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폴란드어
Polski(IPA: [ˈpɔlskʲi])
사용 국가 폴란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 미국, 캐나다
사용 지역 중앙유럽, 동유럽
언어 인구 약 4000만 명 (2007)
순위 27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레흐어군
    폴란드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폴란드의 기 폴란드
유럽 연합의 기 유럽 연합
표준 Polish Language Council
언어 부호
ISO 639-1 pl
ISO 639-2 pol
ISO 639-3 pol 폴란드어

폴란드어(język polski, 이 소리의 정보듣기 , 문화어: 뽈스까어)는 폴란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폴란드의 공용어이며, 서슬라브군의 언어 중에서는 사용 인구가 가장 많다.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에서 들어온 차용어가 많으며, 일부 어휘에서는 러시아어의 영향 또한 받았다.

사용 지역[편집]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편집]

  • 폴란드 - 폴란드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폴란드에서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인구 수는 3,800만 명이다.

그 외에 사용하는 지역[편집]

Languages of CE Europe-3.PNG

적색: 폴란드 본국
진한 분홍색: 폴란드 밖에서 지역 주민 대부분이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곳
연한 분홍색: 폴란드어를 공용어로 지정한 유럽 연합 전체
파란 점: 폴란드인들이 많이 모여사는 곳
리투아니아의 폴란드인 인구 비율
벨라루스의 폴란드인 인구 비율. 흐로드나 주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높다.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서 대부분의 폴란드인들이 각국으로 이주한 결과 폴란드인 공동체인 폴로니아가 형성되었다.

폴란드 국외의 폴란드어 사용자 인구는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에 거주하는 폴란드인들을 포함해서 1,000만 명이다.

문자와 발음[편집]

폴란드어 알파벳. 검은색은 고유어에도 사용되는 것, 회색은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폴란드어 알파벳은 다음 32개 문자이다.

대문자 A Ą B C Ć D E Ę F G H I J K L Ł M N Ń O Ó P R S Ś T U W Y Z Ź Ż
소문자 a ą b c ć d e ę f g h i j k l ł m n ń o ó p r s ś t u w y z ź ż

폴란드어의 발음은 대부분 아래와 같다.

대문자 소문자 발음
A a [ä] 독일어 a 발음
Ą ą 원래는 비음을 동반한 o(폴란드어) 발음 [ ɔ̃ ]이지만 b,p 앞에서는 om [ ɔm ], t,d,c,dz 앞에서는 on [ ɔn ], k,g 앞에서는 [ ɔŋ ], l,ł 앞에서는 o [ ɔ ]로 발음한다.
B b [b], [p](단어 끝)
C c [ ʦ ] 독일어 z,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ц, 영어 gets에서 ts, 일본어 つ에 들어가는 자음
Ć ć [ ʨ ] 한국어(표준어) 자음 ㅊ, 러시아어 ч
D d [ d ], [ t ](단어 끝)
E e [ ɛ ], 한국어 ㅐ
Ę ę 원래는 비음을 동반한 e(폴란드어) 발음 [ ɛ̃ ]이지만 b,p 앞에서는 em [ ɛm ], t,d,c,dz 앞에서는 en [ ɛn ], k,g 앞에서는 [ ɛŋ ], l,ł 앞에서는 e [ ɛ ]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현대 폴란드인들은 단어 끝에 ę이 오면 비음을 생략한다. [ ɛ̃ ][ ɛ ] 예시 : Dziękuję→감사합니다 [d͡ʑɛ̃ŋˈkujɛ̃][d͡ʑɛ̃ŋˈkujɛ]

F f [ f ]
G g [ ɡ ], [ k ] 단어 끝
H h [ ɣ ] 또는 [ x ]
I i 뒤에 모음이 오면 [ ʲ ]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서 kiedy→언제[kʲedɘ̟]로 발음하는데 이때 i가 k를 구개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뒤에 자음이 오거나 아무것도 오지 않으면 모음 [ i ] 소리값을 가진다.

J j [ j ]
K k [ k ]
L l [ l ]
Ł ł [ w ]
M m [m]
N n [n] 한국어 ㄴ 발음이다. 외래어에서는 nk를 [ŋ̊]로 발음하지만 고유어에서는 nk를 [n̥k]로 따로 발음한다.

폴란드어에서는 영어 등의 언어와 달리 n이 둘 연속되더라도 각각이 음가를 유지한다.

Ń ń [ nʲ ]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нь, 체코어 ň, 포르투갈어 nh와 같은 발음이다. 한국어 냐, 니, 뉴, 녜, 뇨 같은 발음에도 등장한다. 영어 onion(양파)의 경우 ni가 해당된다. 폴란드어에서는 ń는 뒤에 자음이 오거나 단어 끝에 쓰인다. [ n̠ʲ ] 발음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폴란드어에서는 ń가 아니라 ni로 표기한다. 폴란드어 nie→아니오가 좋은 예시이다.

koń(말 (동물))처럼 단어 맨 끝 자리에 ń가 오는 경우나 자음 연속 ńf, ńw, ńs, ńz, ńsz, ńrz, ńż, ńś, ńź의 경우에는 [ ĩ̯ ] 발음도 허용된다. [ ĩ̯ ] 발음은 비음화된 [ i ] 발음이다. 그래서 한국어에서도 그단스크(Gdańsk)를 그다이스크나 그다인스크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폴란드어 j 발음과 n 발음(n 1개짜리)을 동시에 낸다고 생각하면 쉽다.

O o [ ɔ ] 문화어에서 ㅓ가 이 소리값이다. 독일어 단모음 o도 이 음가를 갖는다.
Ó ó [ u ], 원래는 장모음 [ oː ]였지만 단모음화되면서 음가에 변화가 온 것이다.
P p [ p ]
R r [ r ] 초성 을 혀를 떨면서 낸다.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р, 스페인어 rr과 같은 발음이다.
S s [ s ] 영어 s, 독일어 ß,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с와 같은 발음이다.
Ś ś [ ɕ ] 를 짧게 발음한다. 한국어 "시간"에서 ㅅ 발음과 같은 음가다.
T t [ t ]
U u [ u ]
W w [ v ] 영어 v와 같은 발음이다. 어말에서는 [ f ]
Y y [ ɘ̟ ] 한국어 ㅔ와 한국어 ㅡ와 한국어 ㅣ 사이의 발음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음을 [ ɨ ] 로 표시한다.
Z z [ z ] 영어 z, 독일어 s(어말 제외),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з

어말에서는 [ s ]

Ź ź [ ʑ ] ś를 유성음으로 발음하면 된다. Ź-Ś 관계는 W-F, Z-S, D-T와 같은 유성음-무성음 관계다.

어말에서는 [ ɕ ]로 무성음이 된다.

Ż ż [ ẕʷ ] 혀를 평평하게 한 상태로 후치경 부분에 접근시킨 다음(이 과정에서 아랫턱이 아래로 내려간다) 입술을 둥글게 한 후 조음하는 유성 권설 마찰음이다. 참고로 원판의 유성 권설 마찰음 [ ʐ ]와 기호가 다른 이유는 [ ẕʷ ]는 권설음 중에서는 혀를 완전히 말아 올리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 음가는 중국어 병음 r에서 입술만 둥글게 하면 된다.

어말에서는 [ s̱ʷ ]로 무성음이 된다.

이중음자삼중음자는 아래와 같다.

이중음자 발음
ch [ x ] 한국어 "흠집"에서 ㅎ, 독일어 ch
cz [ t͡s̱ʷ ] 중국어 병음 zh에서 입술만 둥글게 하면 된다.
dz [ ʣ ] 문화어 "감자"에서 ㅈ 발음으로 폴란드어 c와 dz는 무성음과 유성음 관계다.
어말에서는 [ ʦ ]로 무성음화
[ ʥ ] 한국어 "고지서"에서 ㅈ 발음
어말에서는 [ ʨ ]로 무성음화
[ d͡ẕʷ ] cz와 dż는 무성음과 유성음 관계다.
어말에서는 [ t͡s̱ʷ ]로 무성음화
rz [ ẕʷ ], ż과 같은 발음인데 어원은 다르다.
어말에서는 [ s̱ʷ ]로 무성음화
sz [ s̱ʷ ] 혀를 평평하게 한 상태로 후치경 부분에 접근시킨 다음(이 과정에서 아랫턱이 아래로 내려간다) 입술을 둥글게 한 후 조음하는 무성 권설 마찰음이다. 참고로 원판의 무성 권설 마찰음 [ ʂ ]와 기호가 다른 이유는 [ s̱ʷ ]는 권설음 중에서는 혀를 완전히 말아 올리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 음가는 중국어 병음 sh에서 입술만 둥글게 하면 된다.

Ó와 U, Ż와 Rz, Ć와 모음 앞에 오는 Ci, Ś와 모음 앞에 오는 Si, Ź와 모음 앞에 오는 Zi, Ń와 모음 앞에 오는 Ni는 발음이 완전히 같지만 표기가 다르다.

Ó와 U, Ż와 Rz의 경우는 Ó는 원래는 O였는데 U와 같은 발음으로 변화한 것이고 Rz는 원래는 R이었는데 Ż와 같은 발음으로 변화한 것이다.

Ć와 모음 앞에 오는 Ci, Ś와 모음 앞에 오는 Si, Ź와 모음 앞에 오는 Zi, Ń와 모음 앞에 오는 Ni의 경우는 문법적인 이유라서 단어 맨 끝의 Ć, Ś, Ź, Ń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에는 형태가 Ci, Si, Zi, Ni로 변화한 후 모음이 붙는다. 즉, Ć, Ś, Ź, Ń 뒤에는 모음이 직접 오지 않고 반드시 Ci, Si, Zi, Ni로 변화해야만 모음이 뒤에 올 수 있다.

강세[편집]

폴란드어는 동슬라브어군 언어들과는 달리 강세가 규칙적이다.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만 나타난다. 동슬라브어군 언어들과는 달리 강세에 따른 모음 발음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문법[편집]

슬라브어 중에서 문법이 복잡한 편에 속한다.

명사[편집]

명사의 성은 3개고 명사의 격은 7개이며 단/복수를 구분한다. 러시아어와 다르게 호격이 존재하며, 이는 체코어와도 같은 점이다. 체코어도 격이 7개다.

명사 격 변화는 대부분 규칙적이지만 아닐 때도 있다.

동사[편집]

동사는 시제, 인칭, 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시제는 3개인 경우(과거-현재-미래)가 있고 5개인 경우(과거완료-과거-현재-미래완료-미래)가 있다. 과거완료와 미래완료일 때 동사 모양 변화가 규칙적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반복되거나 규칙적인 상황에서는 과거-현재-미래 시제를, 반면에 일회성이거나 각별한 상황에서는 과거완료-미래완료 시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자주", "항상", "가끔" 등 "빈도부사"와 함께는 불완료상(과거-현재-미래)의 동사가 사용된다.

반면에 "어제", "오늘", "내일 몇 시에" 등 "특정한 한 상황을 나타내는 부사(구)"와는 완료상(과거완료-미래완료)의 동사가 사용된다.

형용사[편집]

형용사는 앞의 명사의 성, 격, 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상용 표현[편집]

  • Dzień dobry. →안녕하십니까? (아침-오후 인사)
  • Cześć. →안녕?
  • Dobry wieczór. →안녕하십니까? (밤인사)
  • Dobranoc. →안녕히 주무세요.
  • Dziękuję. →고맙습니다.
  • Dzięki→고마워.
  • Nie ma za co. →천만에요.
  • Do widzenia. →안녕히 계십시오/안녕히 가십시오.
  • Przepraszam. →죄송합니다/실례(失禮)합니다.
  • Proszę. →어서/천만에요.
  • Słucham. →여보세요?
  • Jak się masz? →어떻게 지내세요?
  • Nazywam się ____ →제 이름은 _____입니다. / Mam na imię ___ →제 이름은 _____입니다.
  • Jestem Koreańczykiem (남성) / Koreanką (여성) →저는 한국 사람입니다.
  • Siema (속어) →안녕.
  • Nara (속어) →또 만나.
  • Tak. →네.
  • Nie. →아니요.
  • Gdzie jest toaleta? →화장실이 어디있습니까?
  • (Ja) Kocham cię→(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대한민국에서의 학습[편집]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에서 폴란드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네이버 사전다음 사전에도 폴란드어 사전이 수록되어 있다. 한국어로 된 폴란드어 교재도 적게나마 발행되어 있으며, 에어클래스에서 유료로 배울 수 있다.[1] 과거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학과에서 폴란드어 시험이 실시된 적이 있지만 지금은 실시되지 않는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