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의 국가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폴란드어: Jeszcze Polska nie zginęła 예슈체 폴스카 니에 즈기네와[*]) 또는 《동브로프스키의 마주르카》(폴란드어: Mazurek Dąbrowskiego 마주레크 동브로프스키에고[*])는 폴란드의 국가이다.
가사는 시인 유제프 비비츠키(Józef Wybicki, 1747 ~ 1822)가 1797년에 지은 것이며, 원 작곡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원래는 1795년에 있었던 제3차 폴란드 분할로 인해 폴란드가 모든 영토를 상실한 지 2년이 지난 1797년에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 장군이 이탈리아에서 결성한 폴란드인 군단의 군가로 사용되었다.
1927년 2월 26일 정식으로 국가로 제정되었다. 현 국가는 유고슬라비아에서 사용하던 《슬라브족이여》의 선율과 유사하며, 마주르카는 폴란드의 3/4박자 민요이다. 본래는 6절까지 있지만, 현재는 4절까지만 부르고 있다.
폴란드어 가사[편집]
- 1절
- Jeszcze Polska nie zginęła,
- Kiedy my żyjemy.
- Co nam obca przemoc wzięła,
- Szablą odbierzemy.
- 후렴
- Marsz, marsz, Dąbrowski
- Z ziemi włoskiej do Polski
- Za twoim przewodem
- Złączym się z narodem.
- (X2)
- 2절
- Przejdziem Wisłę, przejdziem Wartę,
- Będziem Polakami,
- Dał nam przykład Bonaparte,
- Jak zwyciężać mamy.
- 후렴
- Marsz, marsz, Dąbrowski
- Z ziemi włoskiej do Polski
- Za twoim przewodem
- Złączym się z narodem.
- (X2)
- 3절
- Jak Czarniecki do Poznania
- Po szwedzkim zaborze,
- Dla ojczyzny ratowania
- Wrócim się przez morze.
- 후렴
- Marsz, marsz, Dąbrowski
- Z ziemi włoskiej do Polski
- Za twoim przewodem
- Złączym się z narodem.
- (X2)
- 4절
- Już tam ojciec do swej Basi
- mówi zapłakany:
- "Słuchaj jeno, pono nasi
- Biją w tarabany."
- 후렴
- Marsz, marsz, Dąbrowski
- Z ziemi włoskiej do Polski
- Za twoim przewodem
- Złączym się z narodem.
- (X2)
폴란드어 가사의 한국어 해석[편집]
- 1절
- 폴란드는 우리가 살아가는 한
- 결코 무너지지 않았으니,
- 어떠한 외적들이 우리를 침략해도
- 우리는 손에 든 칼로 되찾으리라.
- 후렴
- 전진하라, 동브로프스키여,
- 이탈리아에서 폴란드까지,
- 그대의 지도 아래
- 우리 국민들은 단결하리.
- (x2)
- 2절
- 비스와 강과 바르타 강을 건너
- 우리는 폴란드인이 되리라.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우리에게
- 승리의 방법을 보여주었도다.
- 후렴
- 전진하라, 동브로프스키여,
- 이탈리아에서 폴란드까지,
- 그대의 지도 아래서
- 우리 국민들은 단결하리라.
- (x2)
- 3절
- 스테판 차르니에츠키가 포즈난으로 돌아와
- 스웨덴에 맞선 것과 같이,
- 조국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 우리는 바다도 건너리라.
- 후렴
- 전진하라, 동브로프스키여,
- 이탈리아에서 폴란드까지,
- 그대의 지도 아래서
- 우리 국민들은 단결하리라.
- (x2)
- 4절
- 한 아버지가 눈물을 흘리며
- 딸 바시아에게 말한다:
- "듣거라, 우리의 군인들이
- 승리의 북소리를 울리고 있단다."
- 후렴
- 전진하라, 동브로프스키여,
- 이탈리아에서 폴란드까지,
- 그대의 지도 아래서
- 우리 국민들은 단결하리라.
- (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