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강릉선 KTX: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국토교통부 노선명 제정 민원에 대한 답변에 따름.
잔글 국토교통부 노선명 제정 민원에 대한 답변에 따름.
1번째 줄: 1번째 줄:
{{불확실|철도}}
{{불확실|철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원주-강릉 철도
|노선명 = 경강선(서원주-강릉)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그림 = KTX linemap kr.svg
|그림 = KTX linemap kr.svg
96번째 줄: 96번째 줄:
{{BS|tKBHFe|120.3|[[강릉역|강릉]]}}
{{BS|tKBHFe|120.3|[[강릉역|강릉]]}}
}}
}}
'''원주-강릉선'''(原州-, 원강선)은 [[서원주역]]과 [[강릉역]]을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국가 재정 사업으로 시행되며 [[강원도 (남)|강원도]] [[평창군]]에서 개최되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2017년]] 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노선 정식 명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청량리역|청량리]] - [[강릉역|강릉]] 간 열차의 소요 시간이 종전의 5~6시간대에서 1시간 12분~2시간대로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ref>[http://www.ytn.co.kr/_ln/0115_201502210027010268 "서울~강원 동해안 1시간대 시대 열린다"] 《YTN》2015.2.21</ref>
'''경강선'''(江線)은 [[서원주역]]과 [[강릉역]]을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국가 재정 사업으로 시행되며 [[강원도 (남)|강원도]] [[평창군]]에서 개최되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2017년]] 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노선 정식 명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청량리역|청량리]] - [[강릉역|강릉]] 간 열차의 소요 시간이 종전의 5~6시간대에서 1시간 12분~2시간대로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ref>[http://www.ytn.co.kr/_ln/0115_201502210027010268 "서울~강원 동해안 1시간대 시대 열린다"] 《YTN》2015.2.21</ref>


== 노선 정보 ==
== 노선 정보 ==

2016년 5월 10일 (화) 15:26 판

경강선(서원주-강릉)
노선도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상태공사 중
기점서원주역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종점강릉역
(강원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 118)
역 수9
개통일2017년 12월 (예정)
소유자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실거리120.3km
궤간1,435mm
궤도표준궤
선로 수2(서원주 - 남강릉)
1(남강릉 - 강릉)
전철화교류 25,000 V
설계 최고 속도250km/h

경강선(京江線)은 서원주역강릉역을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국가 재정 사업으로 시행되며 강원도 평창군에서 개최되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2017년 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노선 정식 명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청량리 - 강릉 간 열차의 소요 시간이 종전의 5~6시간대에서 1시간 12분~2시간대로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1]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 120.3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통행
  • 역 수 : 9개
  • 보안 장치 : ATS
  • 운행 열차 : KTX-산천을 포함한 모든 여객 열차

특징

역사

역 목록

기존역들을 제외한 역명들은 모두 가칭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서원주 Seowonju 西原州 0.0 0.0 중앙선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만종 Manjong 萬鍾 호저면 만종리
횡성 Hoengseong 橫城 횡성군 횡성읍 생운리
둔내 Dunnae 屯內 둔내면 자포곡리
평창 Pyeongchang 平昌 평창군 용평면 재산리
진부 Jinbu 珍富 진부면 송정리
대관령 Daegwallyeong 大關嶺 대관령면 횡계리 신호장
남강릉 Namgangneung 南江陵 강릉시 구정면 금광리
강릉 Gangneung 江陵 영동선 교2동

논란

단선 전철화 추진 논란

2009년 12월 17일 기획재정부는 예산 절감을 이유로 단선 전철화 사업으로 추진하면서 강원도 도민들이 반발하고 항의하여 논란이 되었다.[4] 이에 이명박 전 대통령은 기획재정부가 추진중인 사업을 복선 전철화 사업 추진을 지시해 이 같이 결정되었다.[5]

종착역 강릉역 이전에 대한 논란

당초 계획은 구정면 이설을 추진하였으나 강릉시는 현 위치 유지를 검토하였고 2011년 10월 28일국토교통부는 현 위치 존치를 확정되었으며,[6] 기존 신강릉역 계획지를 지나 강릉역으로 가는 것으로 정했다. 2012년 6월 1일 오전 11시 경 강릉역 광장에서 기공식을 개최하였다.[7]

그러나 강릉역까지 새 선로를 짓는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것에 대해 기획재정부가 별도의 타당성 조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다시 불투명해졌다.[8]

횡성군 구간 논란

노선 변경 논란

원주-강릉선은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부터 수송 계획 발표가 나온 핵심 노선이라 (호남고속선과 함께) 예산 우선 순위가 적용되며 2017년 말까지 무조건 개통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명박 대통령 순시 이후 강원도의 풍경을 볼 수 있도록 하라는 지시에 따라 횡성군 구간 터널에서 50m 이상 고가가 포함된 노선으로 멋대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재설계했다가 수천억 원이 추가로 소요되고 마을주민이 마을이 두 동강 난다고 반대하여 한 공구는 착공도 하지 못하고 있었다.

횡성역 위치 논란

횡성군에서는 횡성역이 읍내에서 조금 더 가깝고 원주공항과 연계되는 청용리로 옮겨야 된다고 주장하였으나, 동남쪽으로 떨어진 생운리로 건설하는 안을 결국 수용하였다.[9]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