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빨강 | |
---|---|
![]() | |
16진수 표기 | #ED1A3D |
sRGBB (r, g, b) | (237, 26, 61) |
CMYKH (c, m, y, k) | (0, 100, 78, 0) |
HSV (h, s, v) | (350°, 89%, 93%) |
출처 | [출처 없음] |
B: [0–255] (바이트)로 평준화 H: [0–100] (1백)으로 평준화 |
계통색 이름 | 빨강 |
---|---|
관용색 이름 | 빨강 |
먼셀 | 5R 5/14 |
색 |
---|
![]() |
기본 성질 |
색상 채도 명도 원색 보색 색상환 |
색 목록 |
무채색: 하양 회색 검정 유채색: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시안 파랑 남색 보라 자홍 분홍 갈색 |
색의 이용 |
생물학: 보호색 경계색 디지털: 웹 색상 |
관련 항목 |
광학 시각 미술 |
위키프로젝트 색 |
빨강(red) 또는 홍색(紅色)은 가시광선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파장이 가장 긴 색이다. 파장의 길이는 약 625~740nm이다.[1] 빨강은 노랑과 함께, 사람의 눈에 잘 띄는 색으로 볼 수 있다.
목차
색 공간[편집]
- 가산 혼합에서는 초록, 파랑과 함께 빛의 삼원색 중, 하나이다.
- 감산 혼합에서는 색의 삼원색 중, 노랑과 마젠타(Magenta)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했을 때 나타나는 색이다.
- HSV 색 공간에서 빨강은 색상값 H가 0°인 색 가운데 가장 밝고 진한 색이다.
보색[편집]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의미에서 빨강의 보색은 청록색이다. 이는 CMYK 감산혼합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RGB 가산혼합에서 빨강의 보색은 옥색이다.
염료와 안료[편집]
빨강의 천연염료는 소목을 이용하여 얻는다. 빨강의 안료로는 적색산화철(Fe2O3), 광명단(Pb3O4), 카드뮴Red (CdS+ CdSe)가 흔히 쓰인다.[2]
문화[편집]
천간[편집]
병 (丙)과 정 (丁)은 빨강을 상징한다. 병 (丙)은 양(陽)의 천간이므로 육십갑자를 만들 때 빨강을 상징하는 천간에 항상 양(陽)의 지지와 결합하고 정 (丁)은 음(陰)의 천간이므로 육십갑자를 만들 때 빨강을 상징하는 천간에 항상 음(陰)의 지지와 결합한다.
지명[편집]
교통 수단[편집]
- 1974년 8월 15일에서 2000년 4월 30일까지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1호선의 고유색이었다.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고유색은 군청색으로 통일되었다. 하지만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운행되는 전동차에는 빨간색이 칠해져 있다.)
- 대한민국 신분당선의 고유색이다.
- 대한민국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고유색이다.
- 대한민국 코레일에서는 무궁화호의 대표 색이기도 하며, 75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 버스에서는 주로 광역 급행 노선버스의 대표 색상이다. 채택하는 곳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이다.
- 독일 국영 철도 (Die Bahn)의 대표 색상이며,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철도의 모든 기관차 도색은 빨간색이므로, 일본의 고속 철도인 도카이도 신칸센 및 산요 신칸센의 열차 등급인 히카리호로 사용한다.
- 터키항공, 일본항공의 대표 색상이다.
- 소방차의 기본 색상이다.
- 엘리베이터 중 짝수층 승강기의 색상이다.
경고[편집]
- 빨강은 금지나 경고를 나타내는 표지에 흔히 쓰인다. 위험물의 표지, 정지신호, 출입금지, 축구 경기에서의 레드카드 등에 사용된다.
- 성인용(청소년 보호법상, 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간주되어, 19세 미만은 사용 불가)의 영상 및 음성 매체의 경고 표시에도 사용되지만, 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판정(사전 및 사후 심의)이 된 이후에, 행정절차법에 따라 고시의 효력이 발생한 경우, 반드시 청소년 유해 매체물의 표시 및 개별 포장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게임물에서는 청소년 보호법상, 청소년 이용불가에 이 색상이 사용되므로, 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 사전 심의를 별개로 전담하고 있다.
성별[편집]
- 빨강은 여성을 뜻하는 색상이다. 한 예로 화장실은 여자 화장실을 뜻하는 표시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 여자 한복의 치마나 저고리 옷고름에도 빨간색을 사용한다. (가끔 남자 한복의 마고자에도 사용된다.)
온도[편집]
- 빨강은 따뜻한 느낌이 드는 색상이다. 한 예로 수도꼭지의 색상이 빨간색일 경우 온수만 나오는 수도임을 뜻한다.
생물학[편집]
사상[편집]
빨강은 아주 오래전부터 여러 가지 사상을 대표하는 색이었다.
이념[편집]
정치[편집]
문학[편집]
군대[편집]
역사[편집]
기업[편집]
- SK그룹, LG그룹, 오리온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의 기아자동차가 빨강색을 사용한다. 공기업으로는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가 이 색을 사용하고 있다. 영국의 이동통신사 보다폰이 이 색상을 사용한다. 광학 기기로 유명한 캐논의 대표 색이기도 하며,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와 푸마의 색상 또한 이 색상이다. HSBC의 색상도 이 색상이다.
- 코카콜라의 고유 색상이다.
- 포털 사이트인 네이트의 고유 색상으로 쓰인다.
야구[편집]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보스턴 레드삭스의 원정 유니폼 상의가 빨강색이다.
- KBO 리그에서는 KIA 타이거즈의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이 빨강색이다. 과거 SK 와이번스의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이었다.(2006년부터 2014년까지)
축구[편집]
- 심판이 퇴장을 명령할 때 뒷주머니에서 레드카드를 꺼내 든다.
- 독일 분데스리가의 FC 바이에른 뮌헨, 바이엘 04 레버쿠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아스널 FC, 리버풀 FC, 프랑스 르샹피오나 AS 모나코 FC의 유니폼이 이 색상이다.
- 독일 분데스리가의 함부르크 SV는 홈 유니폼에 항상 빨간 바지가 들어간다. 그에 따라서 함부르크는 빨간 바지 (Rothosen) 라는 별명을 얻었다.
- 독일 분데스리가의 VfB 슈투트가르트, 하노버 96은 빨강 (Die Roten) 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홈 유니폼 색상은 각각 흰색과 갈색이다.
- 대한민국, 베트남, 캐나다,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노르웨이, 스페인, 스위스, 터키, 앙골라의 국가대표 유니폼이 빨강색이다. 현재 중국, 불가리아, 체코의 원정 유니폼이 빨강색이다. 한때 독일의 원정 유니폼의 색상이 빨강이었다.
- 경기 할때는 레드카드가 필요하다.
- 축구에 유니폼 색에 대한 징크스가 존재하며 대체로 이 색의 유니폼이 파랑색의 유니폼보다 성적이 저조하다.
- 인도네시아는 국기 색에 맞춰 빨간색 유니폼을 입는다.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명이 Merah Putih (므라 뿌띠)인 것도 이 때문이다.)
농구[편집]
- 미국 프로 농구 협회 시카고 불스의 원정 유니폼 색상이 빨간색이다.
- 한국 프로 농구 서울 SK 나이츠, 고양 오리온스, 안양 KGC인삼공사 등의 홈 유니폼 색상이 빨강이다. 이들 구단은 원정 유니폼으로는 흰색을 쓴다.
펜싱[편집]
- 규정을 두번 위반하는 경우 레드카드가 주어지며, 받은 선수는 상대 선수에게 1점을 내준다.
- 주심을 기준으로 왼쪽에 서 있는 선수는 득점시 빨간 불이 들어온다.
돈[편집]
- 중화민국 100신 타이완 달러 중화인민공화국 100런민비 유럽 통합 화폐 10유로, 덴마크 1,000크로네, 노르웨이 100크로네, 스웨덴 1,000크로나, 스위스 20프랑, 영국 최고액권인 50파운드의 기조 색상이다.
달력[편집]
국기[편집]
국기[편집]
신호등[편집]
- 신호등의 색이 빨강색이면, 모든 차량은 정지해야 한다. 보행자 신호등도 마찬가지로 빨강색이면, 정지해야 한다.
아이돌 풍선색[편집]
컴퓨터[편집]
빨강 계열의 색상[편집]
색 이름 | 색상 |
---|---|
빨강 | |
밤색 | |
크림슨 | |
분홍 | |
자청색 | |
다홍색 |
각주[편집]
![]() |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Red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0F | 하양 | 검정 | 빨강 | 노랑 | 밝은 초록 | 옥색 | 파랑 | 밝은 자주 |
---|---|---|---|---|---|---|---|---|
08 | 은색 | 회색 | 갈색 | 올리브색 | 초록 | 청록 | 남색 | 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