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합체시
이합체시(離合體詩)는 시의 형식의 한 종류로, 각 구의 첫글자를 조합하면 다른 뜻의 말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명으로는 세로드립이 있으나, 표준어가 아니다.
서양권에서는 Acrostic(어크로스틱)이라 불리며 주로 시를 작성하는데 쓰인다. 강제 글쓰기 법(constrained writing) 중 하나로 기억법 중 하나로 쓰이기도 한다. 서양권 어크로스틱 중 유명한 것으로 그리스의 환호문 "하느님의 아들이자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Ιησούς Χριστός, Θεού Υιός, Σωτήρ 예수스 크리스토스 테우 휘오스 소테르)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따 조합하면 익투스(ΙΧΘΥΣ)가 된다.[1]
일본에서도 오리쿠(일본어: 折句)라고 해서 마찬가지로 시의 용법 중 하나로 쓰이고 있다.
예시[편집]
스쿨홀릭[편집]
아래 시는 스쿨홀릭의 218화에 등장하는 시 중 하나이다.
먹지 말라
고 하셨지만
떨리는 맘으로
어렵게 준비한
저희 마음
첫 글자를 조합하면 "먹고 떨어저"(먹고 떨어져)가 되어 비꼬는 듯한 말이 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Acrostic”. Answers.com. 2008년 9월 9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