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의 국가
헷 빌헬뮈스(네덜란드어: Het Wilhelmus, 오라녜-나사우 가문 빌럼 공의 노래)는 네덜란드의 국가로서, 작사자 및 작곡자는 불명이다. 곡의 선율이 현재 존재하는 세계 국가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98년, 빌헬미나 여왕에 의해 왕실 국가로 지정되었고 1932년에 공식 국가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식 석상에서는 1절과 6절만 가창하고 있다. 이 곡은 네덜란드의 옛 식민지에서도 국가로 불렀는데 수리남에서는 1975년까지, 인도네시아에서는 1945년까지 불렀다.
1815년부터 1932년까지는 네덜란드인의 피가 국가로 사용되었는데, 네덜란드군은 1939년까지 불렀다.
작사 및 작곡자 관련 논란[편집]
작사자로 유력한 사람은 필립스 판 마르닉스(Filips van Marnix)이며, 작곡자로 유력한 사람은 아드리아뉘스 팔레리위스(Adrianus Valerius)이며, 일부 서적에서는 이들을 제작자로 지명하나, 명확한 근거가 밝혀져 있지는 않다.
네덜란드어 가사[편집]
원 네덜란드어 가사 (1568년) | 현대 네덜란드어 가사 | 한국어 번역 |
---|---|---|
1절 | ||
Wilhelmus van Nassouwe |
Wilhelmus van Nassouwe |
나사우 가문의 빌럼, |
2절 | ||
In Godes vrees te leven |
In Godes vrees te leven |
하나님을 경외하며 살면서 |
3절 | ||
Lydt u myn Ondersaten |
Lijdt u, mijn onderzaten |
고통 중에 있느냐 나의 종들아 |
4절 | ||
Lyf en goet al te samen |
Lijf en goed al te samen |
삶과 재산 전부를 나는 |
5절 | ||
Edel en Hooch gheboren |
Edel en hooggeboren, |
고귀하고 높은 태생으로서, |
6절 | ||
Mijn Schilt ende betrouwen |
Mijn schild ende betrouwen |
나의 방패요 신뢰할 분은 |
7절 | ||
Van al die my beswaren, |
Van al die mij bezwaren |
저 모든 나의 반대자들로부터 |
8절 | ||
Als David moeste vluchten |
Als David moeste vluchten |
도망할 수밖에 없었던 다윗과 같이 |
9절 | ||
Na tsuer sal ick ontfanghen |
Na 't zuur zal ik ontvangen |
이 시큼함이 지나고 나는 |
10절 | ||
Niet doet my meer erbarmen |
Niets doet mij meer erbarmen |
그 무엇도 나를 매우 불쌍하게 할 수 없으리라 |
11절 | ||
Als een Prins op gheseten |
Als een prins opgezeten |
왕자처럼 말에 타서, |
12절 | ||
Soo het den wille des Heeren |
Zo het de wil des Heren |
그러므로 그것이 주님의 뜻이었더라면 |
13절 | ||
Seer Prinslick was ghedreven |
Zeer christlijk was gedreven |
기독교적인 법이 심히 |
14절 | ||
Oorlof mijn arme Schapen |
Oorlof, mijn arme schapen |
작별을 고하노라 나의 불쌍한 양이여 |
15절 | ||
Voor Godt wil ick belijden |
Voor God wil ik belijden |
나는 하나님과 그 분의 |
이합체시 | ||
WILLEM VAN NASSOV |
WILLEM VAN NAZZOV |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