-status=live|확인날짜=7 April 2014|성3=Wiegrefe|이름3=Klaus}}</ref> 나토의 확장 노력은 종종 러시아를 포위하고 고립시키려는 냉전 시도의 연장으로 모스크바 지도자들에게 보여지지만,<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europe/7312045.stm|제목=Medvedev warns on Nato expansion|날짜=25 March 2008|뉴스=BBC New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421004059/http://news.bbc.co.uk/2/hi/europe/7312045.stm|보존날짜=21 April 2010|url-status=live|확인날짜=20 May 2010}}</ref> 이는 서방에서도 비판을 받았다.<ref name="Art1998 383 to 384">{{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Art|1998|pp=383–384}}</ref> 2016년 6월 레바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의 68%가 [[발트 3국]]과 러시아와의 국경을 맞대고 있던 과거 동구권 국가들인 [[폴란드]]에 나토군을 배치하는 것이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f>[http://www.levada.ru/en/2016/11/04/levada-center_chicago_council/ Levada-Center and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about Russian-American relations] {{웹아카이브|url=https://web.archive.org/web/20170819190307/http://www.levada.ru/en/2016/11/04/levada-center_chicago_council/|date=19 August 2017}}. </ref> 반면 2017년 퓨 리서치 센터 보고서에서 조사된 폴란드인의 65%는 러시아를 "주요 위협"으로 지목했으며,<ref>{{뉴스 인용|url=https://www.kyivpost.com/russia/pew-survey-russia-disliked-around-world-poland-turkey-see-kremlin-major-threat.html|제목=Pew survey: Russia disliked around world; most in Poland, Turkey see Kremlin as major threat|날짜=16 August 2017|뉴스=Kyiv Pos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323093746/https://www.kyivpost.com/russia/pew-survey-russia-disliked-around-world-poland-turkey-see-kremlin-major-threat.html|보존날짜=23 March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8}}</ref> 전체 나토 국가에서 평균 31%가 그렇게 답했다. 2018년 조사된 폴란드인의 67%는 폴란드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선호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dw.com/en/nato-summit-poland-pins-its-hopes-on-the-usa/a-44606598|제목=NATO summit: Poland pins its hopes on the USA|출판사=Deutsche Well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904121243/https://www.dw.com/en/nato-summit-poland-pins-its-hopes-on-the-usa/a-44606598|보존날짜=4 September 2018|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8}}</ref> 2016년 갤럽이 조사에 따르면 동유럽에서 비 [[독립국가연합]](CIS) 국가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제외한 모든 국가는 나토를 위협이라기보다는 보호동맹으로 볼 가능성이 높았다.<ref>{{웹 인용|url=https://news.gallup.com/poll/203819/nato-members-eastern-europe-protection.aspx|제목=Most NATO Members in Eastern Europe See It as Protection|성=Smith|이름=Michael|날짜=10 February 2017|출판사=Gallup|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904153827/https://news.gallup.com/poll/203819/nato-members-eastern-europe-protection.aspx|보존날짜=4 September 2018|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8}}</ref> 2006년 안보 연구 저널의 한 연구는 나토의 확대가 중부 및 동유럽의 민주적 통합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ref>{{저널 인용|제목=Nato Enlargement and the Spread of Democracy: Evidence and Expectations|저널=Security Studies|성=Epstein|이름=Rachel|날짜=2006|권=14|쪽=63|doi=10.1080/09636410591002509}}</ref>

나토의 확장에 대해 중국도 반대 입장을 표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bbc.com/news/world-asia-60257080|제목=China joins Russia in opposing Nato expansion|날짜=4 February 2022|뉴스=BBC New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17171200/https://www.bbc.com/news/world-asia-60257080|보존날짜=17 Febr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4 February 2022}}</ref>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
[[파일:We_Stand_with_Ukraine_2022_Helsinki_-_Finland_(51905505001).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1/We_Stand_with_Ukraine_2022_Helsinki_-_Finland_%2851905505001%29.jpg/220px-We_Stand_with_Ukraine_2022_Helsinki_-_Finland_%2851905505001%29.jpg|대체글=A crowd of people in winter coats march past a white domed church above a set of snowy stairs, some carrying signs and blue and yellow Ukrainian flags.|섬네일|[[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원로원 광장 (헬싱키)|헬싱키 원로원 광장]]에 있는 [[알렉산드르 2세]] 동상을 지나 행진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핀란드]]와 [[스웨덴]]에서 나토 가입을 찬성하는 여론이 크게 흔들리면서 처음으로 나토 가입을 반대하는 국민보다 나토 가입을 지지하는 국민이 더 많았다. 2022년 3월 30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핀란드 국민의 61%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1일 여론조사에 따르면 스웨덴 국민의 약 51%가 나토 가입을 찬성한 반면 27%는 반대했다.<ref name="Finland and Sweden">{{뉴스 인용|url=https://www.cnn.com/2022/04/08/politics/finland-sweden-nato-membership/index.html|제목=Finland and Sweden could soon join NATO, prompted by Russian war in Ukraine|성=Jennifer Hansler|성2=Natasha Bertrand|날짜=8 April 2022|뉴스=[[Cable News Network]]|확인날짜=9 April 2022}}</ref><ref name="hurtling towards NATO">{{뉴스 인용|url=https://www.economist.com/europe/finland-is-hurtling-towards-nato-membership/21808705|제목=Finland is hurtling towards NATO membership|성=|날짜=8 April 2022|출판사=The Economist|확인날짜=9 April 2022}}</ref>4월 중순, 핀란드와 스웨덴 정부는 나토 가입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핀란드 정부는 이 사안에 대한 보안 보고서를 의뢰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defensenews.com/global/europe/2022/04/14/finland-and-sweden-pursue-unlinked-nato-membership/|제목=Finland and Sweden pursue unlinked NATO membership|성=Gerard O'Dwyer|날짜=14 April 2022|뉴스=DefenseNews|확인날짜=19 April 2022}}</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local.se/20220413/swedens-social-democrats-could-decide-on-nato-on-may-24th-report/|제목=Sweden's PM wants to apply to join Nato at end of June: report|성=|날짜=13 April 2022|뉴스=The Local|확인날짜=19 April 2022}}</ref> 두 북유럽 국가가 추가되면 [[북극]], [[노르딕 국가|북유럽]], 발트해 지역에서 나토의 역량이 크게 확대될 것이다.<ref name="Going Nordic">{{웹 인용|url=https://www.realcleardefense.com/articles/2022/04/18/going_nordic_what_nato_membership_would_mean_for_finland_and_sweden_827561.html|제목=Going Nordic: What NATO Membership Would Mean for Finland and Sweden|성=|날짜=18 April 2022|출판사=RealClear Defense|확인날짜=19 April 2022}}</ref>

2022년 5월 15일 핀란드 정부는 [[핀란드 의회]]의 허가를 조건{5월 17일 의회 투표 결과:188(찬성)-8(반대)}으로 나토 가입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world/europe/finnish-president-confirms-his-country-will-apply-join-nato-2022-05-15/|제목=Finnish president confirms country will apply to join NATO|성=Lehto|이름=Essi|날짜=15 May 2022|뉴스=Reuters|확인날짜=15 May 2022}}</ref> <ref>{{뉴스 인용|url=https://www.dw.com/en/finlands-parliament-approves-nato-membership-application/a-61826163|제목=Finland's Parliament approves NATO membership application|날짜=17 May 2022|뉴스=Deutsche Welle|확인날짜=17 May 2022}}</ref> 스웨덴 총리 [[마그달레나 안데르손]]도 5월 17일에 나토 가입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고,<ref>{{뉴스 인용|url=https://www.msn.com/en-us/news/world/sweden-approves-historic-nato-membership-application/ar-AAXlFWA|제목=Sweden approves historic NATO membership application|성=Don Jacobson|날짜=16 May 2022|통신사=UPI}}</ref> 핀란드와 스웨덴은 5월 18일에 정식으로 나토 가입을 신청했다.<ref name="fin-swe-appliction">{{웹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2/may/18/sweden-and-finland-formally-apply-to-join-nato|제목=Sweden and Finland formally apply to join Nato|성=Henley|이름=Jon|날짜=18 May 2022|확인날짜=18 May 2022}}</ref> 그러나 [[튀르키예]]는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하는 것에 대한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튀르키예가 테러단체로 지정한 [[쿠르디스탄 노동자당]](PKK)과 [[인민수호부대]](YPG)를 핀란드와 스웨덴이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2022년 6월 28일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서 터키는 핀란드와 스웨덴의 가입 신청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ref name="turkey.finland.sweden.reuters">{{웹 인용|url=https://www.reuters.com/world/europe/turkey-clears-way-finland-sweden-join-nato-stoltenberg-2022-06-28/|제목=Turkey clears way for Finland, Sweden to join NATO - Stoltenberg|날짜=28 June 2022|웹사이트=[[Reuters]]|보존url=https://archive.today/20220628185507/https://www.reuters.com/world/europe/turkey-clears-way-finland-sweden-join-nato-stoltenberg-2022-06-28/|보존날짜=28 June 2022|url-status=live}}</ref><ref name="turkey.finland.sweden.sky">{{웹 인용|url=https://news.sky.com/story/nato-turkey-agrees-to-back-finland-and-swedens-bid-to-join-alliance-12642100|제목=NATO: Finland and Sweden poised to join NATO after Turkey drops objection|날짜=28 June 2022|웹사이트=[[Sky News]]|보존url=https://archive.today/20220628185639/https://news.sky.com/story/nato-turkey-agrees-to-back-finland-and-swedens-bid-to-join-alliance-12642100|보존날짜=28 June 2022|url-status=live}}</ref> 7월 5일, 30명의 나토 대사는 스웨덴과 핀란드의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고, 6월 28일 나토 정상회의의 결정을 공식 승인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world/europe/finland-sweden-sign-protocol-join-nato-still-need-ratification-2022-07-05/|제목=Finland, Sweden sign to join NATO but need ratification|성=Emmot|이름=Robin|성2=Siebold|이름2=Sabine|날짜=5 July 2022|뉴스=Reuters|확인날짜=6 July 2022}}</ref> 월 17일 현재 슬로바키아, 헝가리, 튀르키예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비준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atlanticcouncil.org/commentary/trackers-and-data-visualizations/when-will-sweden-and-finland-join-nato-tracking-the-ratification-process-across-the-alliance/|제목=When will Sweden and Finland join NATO? Tracking the ratification process across the Alliance|날짜=8 August 2022}}</ref>

== 나토 방위비 예산 ==
지난 몇 년간 나토 회원국의 증가는 국방비의 증가로 지속되지 않았다.<ref>{{웹 인용|url=https://carnegieeurope.eu/2015/09/02/politics-of-2-percent-nato-and-security-vacuum-in-europe-pub-61139|제목=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성=Techau|이름=Jan|웹사이트=Carnegie Europe|언어=en|확인날짜=2022-08-23}}</ref>나토 회원국들은 국방예산의 감소를 우려하여 재정 형평성 약속을 개선하고 재정 지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014년 웨일스 정상회의에서 국방 투자 서약을 제정하기 위해 만났다. <ref>{{저널 인용|제목=NATO's Two Percent Guideline: A Demand for Military Expenditure Perspective|저널=Defence and Peace Economics|성=Alozious|이름=Juuko|url=https://doi.org/10.1080/10242694.2021.1940649|날짜=2022-05-19|권=33|호=4|쪽=475–488|doi=10.1080/10242694.2021.1940649|issn=1024-2694}}</ref><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official_texts_112964.htm|제목=Wales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NATO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2014)|성=NATO|웹사이트=NATO|언어=en|확인날짜=2022-08-23}}</ref> 회원국들은 2024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의 최소 2%를 국방에, 국방예산의 20%를 국방 연구개발에 배정하는 등 주요 장비에 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official_texts_112964.htm|제목=Wales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NATO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2014)|성=NATO|웹사이트=NATO|언어=en|확인날짜=2022-08-23}}</ref>

국방 투자 공약 이행은 회원국의 법적 구속력 있는 의무 부재, 유럽연합 재정법, 회원국의 국내 공공지출 우선순위, 정치적 의지로 인해 방해를 받고 있다.<ref>{{저널 인용|제목=NATO's Two Percent Guideline: A Demand for Military Expenditure Perspective|저널=Defence and Peace Economics|성=Alozious|이름=Juuko|url=https://doi.org/10.1080/10242694.2021.1940649|날짜=2022-05-19|권=33|호=4|쪽=475–488|doi=10.1080/10242694.2021.1940649|issn=1024-2694}}</ref><ref>{{웹 인용|url=https://carnegieeurope.eu/2015/09/02/politics-of-2-percent-nato-and-security-vacuum-in-europe-pub-61139|제목=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성=Techau|이름=Jan|웹사이트=Carnegie Europe|언어=en|확인날짜=2022-08-23}}</ref> 2020년 18개 나토 회원국은 주요 장비에 대한 20% 기여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2021년 8개 회원국은 국방비에 대해 [[국내총생산]](GDP) 기여율 2% 목표를 달성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93983.htm|제목=Defence Expenditure of NATO Countries (2014-2021)|성=NATO|웹사이트=NATO|언어=en|확인날짜=2022-08-23}}</ref> 웨일즈 권고사항 준수 개선은 러시아 연방이 제기하는 회원국의 안보에 대한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촉진된다.

== 제3국과의 파트너십 ==
[[파일:Cooperative_Archer_2007.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4/Cooperative_Archer_2007.jpg/220px-Cooperative_Archer_2007.jpg|대체글=Hundreds of soldiers in military uniforms stand behind a line on a tarmac with 14 flags held by individuals at the front.|오른쪽|섬네일|평화를 위한 파트너십은 2007년 7월 트빌리시에서 나토 12개의 회원국들의 500명의 군인과 지중해 대화 참가자인 요르단이 참여다국적 군사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이다.<ref>{{뉴스 인용|url=http://en.ria.ru/world/20070709/68610511.html|제목=Cooperative Archer military exercise begins in Georgia|날짜=9 July 2007|통신사=RIA Novosti|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107122519/http://en.ria.ru/world/20070709/68610511.html|보존날짜=7 January 2014|url-status=dead|확인날짜=3 December 2013}}</ref>]]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은 1994년에 설립되었으며 각 파트너 국가와 나토 간의 개별적인 양자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ref name="pfp">{{웹 인용|url=http://www.nato.int/issues/pfp/index.html|제목=Partnership for Peace|출판사=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301054735/http://www.nato.int/issues/pfp/index.html|보존날짜=1 March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3 March 2011}}</ref> 해당 회원국은 [[독립국가연합]]의 현재 및 이전의 모든 회원국을 포함한다.<ref>{{웹 인용|url=http://ru.forsecurity.org/nato-and-belarus-partnership-past-tensions-and-future-possibilities|제목=Nato and Belarus – partnership, past tensions and future possibilities|출판사=[[Foreign Policy and Security Research Center]]|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0091957/http://ru.forsecurity.org/nato-and-belarus-partnership-past-tensions-and-future-possibilities|보존날짜=20 October 2013|url-status=dead|확인날짜=25 November 2010}}</ref> 유럽-대서양 파트너십 이사회(EAPC)는 1997년 5월 29일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50명의 참가국들 간의 정기적인 조정, 협의, 대화를 위한 포럼이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276.htm|제목=NATO Topics: The Euro-Atlantic Partnership Council|출판사=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1024110254/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276.htm|보존날짜=24 October 2010|url-status=live|확인날짜=22 August 2010}}</ref>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은 유럽-대서양 파트너십의 운영 부서로 간주된다.<ref name="pfp" /> 아프가니스탄과 다른 제3국들도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체제의 일부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의사를 표했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docu/basictxt/b060906e.htm|제목=Declaration by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and the Islamic Republic of Afghanistan|출판사=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908042229/http://www.nato.int/docu/basictxt/b060906e.htm <!--Added by H3llBot-->|보존날짜=8 September 2010|확인날짜=22 August 2010}}</ref>

[[유럽 연합]](EU)은 2002년 12월 16일 베를린 추가 협정에 따라 나토와 포괄적인 협정을 체결했다. 이 합의로 유럽 연합(EU)은 나토 스스로가 행동하기를 원하지 않는 조건, 이른바 "[[우선매수청구권]]"을 조건으로 국제 위기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행동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나토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졌다.<ref>{{웹 인용|url=http://www.ataedu.org/article_new.php?id=107|제목=Broad Support for NATO in the Netherlands|성=Boxhoorn|이름=Bram|날짜=21 September 2005|출판사=ATA Educ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218090444/http://www.ataedu.org/article_new.php?id=107|보존날짜=18 February 2007|확인날짜=7 July 2022}}</ref> 예를 들어, 1982년 [[리스본 조약 (2007년)|리스본 조약의 42조 7항]]은 "회원국이 그 영토에 대한 무력 침략의 피해자일 경우, 다른 회원국들은 그들의 권한에 있는 모든 수단을 통한 원조와 책임 의무를 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 조약은 전 세계적으로 지정된 영토에 적용되는 반면 나토는 제6조에 따라 [[북회귀선]] 이북의 작전에 제한된다. 그것은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과 연계된 유럽 연합(EU) 국가들을 위한 "이중 체제"를 제공한다.

또한, 나토는 수많은 비 나토 회원국과 협력하고 활동을 논의하고 있다. 지중해 대화 계획은 이스라엘 및 북아프리카 국가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해 1994년에 수립되었다. 이스탄불 협력 구상은 2004년에 지중해 대화와 같은 노선을 따라 중동을 위한 대화 포럼으로 발표되었다. 여기서 네 국가들이 [[걸프 협력 회의]]를 통해서도 연관되어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SID-4CA2943D-E00ED2BF/natolive/51288.htm|제목=NATO Partner countries|날짜=6 March 2009|출판사=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05170235/http://www.nato.int/cps/en/SID-4CA2943D-E00ED2BF/natolive/51288.htm|보존날짜=5 August 2011|url-status=live|확인날짜=15 June 2011}}</ref>2018년 6월, 카타르는 나토에 가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ref>{{뉴스 인용|url=https://thepeninsulaqatar.com/article/05/06/2018/Qatar-eyes-full-NATO-membership-Defense-minister|제목=Qatar eyes full NATO membership: Defense minister|날짜=5 June 2018|출판사=The Peninsula|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1002235442/https://thepeninsulaqatar.com/article/05/06/2018/Qatar-eyes-full-NATO-membership-Defense-minister|보존날짜=2 October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11 September 2019}}</ref> 그러나 나토는 [[북대서양 조약|북대서양 조약 제10조]]에 따라 유럽 국가만 추가로 가입할 수 있다고 말하며 가입을 거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dhakatribune.com/world/2018/06/06/qatar-says-it-wants-to-join-nato|제목=Nato rejects Qatar membership ambition|날짜=6 June 2018|출판사=Dhaka Tribun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1202221638/https://www.dhakatribune.com/world/2018/06/06/qatar-says-it-wants-to-join-nato|보존날짜=2 December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11 September 2019}}</ref> 카타르와 나토는 앞서 2018년 1월 안보협정에 함께 서명한 바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50794.htm|제목=Qatar signs security agreement with NATO|날짜=16 January 2018|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1001140343/https://www.nato.int/cps/en/natohq/news_150794.htm|보존날짜=1 October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11 September 2019}}</ref>

일본과의 정치적 대화는 1990년에 시작되었고, 그 이후로 동맹은 이러한 협력 구상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은 국가들과의 접촉을 점차 늘려왔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summit2009/topics_en/12-contact_countries.html|제목=NATO Topics:NATO's relations with Contact Countries|웹사이트=www.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910234056/http://www.nato.int/summit2009/topics_en/12-contact_countries.html|보존날짜=10 September 2013|url-status=dead}}</ref> 1998년 나토는 공식적인 관계 제도화를 허용하지 않지만 협력을 늘리려는 연합국의 열망을 반영하는 일련의 일반 지침을 수립했다. 광범위한 논쟁 끝에 2000년 연합국이 "연락 국가"라는 용어를 동의하였다. 2012년까지 연합은 "전 세계 파트너" 또는 "글로벌 파트너"라는 이름으로 해적 퇴치 및 기술 교류와 같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모임을 넓혔다.<ref name="gao">{{뉴스 인용|url=http://www.gao.gov/new.items/d101015.pdf|제목=NATO PARTNERSHIPS: DOD Needs to Assess U.S. Assistance in Response to Changes to the Partnership for Peace Program|날짜=September 2010|출판사=[[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18101741/http://www.gao.gov/new.items/d101015.pdf|보존날짜=18 June 2013|url-status=dead|확인날짜=27 August 2013}}</ref><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51288.htm|제목=Partners|날짜=2 April 2012|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07061711/http://www.nato.int/cps/en/natolive/51288.htm|보존날짜=7 October 2012|url-status=live|확인날짜=12 October 2012}}</ref> 연락 국가인 호주와 뉴질랜드도 AUSCANNZUKUS 전략동맹의 회원국으로 연락 국가와 나토 회원국 간의 유사한 지역적 또는 양자적 협정 또한 협력에 도움을 주고 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옌스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은 나토가 호주, 뉴질랜드, [[일본]], [[한국]]과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중국의 부상"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australia-nato/nato-needs-to-address-chinas-rise-says-stoltenberg-idUSKCN1UX0YX|제목=NATO needs to address China's rise, says Stoltenberg|날짜=7 August 2019|뉴스=Reuter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814225018/https://www.reuters.com/article/us-australia-nato/nato-needs-to-address-chinas-rise-says-stoltenberg-idUSKCN1UX0YX|보존날짜=14 August 2019|url-status=live|확인날짜=11 September 2019}}</ref> 콜롬비아는 나토의 최신 파트너이며 콜롬비아는 나토가 파트너에게 제공하는 모든 협력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콜롬비아는 나토와 협력한 최초와 유일한 [[라틴아메리카|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nato.int/cps/en/natohq/topics_143936.htm?selectedLocale=en|제목=Relations with Colombia|날짜=19 May 2017|출판사=nato.in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521075718/http://nato.int/cps/en/natohq/topics_143936.htm?selectedLocale=en|보존날짜=21 May 2017|url-status=dead|확인날짜=20 May 2017}}</ref>

== 구조 ==
[[파일:NATO_Ministers_of_Defense_and_of_Foreign_Affairs_meet_at_NATO_headquarters_in_Brussels_2010.jpg|링크=//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6/NATO_Ministers_of_Defense_and_of_Foreign_Affairs_meet_at_NATO_headquarters_in_Brussels_2010.jpg/220px-NATO_Ministers_of_Defense_and_of_Foreign_Affairs_meet_at_NATO_headquarters_in_Brussels_2010.jpg|오른쪽|섬네일|2010년 나토 이사회는 국방 및외교장관 구성을 가지고 소집되었다.]]
나토의 모든 기관 및 조직은 민간 행정 또는 군사 행정 역할로 통합된다. 대부분 동맹 전체의 안보 역할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민간 조직:'''

* 북대서양 평의회(NAC)는 나토의 상임이사국 대표나 상급 대표(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국가원수, 정부 수반)로 구성된 기구이다. 북대서양 평의회(NAC)는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회의를 열고 나토의 정책에 관한 주요 결정을 내린다. 북대서양 평의회(NAC)의 회의는 사무총장이 의장을 맡고, 결정이 내려질 때 조치가 합의된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49178.htm|제목=Topic: Consensus decision-making at NATO|날짜=2016-07-05|웹사이트=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5212946/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49178.htm|보존날짜=25 February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2022-02-25|ref={{sfnref | NATO | 2016}}}}</ref> 다수결에 의한 투표나 결정은 없다. 의회 또는 하위 위원회에 대표되는 각 국가는 자신의 결정에 대한 완전한 주권과 책임을 유지한다.
* 나토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시]] 레오폴드 3세 거리에 위치해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제목=NATO homepag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326073647/http://www.nato.int/|보존날짜=26 March 2009|url-status=live|확인날짜=12 March 2006}}</ref> 본부의 직원은 회원국의 국가 대표단으로 구성되며, 민간 및 군사 연락 사무소와 장교 또는 파트너 국가의 외교 공관 및 외교관, 그리고 회원국의 군대 구성원으로 충원된 국제 참모와 국제 군사 참모들이 포함된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284.htm|제목=NATO Headquarters|날짜=10 August 2010|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913014616/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284.htm|보존날짜=13 September 2010|url-status=live|확인날짜=22 August 2010}}</ref> 비정부 단체들도 대서양 위원회 및 대서양 조약 협회 운동의 기치 아래 나토를 지지하며 성장했다.<ref name="Paper">{{웹 인용|url=http://www.nato.int/acad/fellow/96-98/small.pdf|제목=The Atlantic Council—The Early Years|성=Small|이름=Melvin|날짜=1 June 1998|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3170512/http://www.nato.int/acad/fellow/96-98/small.pdf|보존날짜=3 March 2016|url-status=live|확인날짜=15 November 2015}}</ref><ref>{{웹 인용|url=http://nato.int/cps/en/natohq/topics_69053.htm|제목=Atlantic Treaty Association and Youth Atlantic Treaty Association|날짜=7 April 2016|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1030102644/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69053.htm|보존날짜=30 October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11 March 2022}}</ref>

'''군사 조직:'''

* 군사위원회(MC)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나토 회원국]]의 국방참모총장(CHOD)으로 구성된 나토 산하 기구로 북대서양 평의회(NAC)에 군사 정책 및 전략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국방참모총장(CHOD)은 상임이사국(MilRep)에 의해 군사위원회(MC)에서 정기적으로 대표되며, 이는 종종 2성 또는 3성 기수 장교들로 구성되어 있다. 평의회와 마찬가지로 군사위원회도 때때로 더 높은 수준에서, 즉 각 국가의 군대에서 가장 고위 군 장교인 국방장관의 수준과 회의를 진행 한다. 군사위원회(MC)는 나토의 군사 작전을 지휘하는 의장에 의해 이끌어 진다.  프랑스는 1966년 나토의 군사지휘구조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하여 군사위원회(MC)는 2008년까지프랑스를 제외했다. 프랑스가 나토에 가입하기 전까지는 국방계획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나토 회원국과 분쟁이 발생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nn.com/2008/WORLD/europe/06/17/france.nato/|제목=France to rejoin NATO command|날짜=17 June 2008|출판사=CN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05111043/http://www.cnn.com/2008/WORLD/europe/06/17/france.nato/|보존날짜=5 December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3}}</ref> [[이라크 전쟁|이라크 자유 작전]]의 전개가 그 예시이다.<ref>{{웹 인용|url=http://www.iht.com/articles/2003/02/18/eu_ed3__1.php|제목=Reaching accord, EU warns Saddam of his 'last chance'|성=Fuller|이름=Thomas|날짜=18 February 200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2115843/http://iht.com/articles/2003/02/18/eu_ed3__1.php|보존날짜=12 October 2007|확인날짜=15 July 2007}}</ref> 위원회의 운영 업무는 국제군 참모진의 지원을 받는다.
*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ACO)는 전 세계 나토 작전을 담당하는 나토 사령부이다.<ref>{{웹 인용|url=https://shape.nato.int/about|제목=About us|출판사=[[Supreme Headquarters Allied Powers Europ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8080129/https://shape.nato.int/about|보존날짜=8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6 March 2022}}</ref>
** 신속배치군단에는 유럽군단, [[제1군단 (독일-네덜란드)|제1군단(독일-네덜란드)]], 북동부 다국적군단, 나토군 신속배치군단(이탈리아), 해군 고등대비군(HRF)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군단들 모두 연합군 사령부에 보고된다.<ref>{{웹 인용|url=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50088.htm|제목=The Rapid Deployable Corps|날짜=26 November 2012|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910135843/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50088.htm|보존날짜=10 September 2013|url-status=live|확인날짜=4 September 2013}}</ref>
* [[연합변혁사령부]](ACT), 나토군의 변혁과 훈련을 담당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act.nato.int/who-we-are|제목=Who We Are|출판사=[[Allied Command Transform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6193652/https://www.act.nato.int/who-we-are|보존날짜=6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6 March 2022}}</ref>

'''나토의 조직 및 기관:'''

* 나토 지원 및 조달 기관 본부는 [[룩셈부르크]], [[카펠렌주|카펠렌]]에 있다.
* 나토 통신 정보 기관 본부는 브뤼셀에 있으며 나토 조달 기구를 설계할 극소수의 직원들도 브뤼셀에 있다.
* 나토 과학기술 기구는 2012년 6월 30일 창설 됐으며, 여기에는 수석 과학자, 협업 S&T 프로그램 사무소, 그리고 나토 해저 연구 센터(NURC)가 포함된다.
* 2014년 7월 나토 표준화 기구는 나토 표준화 사무소(NSO)가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124879.htm|제목=NATO Standardization Office (NSO)|출판사=NATO|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7041751/https://www.nato.int/cps/en/natohq/topics_124879.htm|보존날짜=7 March 2022|url-status=live|확인날짜=7 March 2022}}</ref>

나토 의회(NATO PA)는 매년 2차례 열리는 나토의 전략적 목표를 폭넓게 정하는 기구다. 나토 의회(NATO PA)는 상임이사국 또는 나토 대사를 임명하는 회원국 정부의 의회 구조와 직접 상호 작용한다. 나토 의회는 북대서양 동맹 회원국 의원들과 13명의 준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나토와는 다른 구조이며, 나토 이사회의 안보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나토 국가 대표들과 함께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나토 군사령관의 법적 권위 ===
나토는 30개 주권국가로 구성된 동맹국이며 그들의 개별 주권은 동맹 참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나토는 의회도 없고, 법도 없고, 집행도 없으며, 개별 시민을 처벌할 권한도 없다. 이러한 주권 부족의 결과로 나토 사령관의 권력과 권한은 제한된다. 나토 지휘관들은 합법적인 명령을 따르지 않거나, 의무를 태만히 하거나, 고위 장교에 대한 무례와 같은 범죄를 처벌할 수 없다.<ref name="terla">{{저널 인용|제목=Legal Authority of NATO Commanders|저널=NATO Legal Gazette|성=Randall|이름=Thomas E.|url=https://www.act.nato.int/application/files/1016/0999/3864/legal_gazette_34.pdf|날짜=July 2014|호=34|쪽=39–4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29212244/https://www.act.nato.int/application/files/1016/0999/3864/legal_gazette_34.pdf|보존날짜=29 August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29 August 2021}}</ref> 나토 지휘관들은 복종하기를 기대하지만 때로는 통일 군사 재판법(UCMJ)처럼 주권적 행동강령의 적용을 받는 관계자들에게 자신들의 욕망이나 계획을 확고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ref name="gsmjdt">{{뉴스 인용|url=https://www.telegraph.co.uk/news/worldnews/1562161/Gen-Sir-Mike-Jackson-My-clash-with-Nato-chief.html|제목=Gen Sir Mike Jackson: My clash with Nato chief|성=Jackson|이름=General Sir Mike|날짜=4 September 2007|출판사=Telegraph Media Group Limited|보존url=https://ghostarchive.org/archive/20220110/https://www.telegraph.co.uk/news/worldnews/1562161/Gen-Sir-Mike-Jackson-My-clash-with-Nato-chief.html|보존날짜=10 January 2022|url-status=live}}</ref>

나토 사령부는 작전계획(OPLAN), 작전명령(OPORDER), 전술방향, 단편명령(FRAGO) 등의 형태로 부하 지휘관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공동 교전 규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국제인도법]]은 항상 지켜져야 한다. 작전 자원은 국가 지휘하에 있지만 일시적으로 나토에 이관되었다. 비록 이러한 국가 단위의 명령들은, 공식적인 권한 이양 과정을 통해, 나토 사령관의 작전 지휘와 통제 하에 놓였지만, 회원국들은 결코 그들의 국가적인 성격을 잃지 않는다. 국방참모총장(CDS)과 같은 고위 국가 대표들은 소위 '레드카드 보유자'로 간주된다. 레드카드는 국가별로 열거된 제한 사항을 말하며 나토 사령관은 이에 대해 고려할 의무가 있다.<ref name="terla">{{저널 인용|제목=Legal Authority of NATO Commanders|저널=NATO Legal Gazette|성=Randall|이름=Thomas E.|url=https://www.act.nato.int/application/files/1016/0999/3864/legal_gazette_34.pdf|날짜=July 2014|호=34|쪽=39–4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29212244/https://www.act.nato.int/application/files/1016/0999/3864/legal_gazette_34.pdf|보존날짜=29 August 2021|url-status=live|확인날짜=29 August 2021}}</ref>

== 회원국 지원 ==
나토는 회원국 전체에서 대중의 지지를 받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0/02/09/nato-seen-favorably-across-member-states/|제목=NATO Seen Favorably Across Member States|날짜=10 February 2020|출판사=pewresearch.org|확인날짜=24 April 2020}}</ref>

== 참조 ==

* [[대서양주의]]
* [[유럽 연합]]의 공동 안보 및 국방 정책
** 공동 안보 및 국방 정책의 역사
* 나토의 계급과 휘장
* [[주요 비NATO 동맹국|주요 비 나토 동맹국]]
* 나토의 군사 장비 목록

=== 유사 기관 ===

* [[오커스]] (호주, 영국, 미국)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태평양 안정 보장 조약]] (호주, 뉴질랜드, 미국 간의 안보 조약)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CSTO)
* 5국 방위 협정 (FPDA)
* [[미주상호원조조약]]
* [[이슬람 대테러 군사 동맹]] (IMCTC)
* [[중앙 조약 기구|중동 조약 기구]] (METO)
* 동북아시아 조약 기구 (NEATO)
* [[상하이 협력 기구]] (SCO)
* 남대서양 평화 협력 구역
*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SEATO)

== 참고 문헌 ==
 
<references group="" responsive="0"></references>

=== 인용 문서 ===
{{refbegin|30em}}
* {{Cite journal|title=Creating a Disaster: NATO's Open Door Policy|journal=Political Science Quarterly|last=Art|first=Robert J.|author-link=Robert J. Art|year=1998|volume=113|pages=383–403|doi=10.2307/2658073|jstor=2658073|number=3}}
* {{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7SczBzxA6-IC&pg=PR55|title=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last1=Bethlehem|first1=Daniel L.|last2=Weller|first2=Marc|year=1997|series=Cambridge International Documents Series|volume=5|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46304-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3080406/https://books.google.com/books?id=7SczBzxA6-IC&pg=PR55|archive-date=3 April 2016|url-status=live|access-date=27 June 2015}}
* {{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ei38uQH5M5kC&pg=PA94|title=NATO: Status, Relations, and Decision-Making|last=Clausson|first=M.I.|year=2006|publisher=Nova Publishers|isbn=978-1-60021-098-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5181655/https://books.google.com/books?id=ei38uQH5M5kC&pg=PA94|archive-date=5 April 2016|url-status=live|access-date=27 June 2015}}
* {{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KyBPuKcUXowC|title=NATO: A Guide to the Issues|last=Collins|first=Brian J.|year=2011|publisher=ABC-CLIO|isbn=978-0-313-35491-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5183835/https://books.google.com/books?id=KyBPuKcUXowC|archive-date=15 April 2016|url-status=live|access-date=27 June 2015}}
* {{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QJyHlwgWnGQC&pg=PA104|title=Public management of society: rediscovering French institutional engineering in the European context|last=van der Eyden|first=Ton|year=2003|volume=1|publisher=IOS Press|isbn=978-1-58603-29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8225810/https://books.google.com/books?id=QJyHlwgWnGQC&pg=PA104|archive-date=18 April 2016|url-status=live|access-date=27 June 2015}}
* {{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JHU9VZRhjwC&pg=PA133|title=Between Threats and War: U.S. Discrete Military Operations in the Post-Cold War World|last=Zenko|first=Micah|author-link=Micah Zenko|year=2010|publisher=[[Stanford University Press]]|isbn=978-0-8047-719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1152001/https://books.google.com/books?id=rJHU9VZRhjwC&pg=PA133|archive-date=11 April 2016|url-status=live|access-date=27 June 2015}}
{{refend}}

== 추가 참고 도서 목록 ==
 {{참고 자료 시작|30em}}
{{도서관 자료 상자}}
* {{웹 인용|url=http://www.acus.org/files/publication_pdfs/65/2003-08-Transforming_the_NATO_Military_Command_Structure.pdf|제목=Transforming the NATO Military Command Structure: A New Framework for Managing the Alliance's Future|성=Atlantic Council of the United States|날짜=August 200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03015226/http://www.acus.org/files/publication_pdfs/65/2003-08-Transforming_the_NATO_Military_Command_Structure.pdf|보존날짜=3 October 2012|url-status=dead}}
* Axelrod, Robert, and Silvia Borzutzky. "NATO and the war on terror: The organizational challenges of the post 9/11 world." ''Review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1.3 (2006): 293–307.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Silvia_Borzutzky/publication/227307146_NATO_and_the_war_on_terror_The_organizational_challenges_of_the_post_911_world/links/54f78d520cf2ccffe9db4481.pdf online]
* Borawski, John, and Thomas-Durell Young. ''NATO after 2000: the future of the Euro-Atlantic Alliance'' (Greenwood, 2001).
* {{웹 인용|url=http://archives.nato.int/nato-first-5-years-1949-1954-by-lord-ismay-secretary-general-of-north-atlantic-treaty-organization;isad|제목=NATO: The First Five Years|성=Hastings Ismay, 1st Baron Ismay|저자링크=Hastings Ismay, 1st Baron Ismay|날짜=1954|출판사=NATO|위치=Paris|확인날짜=4 April 2017}}
* Hendrickson, Ryan C. "NATO's next secretary general: Rasmussen's leadership legacy for Jens Stoltenberg." ''Journal of Transatlantic Studies'' (2016) 15#3 pp 237–251.
* {{웹 인용|url=http://www.aco.nato.int/resources/21/Evolution%20of%20NATO%20Cmd%20Structure%201951-2009.pdf|제목=Evolution of NATO's Command Structure 1951–2009|성=Pedlow|이름=Dr Gregory W.|웹사이트=aco.nato.int|출판사=NATO ACO|위치=Brussels(?)|확인날짜=18 February 2015}}
* Sayle, Timothy Andrews. ''Enduring Alliance: A History of NATO and the Postwar Global Order'' (Cornell University Press, 2019) [http://www.h-net.msu.edu/reviews/showrev.php?id=54342 online review]
* "NATO at 70: Balancing Collective Defense and Collective Security," Special issue of ''Journal of Transatlantic Studies'' 17#2 (June 2019) pp: 135–267.
* NATO Office of Information and Press, NATO Handbook : Fiftieth Anniversary Edition, NATO, Brussels, 1998–99, Second Reprint, {{ISBN|92-845-0134-2}}
{{참고 자료 끝}}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위키공용|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 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
* {{언어링크|en|fr|ru|uk}} [http://www.nato.int NATO 공식웹사이트]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19980130060520/http://www.nato.int/docu/basictxt/treaty.htm NATO 조약문]


* {{공식 웹사이트}}
{{NATO}}
* {{알자지라 토픽|organisations/nato}}
{{NATO 사무총장}}
* {{Guardian topic}}
{{NATO 군사위원회 위원장}}
* {{가디언 토픽}}
{{SHAPE 최고사령관}}
* {{NYT 토픽}}
{{ACT 최고사령관}}
{{북대서양 조약 기구}}{{둘러보기 상자 묶음}}{{전거 통제}}
{{지역 기구}}
{{테러와의 전쟁}}


{{DEFAULTSORT:Nato}}
{{전거 통제}}


[[분류:북대서양 조약 기구| ]]
[[분류:상위조직]]
[[분류:국제 기구]]
[[분류:냉전]]
[[분류:냉전기의 조약]]
[[분류:브뤼셀의 단체]]
[[분류:브뤼셀의 단체]]
[[분류:1949년 군사사]]
[[분류:소련의 대외 관계]]
[[분류:20세기 군사 동맹]]
[[분류:냉전기의 조약]]
[[분류:반공주의 단체]]
[[분류:21세기 군사 동맹]]
[[분류:21세기 군사 동맹]]
[[분류:20세기 군사 동맹]]
[[분류:1949년 군사사]]
[[분류:북대서양 조약 기구]]
[[분류: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
[[분류: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분류:튀르키예-군사 동맹]]
[[분류:미국-군사 동맹]]
[[분류:영국-군사 동맹]]
[[분류:스페인-군사 동맹]]
[[분류:네덜란드-군사동맹]]
[[분류:루마니아-군사 동맹]]
[[분류:룩셈부르크-군사 동맹]]
[[분류:리투아니아-군사 동맹]]
[[분류:이탈리아-군사 동맹]]
[[분류:헝가리-군사 동맹]]
[[분류:폴란드-군사 동맹]]
[[분류:그리스-군사 동맹]]
[[분류:프랑스-군사 동맹]]
[[분류:에스토니아-군사 동맹]]
[[분류:캐나타]]
[[분류:불가리아-군사 동맹]]
[[분류:벨기에-군사 동맹]]
[[분류:국제 군사 조직]]
[[분류:냉전-기구]]
[[분류:냉전-동맹과 군사 전략]]
[[분류:번역이 검토되지 않은 문서]]

2022년 9월 24일 (토) 15:01 판

북대서양 조약 기구
로고
나토 회원국은 초록색으로 명시되어 있다
원어 명칭
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
약칭NATO, OTAN
결성1949년 4월 4일(75년 전)(1949-04-04)
유형군사 동맹
본부브뤼셀, 벨기에
회원
공식 언어
옌스 스톨텐베르그
롭 바우어 해군 중장, 네덜란드 왕실 해군
크리스토퍼 G. 카볼리 장군, 미국 육군
필립 라빈 장군, 프랑스 항공우주군
비용 (2019년년)US$1조 3,600억[2]
웹사이트www.nato.int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 혹은 북대서양 동맹(나토/; 영어: NATO /ˈnt/; 프랑스어: 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 OTAN)은 30개 회원국(유럽 28개국과 북미 2개국) 간의 군사 동맹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설립된 이 단체는 1949년 4월 4일 워싱턴 D.C.에서 체결된 북대서양 조약을 이행한다.[3][4] 나토는 집단 안보 체계이다(나토의 독립 회원국들은 제3자의 공격으로부터 서로를 방어하는 데 동의한다). 냉전 기간 동안 나토는 소련이 제기하는 위협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이 동맹은 소련이 해체된 후에도 유지되었고 발칸 반도, 중동, 남아시아, 아프리카에서의 군사 작전에 관여해 왔다.

나토의 주요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있으며, 나토의 군사 본부는 벨기에 몽스 근처에 있다. 이 동맹은 동유럽에 나토 대응군을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모든 나토 회원국의 연합군에는 약 350만 명의 군인과 병력이 포함되어 있다.[5] 2020년 총 군사비 지출은 전 세계 명목 총액의 57% 이상을 차지했다.[6] 회원국들은 자신들의 목표가 2024년까지 국내총생산의 최소 2%의 국방비 목표를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7][8]

나토는 12개 창립 회원국으로 구성됐으며, 8차례 새 회원국을 추가했으며, 가장 최근인 2020년 3월 북마케도니아가 가입했다. 핀란드스웨덴은 2022년 6월 가입 신청을 받아들인 데 이어 31번째, 32번째 회원국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북대서양 조약 가입 의정서가 기존 회원국의 비준을 받고 있다. 나토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루지야, 우크라이나도 후보국으로 인지하고 있다.[3] 나토의 확장은 나토의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 프로그램에 추가로 참여하는 20개국 중 하나인 비회원국 러시아와의 긴장을 초래했다. 또 다른 19개국은 나토와의 제도화된 대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역사

됭케르크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냉전이 시작된 1947년 3월 4일 프랑스영국이 독일이나 소련의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 동맹과 상호원조 조약으로 체결한 조약이다. 1948년 3월, 브뤼셀 조약에서 베네룩스 국가들을 포함하도록 동맹이 확대되었고, 브뤼셀 조약 기구가 형성되었다.[9]트루먼 독트린 아래 1948년 2월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와 같은 공산주의의 침략에 대항하여 국제적 연대를 촉진했던 외교 정책과 북미를 포함할 수 있는 더 넓은 군사 동맹을 위한 회담이 그 달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이 회담은 1949년 4월 4일 미국, 캐나다, 포르투갈, 이탈리아,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와 함께 북대서양 조약에 서명하는 결과를 낳았다.[10] 캐나다 외교관 레스터 B. 피어슨은 그 조약의 주요 저자이자 초안자였다.[11][12][13]

A long rectangular room with multiple rows of seated individuals on each side, and flags hanging at the far end.
서독은 1955년에 나토에 가입했고, 이는 냉전 기간 동안 경쟁 국가인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성립으로 이어졌다.

북대서양 조약은 한국전쟁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설립을 개시하여 통합된 군사구조로 이행하기 전까지 대부분 잠잠했다. 1951년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SHAPE)가 창설되면서[14]장비 표준화 협정, 유럽 주둔 외국군 주둔 협정 등 서방 연합군의 많은 군사 구조와 계획이 채택되었다. 1952년 나토 사무총장이 조직의 민간인 수장으로 성립되었다 .그 해 나토의 첫 주요 해상 훈련인 메인브레이스 훈련과 그리스와 튀르키예의 가입이 있었다.[15][16] 런던과 파리 회담 이후, 서독은 1955년 5월 나토에 가입하면서 군사적으로 재군비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소련이 바르샤바 조약을 체결한 주요 요인이었으며 냉전의 대립 측면을 보여준다.[17]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은 40만 명의 미군이 유럽에 주둔했을 때 냉전의 긴장의 극치를 기록했다[18] 유럽 국가들(1966년 프랑스의 독립적인 핵 억지력의 개발과 나토의 군사 구조에서 프랑스의 철수를 초래한 사건)과 미국 사이의 관계의 강도에 대한 의구심은 소련의 침공에 대한 나토 방어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과 함께 가라앉았다. [19][20] 이후 1982년 신생 민주주의 국가인 스페인이 동맹에 가입했다.[21]

1989년 유럽 혁명은 나토의 목적, 성격, 과제, 그리고 그 대륙에 대한 집중에 대한 전략적 재평가로 이어졌다. 1990년 10월 동독독일 연방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1990년 11월 소련과 파리에서 유럽 재래식 무력에 관한 조약(CFE)을 체결했다. 1991년 2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붕괴되고 그해 12월 소련이 해체되면서 나토의 실질적인 주요 적대국들이 제거되면서 대륙 전체에 걸쳐 구체적인 군사 감축이 요구되었다.[22] 이는 유럽의 군사비 지출과 장비들을 감소시키기 시작했다. CFE 조약은 서명국들이 다음 16년 동안 52,000개의 재래식 무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23] 1990년부터 2015년까지 나토 유럽 회원국들의 군사 지출이 28% 감소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24] 1990년 몇몇 서방 지도자들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나토가 더 이상 동쪽으로 확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했다.[25][26][27][28] 그러나 그해 말에 체결된 독일과의 최종 합의에 관한 조약의 최종 문서에는 동쪽 확장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Two tall concrete sections of a wall in a grass lawn in front of a curved building with blue-glass windows.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유럽에서 나토의 역할의 전환점이 되었고, 장벽의 한 부분은 현재 나토 본부 밖에 전시되어 있다.

1990년대에 나토는 활동을 이전에는 관심사가 아니었던 정치적, 인도적 상황으로 확장했다.[29]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는 동안, 이 조직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보스니아에서 첫 군사 개입을 수행했고, 이후 1999년에 유고슬라비아에서 군사 개입을 수행했다.[30] 이러한 갈등은 냉전 이후의 주요 군사 구조조정에 동기를 부여했다. 나토의 군사 구조는 축소되고 재편성되었으며, 연합신속대응군단과 같은 새로운 병력이 창설되었다. 이는 1999년 이스탄불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유럽 재래식 무장 조약에서 CFE 조약이 인정된 이후 소련의 유럽 내 군사 균형에 대한 붕괴에 따른 변화이다.

정치적으로, 그 조직은 새로운 중앙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더 나은 관계를 추구했고, 1994년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과 지중해 대화 계획을 포함한 냉전 이후 이 기간 동안 나토와 그 주변국 간의 지역 협력을 위한 외교 포럼이 설립되었다. 1997년 나토 파트너십 협의회와 1998년 러시아 상설공동위원회가 출범했다. 1999년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헝가리, 폴란드, 체코가 나토에 공식적으로 가입했고, 이 기구는 개별화된 "회원국 행동 계획" 과 함께 새로운 가입 지침을 발표했다. 2004년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2009년 알바니아크로아티아, 2017년 몬테네그로, 2020년 북마케도니아 등 새로운 동맹 회원국을 추가했다.[31] 2007년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프랑스의 군사 지위가 크게 개선되었고, 2009년 4월 4일 정회원국으로 복귀하면서 프랑스는 독자적인 핵 억지력을 유지하면서 프랑스는 나토에 가입하였다.[20][32][33]

북대서양 조약 제5조는 회원국이 무력 공격을 받는 모든 회원국의 도움을 받도록 하는 조항으로, 9.11 테러 이후 처음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발동되었으며,[34] 그 후 나토가 주도하는 ISAF의 군대가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973호에 따라 이라크에 훈련병 파견, 해적 퇴치 작전 지원,[35]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시행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은 나토 국가들의 강력한 규탄으로 이어졌고,[36] 나토 회원국 간 협의를 요구하는 북대서양 조약 제4조가 발동된 7차례 중 하나였다. 이전 발동 시기는 이라크 전쟁시리아 내전 기간이었다.[37] 2014년 웨일스 정상회담에서 나토 회원국 정상들은 2024년까지 국내총생산의 최소 2%에 해당하는 금액을 국방비로 지출하기로 공식적으로 약속했다..[38] 2016년 바르샤바 정상회담에서 나토 국가들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에 4개의 다국적 대대 규모의 전투단을 배치하는 나토의 개선된 전방 주둔군(EFP) 창설에 합의했다. .[3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후로 나토의 여러 나라가 연합군의 동쪽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지상군, 군함, 전투기를 보냈고, 여러 나라가 다시 북대서양 조약 제4조를 발동했다.[40][41][42]2022년 3월, 나토 정상들은 브뤼셀에서 G7 정상들과 유럽 연합 지도자들이 참여한 임시 정상회담을 위해 만났다.[43]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은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슬로바키아에 4개 전투단을 추가로 설립하기로 합의했으며,[39]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역사상 처음으로 나토 대응군이 가동됐다.[44]

2022년 6월, 나토는 러시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2500km 길이의 동부 측면을 따라 40,000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불가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에 배치되었으며, 5개국은 259,000명의 전 나토 군대를 소집한다. 불가리아 공군을 보충하기 위해 스페인은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보냈고, 네덜란드는 F-35 라이트닝 II 공격기 8대를 보냈으며, 프랑스와 미국의 공격기도 곧 도착할 예정이다.[45]

군사 작전

초기 작전

냉전 기간 동안 나토에 의해 수행된 군사 작전은 없었다. 냉전 종식 후, 1990년 앵커가드 작전과 1991년 에이스가드 작전은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촉발되었다. 터키 남동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공중조기경보기가 파견되었고, 이후 신속대응부대가 이 지역에 배치되었다.[4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개입

A fighter jet with AV marked on its tail takes off from a mountain runway.
스레브레니차 대학살 이후 신중한 군사 작전 중 공중폭격을 가하는 나토 항공기들

보스니아 전쟁은 1992년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의 결과로 시작되었다. 상황이 악화되자 1992년 10월 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816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에 비행 금지 구역을 명령했고, 나토는 1993년 4월 12일 비행 거부 작전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1993년 6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샤프 가드 작전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와 경제 제재를 해상 집행 목적으로 추가됐다. 1994년 2월 28일, 나토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계 항공기 4대를 격추하여 첫 전시 행동을 취했다.[47]

1994년 4월 10일과 11일, 유엔 보호군은 고라즈데 안전지대를 보호하기 위해 공습을 가했고, 나토의 지휘를 받는 미군 F-16 전투기 2대가 고라즈데 근처에 있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군 사령부 전초기지를 폭격했다.[47] 이에 대한 보복으로 세르비아는 4월 14일 유엔 요원 150명을 인질로 잡았다.[48][49] 4월 16일, 영국 해병대 소속 시 해리어 한 척이 세르비아군에 의해 고라즈데 상공에서 격추되었다.[50]

1995년 8월, 스레브레니차 집단 학살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대한 나토의 폭격 작전이 시작되었다. .[51] 나토의 추가 공습은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종식시켰고, 1995년 11월 데이턴 협정이 체결되었다.[51] 이 협정의 일부로서, 나토는 합동 노력 작전 하에 IFOR라는 이름의 유엔이 위임한 평화 유지군을 배치했다. 약 60,000명의 나토군이 이 평화 유지 임무에 비 나토 국가로부터 온 병력과 합류했다. 이 작전은 소규모의 SFOR로 전환되었는데, 처음에는 32,000명의 병력으로 시작하여 1996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운영되었다.[52] 회원국의 지도에 따라, 나토는 이러한 작전에 대해 나토 훈장을 수여하기 시작했다.[53]

코소보 개입

Three trucks of soldiers idle on a country road in front of trees and red-roofed houses. The rear truck has KFOR painted on is back.
1999년 코소보 남부에서 순찰 중이던 독일 KFOR 병사들
2019년 코소보 미트로비차 이바르 다리 앞에서 KFOR-MSU의 카라비니에리 순찰

1998년 9월 2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코소보에서 세르비아 주도의 KLA 분리주의자들과 알바니아 시민들에 대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탄압을 막기 위해 결의안 1199호를 통과시켰다. 1999년 3월 23일 미국 특사 리처드 홀브룩의 협상은 결렬되었고,[54] 그는 이 문제를 나토에 넘겨 1999년 3월 24일 78일간의 폭격 작전을 시작했다.[55] 연합군은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군사력을 목표로 삼았다. 나토는 코소보 난민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하기 위해 국제 대응부대 중 하나인 ACE 기동부대(육상)를 알바니아군(AFOR)으로 알바니아에 배치하기도 했다.[56]

비록 이 작전은 큰 규모의 민간인 피해와 베오그라드에 있는 중국 대사관에 폭탄 피해가 생겼음에도, 1999년 6월 3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코소보 전쟁을 종식시킨 국제 평화 계획의 조건을 받아들였다. 6월 11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유엔 결의안 1244호를 수락했다. 이로 거의 100만 명의 난민이 코소보를 탈출했고, 이때 KFOR의 임무 중 일부는 폭력을 막는 것 외에도 인도주의적 임무를 보호하는 것이었다.[56][57] 2001년 8월부터 9월까지, 이 동맹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알바니아계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는 임무인 필수적 수확 작전을 개시했다.[58] 2013년 12월 1일부터 31개국을 대표하는 4,882명의 KFOR 장병들이 이 지역에서 계속 활동하고 있다.

미국, 영국, 그리고 대부분의 나토 국가들은 1999년 세르비아에 대한 조치와 같은 나토 군사 공격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승인하도록 요구하는 노력에 반대했고, 프랑스 등은 이 동맹에 유엔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59] 미국과 영국 측은 "이것이 동맹의 권위를 손상시킬 것이고, 이에 러시아와 중국이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공격을 막기 위해 안보리 거부권을 행사했을 것이며, 나토의 개입이 필요한 미래 분쟁에서도 같은 행동을 할 수 있어 조직의 전체 역량과 목적을 무효화할 수 있다" 고 언급했다. 냉전 이후의 군사 환경을 인식한 나토는 1999년 4월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분쟁 예방과 위기 관리를 강조하는 동맹 전략 개념을 채택했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A monumental green copper statue of a woman with a torch stands on an island in front of a mainland where a massive plume of grey smoke billows among skyscrapers.
미국의 9·11 테러는 나토가 처음으로 집단방위조항을 발동하게 만들었다.

미국의 9·11 테러는 나토가 사상 처음으로 나토 헌장 5조를 발동하게 만들었다.[60] 이 조항은 어떤 멤버에 대한 공격이 모든 멤버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2001년 10월 4일, 북대서양 조약에 따라 나토가 이 공격이 실제로 자격이 있다고 판단했고 이는 승인되었다.이 공격에 대응하여 나토가 취한 8가지 공식 행동에는 테러범이나 대량살상무기의 이동을 막기 위해 고안된 지중해에서의 해군 작전인 이글 어시스트 작전과 액티브 엔데버 작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2001년 10월 4일에 개시되었다.

2003년 4월 16일, 나토는 42개국의 군대를 포함한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지휘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정은 합의 당시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이끌던 독일과 네덜란드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으며, 나토 대사 19명 전원이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8월 11일, 나토가 북대서양 지역 밖에서 임무를 맡은 것은 나토 역사상 처음이다. 

오스틴 S 밀러 장군(오른쪽)은 2018년 9월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과 나토군 사령관이 돼 2021년 7월까지 철수를 감독했다.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당초 탈레반, 알카에다, 파벌 군벌로부터 카불과 주변 지역을 확보해 하미드 카르자이가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국 수립을 허용하는 임무를 맡았다. 2003년 10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국제 안보 지원군(ISAF)의 임무를 아프가니스탄 전역으로 확대할 것을 승인했고,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이후 4개의 주요 단계로 임무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2006년 7월 31일,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미국이 이끄는 반테러 연합군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의 군사 작전을 추가로 인계 받았다.[61] 남부에서의 전투가 격렬했기에 2011년 프랑스는 동맹을 지원하기 위해 다소 미라주 2000 전투기와 공격기 편대를 칸다하르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했다.[62] 2012년 시카고 회담에서 나토는 2014년 12월 말까지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끝내고 나토가 이끄는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해체하는 계획을 승인했다.[63] 2014년 12월,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은 해체되었고 후속 훈련인 확고한 지원 임무로 대체되었다.[64]

2021년 4월 14일, 나토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그는 나토 동맹이 5월 1일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65] 나토군의 철수가 시작된 직후 탈레반은 무너진 아프간군 앞에서 빠르게 진격하며 아프간 정부를 향한 공세를 펼쳤다.[66] 2021년 8월 15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방위군은 아프가니스탄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수도 카불을 포위했다.[67] 나토 회원국의 일부 정치인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서방군의 혼란스러운 철수와 아프간 정부의 붕괴를 나토가 건국 이래 겪은 가장 큰 재앙이라고 묘사했다.[68][69]

이라크 훈련 임무

2004년 8월, 이라크 전쟁 당시, 나토는 미국이 이끄는 이라크 다국적군(MNF-I)과 함께 이라크 보안군을 지원하기 위한 훈련 임무인 나토 이라크 훈련 임무 작전을 수립했다.[70] 나토 이라크 훈련 임무 작전에 따른 이라크 다국적군(NTM-I)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546호의 규정에 따라 이라크 임시정부의 요청에 따라 창설되었다. 이라크 다국적군(NTM-I)의 목적은 이라크 보안군의 훈련 구조와 기관 개발을 지원하여 이라크가 국가의 요구에 부응하고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라크 다국적군(NTM-I)은 전투 임무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북대서양 평의회의 정치적 통제 하에 별개로 운영됐다. 운영 상의 중점은 훈련과 멘토링이었다. 임무의 활동은 이라크 당국과 미국이 이끄는 부사령관 자문 및 훈련과 함께 조정되었다. 이 임무는 2011년 12월 17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71]

튀르키예는 2003년 이라크 전쟁이 시작될 때 북대서양 조약 4조에 따른 첫 회의를 소집했다. 터키는 2012년 시리아 내전 당시에도 두 차례나 이 조항을 인용했고, 비무장 튀르키예 F-4 정찰기가 격추된 뒤, 시리아에서 튀르키예를 향해 박격포가 발사됐고,[72] 2015년에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영토 보전에 대한 이슬람 국가의 위협이 있은 뒤 이 조항을 인용했다.[73]

아덴만 해적 퇴치

A tall plume of black smoke rises from the blue ocean waters next to a large grey battleship and a small black inflatable boat.
2010년 3월 USS 패러거트가 소말리아 해적선을 파괴하는 모습.

2009년 8월 17일부터 나토는 소말리아 해적들로부터 아덴만과 인도양의 해상 교통을 보호하고, 지역 국가들의 해군과 해안 경비대를 강화하기 위한 작전에 군함을 배치했다. 이 작전은 북대서양 평의회에 의해 승인되었고, 주로 미국에서 온 전함들이 참여하였다. 오션 실드 작전은 소말리아에서 세계식량계획 임무의 일환으로 원조를 배급하던 연합군 제공자 작전의 선박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러시아, 중국, 한국도 이 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군함을 보냈다.이 작전은 해적들의 공격을 저지하고 선박을 보호하며 이 지역의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리비아 개입

Pieces of a destroyed tank, notably the gun turret, lie on a sandy landscape.
2011년 3월 벵가지 인근에서 프랑스 공군에 의해 파괴된 리비아 육군의 팔마리아 자주포

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령 휘하의 시위대와 리비아 정부 사이의 폭력은 고조되었고, 2011년 3월 17일 휴전을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973호가 통과되었고,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 행동을 승인했다. 3월 19일, 나토 회원국들의 연합군은 프랑스 공군아르마탕 작전을 시작으로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 시행을 시작했다.

2011년 3월 20일, 나토 회원국들은 리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74][75] 나토는 "불법 무기나 용병을 운반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감시하고, 보고하고, 필요하다면 차단하겠다."라고 말했다.[74]

3월 24일, 나토는 초기 연합군으로부터 비행금지 구역을 통제하기로 합의했고, 지상부대를 목표로 하는 지휘권은 연합군의 손에 있었다.[76][77] 나토는 2011년 3월 27일 카타르아랍에미리트의 지원을 받아 유엔 결의안을 공식 시행하기 시작했다.[78] 6월까지 28개 회원국 중 8개 회원국만이 전투 작전에 참여하면서[79] 동맹 내 분열 보고가 표면화되면서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과 폴란드, 스페인, 네덜란드, 튀르키예, 독일 등이 대립했고 게이츠는 독일이 더 많은 기여를 요구하는 것과 조직 분쟁에 대해서 자신의 권한을 초과했다고 했다.[80] 6월 10일 브뤼셀에서 열린 자신의 마지막 정책 연설에서 게이츠는 동맹국들의 행동이 나토의 종말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동맹국들을 더욱 비판했다. 독일 외무부는 "독일이 나토와 나토 주도의 작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이 작전을 너무 높이 평가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임무가 9월까지 연장되는 동안, 노르웨이는 6월 10일 지원금 규모를 축소하고 8월 1일까지 철수를 완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주 초 덴마크 공군기들의 폭탄이 바닥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81] 그 다음 주, 영국 왕립해군의 수장은 분쟁에서 국가의 작전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82] 2011년 10월,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령이 사망한 후 작전이 끝날 때까지 나토 항공기는 친카다피 목표물에 대해 약 9,500회의 폭격을 감행했다.[83][84] 2012년 5월 국제인권감시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적어도 72명의 민간인이 이 작전으로 사망했다고 한다.[85]

2013년 10월 쿠데타 시도에 이어 알리 자이단 리비아 총리는 나토에 지속적인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자문과 지도원을 요청했다.[86]

회원국

A world map with countries in blue, cyan, orange, yellow, purple, and green, based on their NATO affiliation.
2010년 11월 리스본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서 압둘라 굴 튀르키예 전 대통령과 다른 지도자들과 함께 있는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

나토는 주로 유럽과 북미에 30개의 회원국을 두고 있다. 이들 국가 중 일부는 북대서양 조약 제6조에 따라 나토의 '책임 지역'을 규정한 대서양 북회귀선까지만 남하할 수 있는 여러 대륙에 영토를 가지고 있다. 원래 조약 협상에서 미국은 벨기에령 콩고와 같은 식민지는 조약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87][88] 하나 프랑스령 알제리는 1962년 7월 3일 독립할 때까지 통치되었다.[89] 30개국 중 12국은 1949년에 가입한 원회원이고, 나머지 18국은 8차례 확대 회의들 중 하나에서 가입했다.

미국이 나토 방위비의 4분의 3을 차지하나[90] 국내총생산의 2% 이상을 국방비로 쓰는 회원국은 거의 없다.[91]

특별 계약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등 나토에 가입했던 북유럽 3개국은 항구적인 평시 기지는 없을 것이며, 핵탄두는 불허하며, 연합국 군사활동(초청되지 않는 한)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세 가지 분야에 대한 참여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하나 덴마크는 미 공군이 그린란드에 있는 툴레 공군기지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다.[92]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프랑스는 나토로부터 독립하는 군사 전략을 추구했다.[93] 니콜라 사르코지는 2009년 프랑스의 통합군 사령부 복귀와 국방계획위원회 복귀를 협상했다. 프랑스는 나토의 핵 계획 그룹에 참여하지 않은 유일한 나토 회원국으로 남아 있으며 미국과 영국과는 달리 핵무장 잠수함을 동맹에 맡기지 않을 것이다.[20][32]

확장

A map of Europe with countries labelled in shades of blue, green, and yellow based on when they joined NATO.
나토는 독일의 통일과 냉전 종식 이후 14개의 새로운 회원국을 추가했다.

동맹 가입은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에 따라 관리되며, 각 회원국의 승인이 필요하다. 나토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핀란드, 스웨덴 등 3개 후보국을 보유하고 있다. 2019년 2월, 2020년 3월 27일에 북마케도니아는 나토 회원국이 되기 위한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고 2020년 3월 27일,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94][95] 2018년 프레스파 협정에 의해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으로 그리스에 의해 가입이 차단되었다.[96] 이 과정에서 서로를 지원하기 위해 이 지역의 새로운 회원국과 잠재적 회원국은 2003년에 아드리아 헌장을 만들었다. [97] 조지아는 또한 후보국으로 지명되었고, 2008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정상회담 동안 "미래 회원국"을 약속 받았지만,[98] 2014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국가가 현재 회원국으로 가는 길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99]

우크라이나와 나토 및 유럽 간의 관계는 정치적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이러한 관계 개선은 2014년 친러시아 성향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축출된 '유로마이단' 시위의 목표 중 하나였다.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8개국 중 하나로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을 가지고 있다[100] 개별 파트너십 실행 계획(IPAP)은 2002년에 시작되었으며, 나토와의 관계를 발전 시킬 정치적 의지와 능력을 가진 국가들에 개방되어 있다. 2019년 2월 21일, 우크라이나 헌법이 개정되었고, 유럽 연합과 나토 가입을 위한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경로에 대한 규범이 기본법, 3개 조항 및 과도 조항 전문에 명시되어 있다. [101] 나토 정상들은 2021년 6월 브뤼셀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가 맴버십 실행 계획(MAP)의 회원국이 될 것이며, 우크라이나가 외부의 간섭 없이 자신의 미래와 외교 정책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결정을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회의에서 반복했다.[102] 2021년 11월 3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나토의 우크라이나 주둔 확대, 특히 러시아 도시나 루마니아, 폴란드와 유사한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타격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의 배치는 러시아에게 "레드라인"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103][104][105] 푸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나토가 동쪽으로 확장하거나 "러시아 영토와 가까운 곳에 우리를 위협하는 무기 체계"를 두지 않을 것이라는 법적 보장을 요청했고, [106]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와 나토 동맹국 30개국만이 나토 가입 준비를 마쳤다. 러시아는 거부권이 없고, 발언권이 없으며, 러시아는 이웃 국가들을 통제하기 위해 세력권을 설정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107][108]

러시아는 소련의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유럽 및 미국 협상가들 사이의 평화적 독일 통일을 허용한 비공식적인 이해와 모순된다고 보고 정치적으로 계속 반대했다.[109] 나토의 확장 노력은 종종 러시아를 포위하고 고립시키려는 냉전 시도의 연장으로 모스크바 지도자들에게 보여지지만,[110] 이는 서방에서도 비판을 받았다.[111] 2016년 6월 레바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의 68%가 발트 3국과 러시아와의 국경을 맞대고 있던 과거 동구권 국가들인 폴란드에 나토군을 배치하는 것이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2] 반면 2017년 퓨 리서치 센터 보고서에서 조사된 폴란드인의 65%는 러시아를 "주요 위협"으로 지목했으며,[113] 전체 나토 국가에서 평균 31%가 그렇게 답했다. 2018년 조사된 폴란드인의 67%는 폴란드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선호했다.[114] 2016년 갤럽이 조사에 따르면 동유럽에서 비 독립국가연합(CIS) 국가인 세르비아몬테네그로를 제외한 모든 국가는 나토를 위협이라기보다는 보호동맹으로 볼 가능성이 높았다.[115] 2006년 안보 연구 저널의 한 연구는 나토의 확대가 중부 및 동유럽의 민주적 통합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116]

나토의 확장에 대해 중국도 반대 입장을 표하고 있다.[117]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A crowd of people in winter coats march past a white domed church above a set of snowy stairs, some carrying signs and blue and yellow Ukrainian flags.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하는 시위대헬싱키 원로원 광장에 있는 알렉산드르 2세 동상을 지나 행진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핀란드스웨덴에서 나토 가입을 찬성하는 여론이 크게 흔들리면서 처음으로 나토 가입을 반대하는 국민보다 나토 가입을 지지하는 국민이 더 많았다. 2022년 3월 30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핀란드 국민의 61%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1일 여론조사에 따르면 스웨덴 국민의 약 51%가 나토 가입을 찬성한 반면 27%는 반대했다.[118][119]4월 중순, 핀란드와 스웨덴 정부는 나토 가입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핀란드 정부는 이 사안에 대한 보안 보고서를 의뢰했다.[120][121] 두 북유럽 국가가 추가되면 북극, 북유럽, 발트해 지역에서 나토의 역량이 크게 확대될 것이다.[122]

2022년 5월 15일 핀란드 정부는 핀란드 의회의 허가를 조건{5월 17일 의회 투표 결과:188(찬성)-8(반대)}으로 나토 가입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23] [124] 스웨덴 총리 마그달레나 안데르손도 5월 17일에 나토 가입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고,[125] 핀란드와 스웨덴은 5월 18일에 정식으로 나토 가입을 신청했다.[126] 그러나 튀르키예는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하는 것에 대한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튀르키예가 테러단체로 지정한 쿠르디스탄 노동자당(PKK)과 인민수호부대(YPG)를 핀란드와 스웨덴이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2022년 6월 28일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서 터키는 핀란드와 스웨덴의 가입 신청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127][128] 7월 5일, 30명의 나토 대사는 스웨덴과 핀란드의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고, 6월 28일 나토 정상회의의 결정을 공식 승인했다.[129] 월 17일 현재 슬로바키아, 헝가리, 튀르키예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비준했다.[130]

나토 방위비 예산

지난 몇 년간 나토 회원국의 증가는 국방비의 증가로 지속되지 않았다.[131]나토 회원국들은 국방예산의 감소를 우려하여 재정 형평성 약속을 개선하고 재정 지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014년 웨일스 정상회의에서 국방 투자 서약을 제정하기 위해 만났다. [132][133] 회원국들은 2024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의 최소 2%를 국방에, 국방예산의 20%를 국방 연구개발에 배정하는 등 주요 장비에 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134]

국방 투자 공약 이행은 회원국의 법적 구속력 있는 의무 부재, 유럽연합 재정법, 회원국의 국내 공공지출 우선순위, 정치적 의지로 인해 방해를 받고 있다.[135][136] 2020년 18개 나토 회원국은 주요 장비에 대한 20% 기여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2021년 8개 회원국은 국방비에 대해 국내총생산(GDP) 기여율 2% 목표를 달성했다.[137] 웨일즈 권고사항 준수 개선은 러시아 연방이 제기하는 회원국의 안보에 대한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촉진된다.

제3국과의 파트너십

Hundreds of soldiers in military uniforms stand behind a line on a tarmac with 14 flags held by individuals at the front.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은 2007년 7월 트빌리시에서 나토 12개의 회원국들의 500명의 군인과 지중해 대화 참가자인 요르단이 참여다국적 군사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이다.[138]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은 1994년에 설립되었으며 각 파트너 국가와 나토 간의 개별적인 양자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139] 해당 회원국은 독립국가연합의 현재 및 이전의 모든 회원국을 포함한다.[140] 유럽-대서양 파트너십 이사회(EAPC)는 1997년 5월 29일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50명의 참가국들 간의 정기적인 조정, 협의, 대화를 위한 포럼이다[141]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은 유럽-대서양 파트너십의 운영 부서로 간주된다.[139] 아프가니스탄과 다른 제3국들도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체제의 일부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의사를 표했다.[142]

유럽 연합(EU)은 2002년 12월 16일 베를린 추가 협정에 따라 나토와 포괄적인 협정을 체결했다. 이 합의로 유럽 연합(EU)은 나토 스스로가 행동하기를 원하지 않는 조건, 이른바 "우선매수청구권"을 조건으로 국제 위기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행동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나토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졌다.[143] 예를 들어, 1982년 리스본 조약의 42조 7항은 "회원국이 그 영토에 대한 무력 침략의 피해자일 경우, 다른 회원국들은 그들의 권한에 있는 모든 수단을 통한 원조와 책임 의무를 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 조약은 전 세계적으로 지정된 영토에 적용되는 반면 나토는 제6조에 따라 북회귀선 이북의 작전에 제한된다. 그것은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과 연계된 유럽 연합(EU) 국가들을 위한 "이중 체제"를 제공한다.

또한, 나토는 수많은 비 나토 회원국과 협력하고 활동을 논의하고 있다. 지중해 대화 계획은 이스라엘 및 북아프리카 국가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해 1994년에 수립되었다. 이스탄불 협력 구상은 2004년에 지중해 대화와 같은 노선을 따라 중동을 위한 대화 포럼으로 발표되었다. 여기서 네 국가들이 걸프 협력 회의를 통해서도 연관되어 있다.[144]2018년 6월, 카타르는 나토에 가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145] 그러나 나토는 북대서양 조약 제10조에 따라 유럽 국가만 추가로 가입할 수 있다고 말하며 가입을 거부했다.[146] 카타르와 나토는 앞서 2018년 1월 안보협정에 함께 서명한 바 있다.[147]

일본과의 정치적 대화는 1990년에 시작되었고, 그 이후로 동맹은 이러한 협력 구상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은 국가들과의 접촉을 점차 늘려왔다..[148] 1998년 나토는 공식적인 관계 제도화를 허용하지 않지만 협력을 늘리려는 연합국의 열망을 반영하는 일련의 일반 지침을 수립했다. 광범위한 논쟁 끝에 2000년 연합국이 "연락 국가"라는 용어를 동의하였다. 2012년까지 연합은 "전 세계 파트너" 또는 "글로벌 파트너"라는 이름으로 해적 퇴치 및 기술 교류와 같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모임을 넓혔다.[149][150] 연락 국가인 호주와 뉴질랜드도 AUSCANNZUKUS 전략동맹의 회원국으로 연락 국가와 나토 회원국 간의 유사한 지역적 또는 양자적 협정 또한 협력에 도움을 주고 있다. 옌스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은 나토가 호주, 뉴질랜드, 일본, 한국과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중국의 부상"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151] 콜롬비아는 나토의 최신 파트너이며 콜롬비아는 나토가 파트너에게 제공하는 모든 협력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콜롬비아는 나토와 협력한 최초와 유일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되었다.[152]

구조

2010년 나토 이사회는 국방 및외교장관 구성을 가지고 소집되었다.

나토의 모든 기관 및 조직은 민간 행정 또는 군사 행정 역할로 통합된다. 대부분 동맹 전체의 안보 역할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민간 조직:

  • 북대서양 평의회(NAC)는 나토의 상임이사국 대표나 상급 대표(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국가원수, 정부 수반)로 구성된 기구이다. 북대서양 평의회(NAC)는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회의를 열고 나토의 정책에 관한 주요 결정을 내린다. 북대서양 평의회(NAC)의 회의는 사무총장이 의장을 맡고, 결정이 내려질 때 조치가 합의된다.[153] 다수결에 의한 투표나 결정은 없다. 의회 또는 하위 위원회에 대표되는 각 국가는 자신의 결정에 대한 완전한 주권과 책임을 유지한다.
  • 나토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시 레오폴드 3세 거리에 위치해 있다.[154] 본부의 직원은 회원국의 국가 대표단으로 구성되며, 민간 및 군사 연락 사무소와 장교 또는 파트너 국가의 외교 공관 및 외교관, 그리고 회원국의 군대 구성원으로 충원된 국제 참모와 국제 군사 참모들이 포함된다.[155] 비정부 단체들도 대서양 위원회 및 대서양 조약 협회 운동의 기치 아래 나토를 지지하며 성장했다.[156][157]

군사 조직:

  • 군사위원회(MC)는 나토 회원국의 국방참모총장(CHOD)으로 구성된 나토 산하 기구로 북대서양 평의회(NAC)에 군사 정책 및 전략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국방참모총장(CHOD)은 상임이사국(MilRep)에 의해 군사위원회(MC)에서 정기적으로 대표되며, 이는 종종 2성 또는 3성 기수 장교들로 구성되어 있다. 평의회와 마찬가지로 군사위원회도 때때로 더 높은 수준에서, 즉 각 국가의 군대에서 가장 고위 군 장교인 국방장관의 수준과 회의를 진행 한다. 군사위원회(MC)는 나토의 군사 작전을 지휘하는 의장에 의해 이끌어 진다.  프랑스는 1966년 나토의 군사지휘구조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하여 군사위원회(MC)는 2008년까지프랑스를 제외했다. 프랑스가 나토에 가입하기 전까지는 국방계획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나토 회원국과 분쟁이 발생했다.[158] 이라크 자유 작전의 전개가 그 예시이다.[159] 위원회의 운영 업무는 국제군 참모진의 지원을 받는다.
  •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ACO)는 전 세계 나토 작전을 담당하는 나토 사령부이다.[160]
    • 신속배치군단에는 유럽군단, 제1군단(독일-네덜란드), 북동부 다국적군단, 나토군 신속배치군단(이탈리아), 해군 고등대비군(HRF)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군단들 모두 연합군 사령부에 보고된다.[161]
  • 연합변혁사령부(ACT), 나토군의 변혁과 훈련을 담당한다.[162]

나토의 조직 및 기관:

  • 나토 지원 및 조달 기관 본부는 룩셈부르크, 카펠렌에 있다.
  • 나토 통신 정보 기관 본부는 브뤼셀에 있으며 나토 조달 기구를 설계할 극소수의 직원들도 브뤼셀에 있다.
  • 나토 과학기술 기구는 2012년 6월 30일 창설 됐으며, 여기에는 수석 과학자, 협업 S&T 프로그램 사무소, 그리고 나토 해저 연구 센터(NURC)가 포함된다.
  • 2014년 7월 나토 표준화 기구는 나토 표준화 사무소(NSO)가 되었다.[163]

나토 의회(NATO PA)는 매년 2차례 열리는 나토의 전략적 목표를 폭넓게 정하는 기구다. 나토 의회(NATO PA)는 상임이사국 또는 나토 대사를 임명하는 회원국 정부의 의회 구조와 직접 상호 작용한다. 나토 의회는 북대서양 동맹 회원국 의원들과 13명의 준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나토와는 다른 구조이며, 나토 이사회의 안보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나토 국가 대표들과 함께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토 군사령관의 법적 권위

나토는 30개 주권국가로 구성된 동맹국이며 그들의 개별 주권은 동맹 참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나토는 의회도 없고, 법도 없고, 집행도 없으며, 개별 시민을 처벌할 권한도 없다. 이러한 주권 부족의 결과로 나토 사령관의 권력과 권한은 제한된다. 나토 지휘관들은 합법적인 명령을 따르지 않거나, 의무를 태만히 하거나, 고위 장교에 대한 무례와 같은 범죄를 처벌할 수 없다.[164] 나토 지휘관들은 복종하기를 기대하지만 때로는 통일 군사 재판법(UCMJ)처럼 주권적 행동강령의 적용을 받는 관계자들에게 자신들의 욕망이나 계획을 확고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165]

나토 사령부는 작전계획(OPLAN), 작전명령(OPORDER), 전술방향, 단편명령(FRAGO) 등의 형태로 부하 지휘관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공동 교전 규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국제인도법은 항상 지켜져야 한다. 작전 자원은 국가 지휘하에 있지만 일시적으로 나토에 이관되었다. 비록 이러한 국가 단위의 명령들은, 공식적인 권한 이양 과정을 통해, 나토 사령관의 작전 지휘와 통제 하에 놓였지만, 회원국들은 결코 그들의 국가적인 성격을 잃지 않는다. 국방참모총장(CDS)과 같은 고위 국가 대표들은 소위 '레드카드 보유자'로 간주된다. 레드카드는 국가별로 열거된 제한 사항을 말하며 나토 사령관은 이에 대해 고려할 의무가 있다.[164]

회원국 지원

나토는 회원국 전체에서 대중의 지지를 받고 있다.[166]

참조

유사 기관

참고 문헌

 

  1. "영어 and 프랑스어 가 북태평양 조약 기구의 공용어가 되어야 한다". Final Communiqué following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on 17 September 1949 보관됨 6 12월 2006 - 웨이백 머신. "... the English and French texts [of the Treaty] are equally authentic ..." The North Atlantic Treaty, Article 14 보관됨 14 9월 2011 - 웨이백 머신
  2. “Defence Expenditure of NATO Countries (2010–2019)” (PDF). 《Nato.int》. 2018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0일에 확인함. 
  3. “What is NATO?”. 《NATO – Homepage》. n.d. 2022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4. Cook, Lorne (2017년 5월 25일). “NATO, the world's biggest military alliance, explained”. 《Military Times》. Associated Press.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5. Batchelor, Tom (2022년 3월 9일). “Where are Nato troops stationed and how many are deployed across Europe?”. 《The Independent》. 2022년 6월 8일에 확인함. 
  6. “The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SIPRI》. IMF World Economic Outlook. 2021. 2022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7. The Wales Declaration on the Transatlantic Bond 보관됨 10 6월 2018 - 웨이백 머신, NATO, 5 September 2014.
  8. Erlanger, Steven (2014년 3월 26일). “Europe Begins to Rethink Cuts to Military Spending”. 《The New York Times》. 2014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3일에 확인함. Last year, only a handful of NATO countries met the target, according to NATO figur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t 4.1 percent, and Britain, at 2.4 percent. 
  9. “The origins of WEU: Western Union”. 《University of Luxembourg》. December 2009. 2018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3일에 확인함. 
  10. “A short history of NATO”. NATO. 2017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6일에 확인함. 
  11. “Canada and NATO - 1949”. 
  12. Findley, Paul (2011). 《Speaking Out: A Congressman's Lifelong Fight Against Bigotry, Famine, and War - Paul Findley - Google Books》. ISBN 9781569768914. 2022년 4월 24일에 확인함. 
  13. 《The McGraw-Hill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An International Reference Work - Google Books》. McGraw-Hill. 1973. ISBN 9780070796331. 2022년 4월 24일에 확인함. 
  14. Ismay, Hastings (2001년 9월 4일). “NATO the first five years 1949–1954”. NATO. 2017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0일에 확인함. 
  15. Baldwin, Hanson (1952년 9월 28일). “Navies Meet the Test in Operation Mainbrace”. 《New York Times》: E7. 2017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0일에 확인함. 
  16. Time》.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7. Glass, Andrew (2014년 5월 14일). “Soviet Union establishes Warsaw Pact, May 14, 1955”. 《Poltico》. 2022년 6월 10일에 확인함. 
  18. Olmsted, Dan (September 2020). “Should the United States Keep Troops in Germany?”. 《National WW2 Museum》. 2021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2일에 확인함. 
  19. van der Eyden 2003.
  20. Cody, Edward (2009년 3월 12일). “After 43 Years, France to Rejoin NATO as Full Member”. 《The Washington Post》. 2017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21. “Spain and NATO”. 《countrystudies.us》. Source: U.S. Library of Congress. 2021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0일에 확인함. 
  22. Harding, Luke (2007년 7월 14일). “Kremlin tears up arms pact with Nato”. 《The Observer》. 2013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일에 확인함. 
  23. Kimball, Daryl (August 2017). “The Conventional Armed Forces in Europe (CFE) Treaty and the Adapted CFE Treaty at a Glance”. 《Arms Control Association》. 2021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2일에 확인함. 
  24. Techau, Jan (2015년 9월 2일). “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 《Carnegie Europe》. 2018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2일에 확인함. 
  25. Eichler, Jan (2021). 《NATO's Expansion After the Cold War: Geopolitics and Impacts for International Security》. Springer Nature. 34, 35쪽. ISBN 9783030666415. 
  26. “Declassified documents show security assurances against NATO expansion to Soviet leaders from Baker, Bush, Genscher, Kohl, Gates, Mitterrand, Thatcher, Hurd, Major, and Woerner”. National Security Archive. 2017년 12월 12일. 2019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27. Wiegrefe, Klaus (2022년 2월 18일). “Neuer Aktenfund von 1991 stützt russischen Vorwurf”. Der Spiegel. 2022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28. Baker, Peter (2022년 1월 9일). “In Ukraine Conflict, Putin Relies on a Promise That Ultimately Wasn't”. 《The New York Times》. 2022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29. “NATO Announces Special 70th Anniversary Summit In London In Decembe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9년 2월 6일. 2019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6일에 확인함. 
  30. Jing Ke (2008). “Did the US Media Reflect the Reality of the Kosovo War in an Objective Manner? A Case Study of The Washington Post and The Washington Times” (PDF). 《University of Rhode Island》. 2019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31. NATO.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Archived)”. 《NATO》 (영어). 2015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6일에 확인함. 
  32. Stratton, Allegra (2008년 6월 17일). “Sarkozy military plan unveiled”. 《The Guardian》 (UK).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7일에 확인함. 
  33. “Defence Planning Committee (DPC) (Archived)”. NATO. 2014년 11월 11일.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3일에 확인함. 
  34. “Invocation of Article 5 confirmed”.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2001년 10월 3일. 2012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9일에 확인함. 
  35. “Counter-piracy operations”.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2011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7일에 확인함. 
  36. “Statement by the North Atlantic Council following meeting under article 4 of the Washington Treaty”. 《NATO Newsroom》. 2014년 3월 4일. 2014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일에 확인함. 
  37. “The consultation process and Article 4”. 《NATO》. 2022년 2월 24일. 2022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38. Techau, Jan (2015년 9월 2일). “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 Carnegie Europe. 2018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1일에 확인함. A month before [the alliance's summit in Riga in 2006], Victoria Nuland, then the U.S. ambassador to NATO, called the 2 percent metric the "unofficial floor" on defence spending in NATO. But never had all governments of NATO's 28 nations officially embraced it at the highest possible political level – a summit declaration. 
  39. “NATO's military presence in the east of the Alliance”. 《NATO》. 2022년 3월 28일. 2022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40. McLeary, Paul; Toosi, Nahal (2022년 2월 11일). “U.S. sending 3,000 more troops to Poland amid fresh Ukraine invasion warnings”. 《Politico》.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41. “Spain sends warships to Black Sea, considers sending warplanes”. 《Reuters》. 2022년 1월 21일.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42. “Spain will send four fighter jets and 130 troops to Bulgaria”. 《Reuters》. 2022년 2월 9일.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43. “NATO, G7, EU leaders display unity, avoid confrontation with Russia”. 《Deutsche Welle》. 2022년 3월 25일.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44. Gonzalez, Oriana (2022년 2월 26일). “NATO Response Force deploys for first time”. 《Axios》.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45. “NATO BOOSTS FORCES IN EAST TO DETER RUSSIAN MENACE”. 《BIRN》 (Balkan Insight). Balkan Investigative Reporting Network. 2022년 6월 14일. 
  46. “NATO's Operations 1949–Present” (PDF). NATO. 2009. 2013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3일에 확인함. 
  47. Zenko 2010.
  48. , NATO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49. UN Document A/54/549,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pursuant to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3/35: The fall of Srebrenica, un.org, 보관됨 12 9월 2009 - 웨이백 머신, accessed 25 April 2015.
  50. Bethlehem & Weller 1997.
  51. Zenko 2010, 137–138쪽
  52. Clausson 2006.
  53. Tice, Jim (2009년 2월 22일). “Thousands more now eligible for NATO Medal”. 《Army Times.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54. “Nato to strike Yugoslavia”. 《BBC News》. 1999년 3월 24일. 2015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5일에 확인함. 
  55. Thorpe, Nick (2004년 3월 24일). “UN Kosovo mission walks a tightrope”. 《BBC News》. 2012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56. “Operation Shining Hope”. 《Global Security》. 2011년 7월 5일. 2012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57. “Kosovo Report Card”.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0년 8월 28일. 2012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58. Helm, Toby (2001년 9월 27일). “Macedonia mission a success, says Nato”. 《The Daily Telegraph》. 2012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59. “NATO reaffirms power to take action without UN approval”. 《CNN》. 1999년 4월 24일. 2015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4일에 확인함. 
  60. Münch, Philipp (2021). “Creating common sense: Getting NATO to Afghanistan”. 《Journal of Transatlantic Studies》 19 (2): 138–166. doi:10.1057/s42738-021-00067-0. 
  61. Morales, Alex (2006년 10월 5일). “NATO Takes Control of East Afghanistan From U.S.-Led Coalition”. 《Bloomberg L.P.》. 2014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4일에 확인함. 
  62. “La France et l'OTAN”. 《Le Monde》 (프랑스어). France. 2007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6일에 확인함. 
  63. “NATO sets "irreversible" but risky course to end Afghan war”. 《Reuters》. Reuters. 2012년 5월 21일. 2012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2일에 확인함. 
  64. Rasmussen, Sune Engel (2014년 12월 28일). “Nato ends combat operations in Afghanistan”.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15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24일에 확인함. 
  65. “NATO to Cut Forces in Afghanistan, Match US Withdrawal”. 《VOA News》. 2021년 4월 14일. 2021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7일에 확인함. 
  66. “Afghanistan stunned by scale and speed of security forces' collapse”. 《The Guardian》. 2021년 7월 13일. 2021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7일에 확인함. 
  67. “Taliban surge in Afghanistan: EU and NATO in state of shock”. 《Deutsche Welle》. 2021년 8월 16일. 2021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7일에 확인함. 
  68. “Afghanistan takeover sparks concern from NATO allies”. 《Deutsche Welle》. 2021년 8월 16일. 2021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69. “Migration fears complicate Europe's response to Afghanistan crisis”. 《Politico》. 2021년 8월 16일. 2021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70. “Official Website”. 《Jfcnaples.nato.int》. 2011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9일에 확인함. 
  71. El Gamal, Rania (2011년 12월 17일). “NATO closes up training mission in Iraq”. 《Reuters》. 2011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7일에 확인함. 
  72. Croft, Adrian (2012년 10월 3일). “NATO demands halt to Syria aggression against Turkey”. 《Reuters》. 2012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3일에 확인함. 
  73. Ford, Dana (2015년 7월 26일). “Turkey calls for rare NATO talks after attacks along Syrian border”. 《Cnn.com》 (CNN). 2015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6일에 확인함. 
  74. “Statement by the NATO Secretary General on Libya arms embargo”. NATO. 2011년 3월 22일. 201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5일에 확인함. 
  75. “Press briefing by NATO Spokesperson Oana Lungescu, Brigadier General Pierre St-Amand, Canadian Air Force and General Massimo Panizzi, spokesperson of the Chairman of the Military Committee”. NATO. 2011년 3월 23일. 201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5일에 확인함. 
  76. “NATO reaches deal to take over Libya operation; allied planes hit ground forces”. 《Washington Post》. 2011년 3월 25일. 2013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7. “NATO to police Libya no-fly zone”. 《English.aljazeera.net》. 2011년 3월 24일. 2011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5일에 확인함. 
  78. O'Sullivan, Arieh (2011년 3월 31일). “UAE and Qatar pack an Arab punch in Libya operation”. 《Jerusalem Post》. se. 2012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9일에 확인함. 
  79. "NATO strikes Tripoli, Gaddafi army close on Misrata" 보관됨 12 8월 2011 - 웨이백 머신, Khaled al-Ramahi.
  80. "Gates Calls on NATO Allies to Do More in Libya" 보관됨 14 3월 2022 - 웨이백 머신, Jim Garamone.
  81. "Danish planes running out of bombs" 보관됨 12 6월 2011 - 웨이백 머신, Times of Malta. 10 June 2011.
  82. "Navy chief: Britain cannot keep up its role in Libya air war due to cuts" 보관됨 13 9월 2018 - 웨이백 머신, James Kirkup.
  83. “NATO: Ongoing resistance by pro-Gadhafi forces in Libya is 'surprising'. 《The Washington Post》. UPI. 2011년 10월 11일. 2013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9일에 확인함. 
  84. “NATO strategy in Libya may not work elsewhere”. 《USA Today》. 2011년 10월 21일. 2011년 10월 22일에 확인함. 
  85. Tharoor, Ishaan (2012년 5월 16일). “How Many Innocent Civilians Did NATO Kill in Libya?”. 《Time Magazine》. 2016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86. Croft, Adrian. “NATO to advise Libya on strengthening security forces”. 《Reuters》. 2015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일에 확인함. 
  87. Collins 2011.
  88. “The area of responsibility”. 《NATO Declassified》. NATO. 2013년 2월 23일. 2013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8일에 확인함. 
  89. “Washington Treaty”. NATO. 2011년 4월 11일. 2013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8일에 확인함. 
  90. Craig Whitlock (2012년 1월 29일). “NATO allies grapple with shrinking defense budgets”. 《Washington Post》. 2013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9일에 확인함. 
  91. Adrian Croft (2013년 9월 19일). “Some EU states may no longer afford air forces-general”. 《Reuters》. 2013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31일에 확인함. 
  92. “Denmark and NATO - 1949”. 
  93. “Why the concept of Gaullo-Mitterrandism is still relevant”. 《IRIS》. 2019년 4월 29일. 2022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7일에 확인함. 
  94. “Macedonia signs Nato accession agreement”. 《BBC》. 2019년 2월 6일. 2019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6일에 확인함. 
  95. “North Macedonia joins NATO as 30th Ally”. 《NATO》. 2020년 3월 27일. 2020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7일에 확인함. 
  96. Joy, Oliver (2014년 1월 16일). “Macedonian PM: Greece is avoiding talks over name dispute”. 《CNN》. 2014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97. Ramadanovic, Jusuf; Nedjeljko Rudovic (2008년 9월 12일). “Montenegro, BiH join Adriatic Charter”. 《Southeast European Times》. 2008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24일에 확인함. 
  98. George J, Teigen JM (2008). “NATO Enlargement and Institution Building: Military Personnel Policy Challenges in the Post-Soviet Context”. 《European Security》 17 (2): 346. doi:10.1080/09662830802642512. 
  99. Cathcourt, Will (2014년 3월 27일). “Obama Tells Georgia to Forget About NATO After Encouraging It to Join”. 《The Daily Beast》. 2014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100. “NATO Topics: Individual Partnership Action Plans”. Nato.int. 2013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9일에 확인함. 
  101. “The law amending the Constitution on the course of accession to the EU and NATO has entered into force | European integration portal”. 《eu-ua.org》 (우크라이나어). 2020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102. “Brussels Summit Communiqué issued by th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in Brussels 14 June 2021”. 《NATO》. 2022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4일에 확인함. 
  103. “Russia will act if Nato countries cross Ukraine 'red lines', Putin says”. 《The Guardian》. 2021년 11월 30일. 2021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4. “NATO Pushes Back Against Russian President Putin's 'Red Lines' Over Ukraine”. 《The Drive》. 2021년 12월 1일. 2021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5. “Putin warns Russia will act if NATO crosses its red lines in Ukraine”. 《Reuters》. 2021년 11월 30일. 2022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6. “Putin Demands NATO Guarantees Not to Expand Eastward”. 《U.S. News & World Report》. 2021년 12월 1일. 2021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7. “NATO chief: "Russia has no right to establish a sphere of influence". 《Axios》. 2021년 12월 1일. 2022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8. “Is Russia preparing to invade Ukraine? And other questions”. 《BBC News》. 2021년 12월 10일. 2021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9. Klussmann, Uwe; Schepp, Matthias; Wiegrefe, Klaus (2009년 11월 26일). “NATO's Eastward Expansion: Did the West Break Its Promise to Moscow?”. 《Spiegel Online》. 2014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7일에 확인함. 
  110. “Medvedev warns on Nato expansion”. 《BBC News》. 2008년 3월 25일. 2010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0일에 확인함. 
  111. Art 1998, 383–384쪽
  112. Levada-Center and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about Russian-American relations 보관됨 19 8월 2017 - 웨이백 머신.
  113. “Pew survey: Russia disliked around world; most in Poland, Turkey see Kremlin as major threat”. 《Kyiv Post》. 2017년 8월 16일. 2019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4일에 확인함. 
  114. “NATO summit: Poland pins its hopes on the USA”. Deutsche Welle. 2018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4일에 확인함. 
  115. Smith, Michael (2017년 2월 10일). “Most NATO Members in Eastern Europe See It as Protection”. Gallup. 2018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4일에 확인함. 
  116. Epstein, Rachel (2006). “Nato Enlargement and the Spread of Democracy: Evidence and Expectations”. 《Security Studies》 14: 63. doi:10.1080/09636410591002509. 
  117. “China joins Russia in opposing Nato expansion”. 《BBC News》. 2022년 2월 4일. 2022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 
  118. Jennifer Hansler; Natasha Bertrand (2022년 4월 8일). “Finland and Sweden could soon join NATO, prompted by Russian war in Ukraine”. 《Cable News Network. 2022년 4월 9일에 확인함. 
  119. “Finland is hurtling towards NATO membership”. The Economist. 2022년 4월 8일. 2022년 4월 9일에 확인함. 
  120. Gerard O'Dwyer (2022년 4월 14일). “Finland and Sweden pursue unlinked NATO membership”. 《DefenseNews》. 2022년 4월 19일에 확인함. 
  121. “Sweden's PM wants to apply to join Nato at end of June: report”. 《The Local》. 2022년 4월 13일. 2022년 4월 19일에 확인함. 
  122. “Going Nordic: What NATO Membership Would Mean for Finland and Sweden”. RealClear Defense. 2022년 4월 18일. 2022년 4월 19일에 확인함. 
  123. Lehto, Essi (2022년 5월 15일). “Finnish president confirms country will apply to join NATO”. 《Reuters》. 2022년 5월 15일에 확인함. 
  124. “Finland's Parliament approves NATO membership application”. 《Deutsche Welle》. 2022년 5월 17일. 2022년 5월 17일에 확인함. 
  125. Don Jacobson (2022년 5월 16일). “Sweden approves historic NATO membership application”. UPI. 
  126. Henley, Jon (2022년 5월 18일). “Sweden and Finland formally apply to join Nato”.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127. “Turkey clears way for Finland, Sweden to join NATO - Stoltenberg”. 《Reuters》. 2022년 6월 28일. 2022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8. “NATO: Finland and Sweden poised to join NATO after Turkey drops objection”. 《Sky News》. 2022년 6월 28일. 2022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9. Emmot, Robin; Siebold, Sabine (2022년 7월 5일). “Finland, Sweden sign to join NATO but need ratification”. 《Reuters》. 2022년 7월 6일에 확인함. 
  130. “When will Sweden and Finland join NATO? Tracking the ratification process across the Alliance”. 2022년 8월 8일. 
  131. Techau, Jan. “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 《Carnegie Europe》 (영어). 2022년 8월 23일에 확인함. 
  132. Alozious, Juuko (2022년 5월 19일). “NATO's Two Percent Guideline: A Demand for Military Expenditure Perspective”. 《Defence and Peace Economics》 33 (4): 475–488. doi:10.1080/10242694.2021.1940649. ISSN 1024-2694. 
  133. NATO. “Wales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NATO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2014)”. 《NATO》 (영어). 2022년 8월 23일에 확인함. 
  134. NATO. “Wales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NATO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2014)”. 《NATO》 (영어). 2022년 8월 23일에 확인함. 
  135. Alozious, Juuko (2022년 5월 19일). “NATO's Two Percent Guideline: A Demand for Military Expenditure Perspective”. 《Defence and Peace Economics》 33 (4): 475–488. doi:10.1080/10242694.2021.1940649. ISSN 1024-2694. 
  136. Techau, Jan. “The Politics of 2 Percent: NATO and the Security Vacuum in Europe”. 《Carnegie Europe》 (영어). 2022년 8월 23일에 확인함. 
  137. NATO. “Defence Expenditure of NATO Countries (2014-2021)”. 《NATO》 (영어). 2022년 8월 23일에 확인함. 
  138. “Cooperative Archer military exercise begins in Georgia”. RIA Novosti. 2007년 7월 9일. 2014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139. “Partnership for Peace”. Nato.int. 2011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3일에 확인함. 
  140. “Nato and Belarus – partnership, past tensions and future possibilities”. Foreign Policy and Security Research Center. 2013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141. “NATO Topics: The Euro-Atlantic Partnership Council”. Nato.int. 2010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2일에 확인함. 
  142. “Declaration by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and the Islamic Republic of Afghanistan”. Nato.int. 2010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2일에 확인함. 
  143. Boxhoorn, Bram (2005년 9월 21일). “Broad Support for NATO in the Netherlands”. ATA Education. 2007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7일에 확인함. 
  144. “NATO Partner countries”. Nato.int. 2009년 3월 6일. 2011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5일에 확인함. 
  145. “Qatar eyes full NATO membership: Defense minister”. The Peninsula. 2018년 6월 5일. 2019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1일에 확인함. 
  146. “Nato rejects Qatar membership ambition”. Dhaka Tribune. 2018년 6월 6일. 2019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1일에 확인함. 
  147. “Qatar signs security agreement with NATO”. NATO. 2018년 1월 16일. 2019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1일에 확인함. 
  148. “NATO Topics:NATO's relations with Contact Countries”. 《www.nato.int》. 2013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9. “NATO PARTNERSHIPS: DOD Needs to Assess U.S. Assistance in Response to Changes to the Partnership for Peace Program” (PDF).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September 2010. 2013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7일에 확인함. 
  150. “Partners”. NATO. 2012년 4월 2일. 2012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151. “NATO needs to address China's rise, says Stoltenberg”. 《Reuters》. 2019년 8월 7일. 2019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1일에 확인함. 
  152. “Relations with Colombia”. nato.int. 2017년 5월 19일. 2017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0일에 확인함. 
  153. “Topic: Consensus decision-making at NATO”. 《NATO》. 2016년 7월 5일. 2022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5일에 확인함. 
  154. “NATO homepage”. 2009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3월 12일에 확인함. 
  155. “NATO Headquarters”. NATO. 2010년 8월 10일. 2010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2일에 확인함. 
  156. Small, Melvin (1998년 6월 1일). “The Atlantic Council—The Early Years” (PDF). NATO.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15일에 확인함. 
  157. “Atlantic Treaty Association and Youth Atlantic Treaty Association”. NATO. 2016년 4월 7일. 2021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1일에 확인함. 
  158. “France to rejoin NATO command”. CNN. 2008년 6월 17일. 2013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4일에 확인함. 
  159. Fuller, Thomas (2003년 2월 18일). “Reaching accord, EU warns Saddam of his 'last chance'. 2007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5일에 확인함. 
  160. “About us”. Supreme Headquarters Allied Powers Europe. 2022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6일에 확인함. 
  161. “The Rapid Deployable Corps”. NATO. 2012년 11월 26일. 2013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4일에 확인함. 
  162. “Who We Are”. Allied Command Transformation. 2022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6일에 확인함. 
  163. “NATO Standardization Office (NSO)”. NATO. 2022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7일에 확인함. 
  164. Randall, Thomas E. (July 2014). “Legal Authority of NATO Commanders” (PDF). 《NATO Legal Gazette》 (34): 39–45. 2021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29일에 확인함. 
  165. Jackson, General Sir Mike (2007년 9월 4일). “Gen Sir Mike Jackson: My clash with Nato chief”.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22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66. “NATO Seen Favorably Across Member States”. pewresearch.org. 2020년 2월 10일. 2020년 4월 24일에 확인함. 

인용 문서

추가 참고 도서 목록

 

  • Atlantic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August 2003). “Transforming the NATO Military Command Structure: A New Framework for Managing the Alliance's Future” (PDF). 2012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Axelrod, Robert, and Silvia Borzutzky. "NATO and the war on terror: The organizational challenges of the post 9/11 world." Review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1.3 (2006): 293–307. online
  • Borawski, John, and Thomas-Durell Young. NATO after 2000: the future of the Euro-Atlantic Alliance (Greenwood, 2001).
  • Hastings Ismay, 1st Baron Ismay (1954). “NATO: The First Five Years”. Paris: NATO. 2017년 4월 4일에 확인함. 
  • Hendrickson, Ryan C. "NATO's next secretary general: Rasmussen's leadership legacy for Jens Stoltenberg." Journal of Transatlantic Studies (2016) 15#3 pp 237–251.
  • Pedlow, Dr Gregory W. “Evolution of NATO's Command Structure 1951–2009” (PDF). 《aco.nato.int》. Brussels(?): NATO ACO.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 
  • Sayle, Timothy Andrews. Enduring Alliance: A History of NATO and the Postwar Global Order (Cornell University Press, 2019) online review
  • "NATO at 70: Balancing Collective Defense and Collective Security," Special issue of Journal of Transatlantic Studies 17#2 (June 2019) pp: 135–267.
  • NATO Office of Information and Press, NATO Handbook : Fiftieth Anniversary Edition, NATO, Brussels, 1998–99, Second Reprint, ISBN 92-845-0134-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