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인천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미바다역에서 넘어옴)

인천
역사
역사
1호선 개찰구
1호선 개찰구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1] 수도권광역본부 인천관리역
소재지 1호선 :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 269
수인선 :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26번길 12-17
좌표 북위 37° 28′ 33″ 동경 126° 37′ 0″ / 북위 37.47583° 동경 126.61667°  / 37.47583; 126.61667
개업일 경인선 : 1899년 9월 18일
축항선 : 1959년 2월 24일
1호선 : 1974년 8월 15일
수인선 : 2016년 2월 27일
역 번호 1호선 : 161
수인·분당선 : K272
종별 관리역
등급 2급
승강장수 1호선 : 2면 3선
수인·분당선 : 1면 2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수도권 전철 4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로 기점 27.0km
← 160 동인천
(1.9 km)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수원 기점 51.6km
← K271 신포
(1.1 km)

인천역(Incheon station, 仁川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동에 있는 경인선수인선전철역이자 환승역이며, 종착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 남영역까지 지상 구간이고 한국철도공사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부터 인하대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심야에 8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역사

[편집]

역명

[편집]

역 앞에 인천항이 있어 경인선 개통 당시에 ‘제물포역’이었다고 전해지지만 잘못된 것이다. 2011년 10월부터 몇 년간 부기역명으로 '차이나타운'을 사용하였다.[11]

개요

[편집]

경인선의 부설권이 미국에 있었을 때 이 역은 경인선우각동역 부근에서 서남쪽으로 이어 현재의 축항구내 인근에 지어질 예정이었다. 하지만 축항구내 일대의 토지 소유자와 부지 협상이 결렬되면서 현재의 위치에 건설하게 되었다.[12] 심야에 수도권 전철 1호선 8편성,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편성이 주박한다.

역 구조

[편집]

경인선(1호선)의 경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는 1·2번(연천 방향) 승강장을 이용하며, 3번 승강장은 주로 입·출고 열차 및 임시 열차용으로 사용된다.[13] 승강장열차 사이의 간격이 30cm 전후로 매우 넓다. 현재의 역사는 1960년에 준공된 건물로 2015년리모델링하여 사용하고 있다. 승강장지붕이 추가되었고, 대합실 등을 대리석으로 마감하였으나 역사 건물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출입구에는 2015년까지 인삿말("어서 오십시오.", "안녕히 가십시오.")이 적힌 표지판이 있었으나 리모델링 이후 사라졌다. 수인선 복선 전철화 사업 착공 이전에는 출퇴근시간에만 운영하는 급행용 승강장을 지하에 건설하여 선로동인천역에서부터 연결하여 수인선과 이을 계획도 있었으나 현재 계획 중인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이 역을 잇는 제2인천국제공항철도 문제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수인·분당선의 경우 왕십리역과는 달리 쌍굴방식 단선 터널로 건설되어 있어 이 역 진입 전에 설치되어 있는 건넘선이 없기 때문에 왕십리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회차선으로 가야 하는 구조다. 출입구는 3개다.

배선도

[편집]

인천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선로는 이 역의 남쪽에서 끊어져 있다.

인천역 (경인선) 배선도
161
인천역
인천항 제1부두

경인선(1호선) 승강장

[편집]

곡선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동인천
| | 21 |
시·종착역
1·2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의정부 · 동두천 · 연천 방면
3 당역 시 · 종착 및 주박

수인선(수인·분당선) 승강장

[편집]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신포
| 2 1 |
시·종착역
2 수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 · 왕십리 방면
1 당역 종착

역 주변

[편집]

전용선

[편집]
남부구내

이 역의 구내에 포함되는 전용선은 다음과 같다.[14]

이용객 변동

[편집]

수인선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2월 27일(토요일)부터 12월 31일(토요일)까지인 30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호선 승차 6,761 6,300 6,158 6,086 4,790 4,677 4,237 4,250 4,038 3,835 [20]
하차 4,996 5,095 5,443 7,103 4,390 4,458 4,369 4,263 4,077 3,856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호선 승차 3,852 3,965 3,874 3,832 4,269 4,079 4,244 4,208 3,852 4,012 2,374 2,747 [20]
하차 3,795 3,875 3,768 3,744 4,301 4,200 4,308 4,208 3,807 4,000 2,306 2,654
수인선 승차 미개통 1,972 1,838 1,788 1,312 1,598 1,795
하차 2,002 1,866 1,812 1,313 1,593 1,814

사진

[편집]

인접한 역

[편집]
경인선
160 동인천
연천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경원선 급행
시·종착역
수인선
K271 신포
청량리 방면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시·종착역
K269 인하대
오이도 방면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급행
시·종착역

각주

[편집]
  1. 1호선의 경우 이 역부터 남영역까지 지상, 한국철도공사 구간이다.
  2. “十八日行”. 황성신문. 1899년 9월 16일. 2021년 1월 25일에 확인함. 
  3. “경인 철도 리슈”. 독립신문. 1899년 9월 16일. 2021년 1월 25일에 확인함. 
  4. 鮮交會 (2017)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173쪽. ISBN 9788964951033. 
  5. 인천역등개명, 《동아일보》, 1948.06.12.
  6.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43호 (1975년 12월 29일)
  7. 레일로 이어지는 행복+(철도공사 사보) 2015년 5월호 Archived 2016년 4월 13일 - 웨이백 머신, p15
  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20호, 2015년 9월 4일.
  9.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2020.5.29)
  10.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036호, 2020년 12월 31일.
  11. 김성웅 (2011년 10월 10일). “인천역·차이나타운 역명부기 행사”. 인천일보. 2019년 9월 1일에 확인함. 
  12. 손길신 (2015년 10월). “최초의 경인철도 집중탐구” (PDF). 《철도저널》 (한국철도학회) 18 (5): 10. 201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일에 확인함. 
  13. 그러나 2015년~2016년 쯤에는 1·2번 승강장(소요산 방향)에 환승통로 공사를 하는데 승강장이 너무 좁아서 2번 승강장(연천 방향)과 선로승객들 이동통로로 막아 버린 적이 있어서 1·3번 승강장(소요산 방향)이 주로 쓰였다.
  14. 김상태 (2013년). 《기억을 깁다 : 3.8km》. 인천: 다인아트. 34-35쪽. ISBN 9788967500207. 
  15. 전현우 (2017년 6월 15일). “열차 생산기지 '인천공작창'의 최후 : 인천과 철도 ⑤인천역과 인천항”. I-View. 2018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6. 鮮交會 (2018년) [1986년]. 《조선교통사 3》. 번역 최영수. 서울: BG북갤러리. 102쪽. ISBN 9788964951231. 
  17. 전현우 (2017년 6월 29일). “도시발전 막던 골칫덩이의 참신한 변신 : 인천과 철도 ⑥인천항 항만철도”. I-View. 2018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8. 鮮交會 (2017년) [1986년].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60쪽. ISBN 9788964951033. 
  19. 인천항 화물3각선 완료, 《경인일보》, 2012년 12월 13일
  20.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3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