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바가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처의 여러 호칭에서 넘어옴)

바가반(산스크리트어: भगवान्, 팔리어: bhagavā)은 종교적 숭배 대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인도 종교 내의 별칭이다. 힌두교에서는 이나 화신, 특히 비슈누파비슈누크리슈나, 시바파시바, 샤크티파두르가 또는 마하데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1][2] 자이나교에서 이 용어는 티르탕카라, 특히 마하비라를 가리키며 불교에서는 붓다를 가리킨다.[3]

인도와 남아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바가반은 영적이며 종교적이지만 특정 신을 숭배하지 않는 힌두교도에게 보편적인 신의 추상적 개념을 나타낸다.[1]

바크티 학교 문헌에서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도를 드리는 모든 신에게 사용된다. 특정 신은 종종 헌애자의 유일한 바가반이다.[2] 바가반에 해당하는 여성은 바가바티이다.[4][5] 일부 힌두교도에게 바가반이라는 단어는 추상적이고 성별이 없는 신의 개념이다.

불경에서 이 용어는 고타마 싯다르타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며 그를 바가바 또는 바가반(세존)이라고 한다.[6][7] 바가반이라는 용어는 상좌부 불교, 대승 불교밀교 텍스트에서도 발견된다.[8][9]

어원

[편집]

산스크리트어 바가바트(bhagavat)는 원래는 "바가반(Bhagavan: 주, Lord, 하느님, God)에 관련된 (pertaining to Bhagavan)"이라는 뜻의 힌두교 용어인 산스크리트어 바가바타(bhāgavata)에서 유래한 말이며 또한 같은 말인데, 불교권에서는 바가바타(bhāgavata)라고 표기하지 않고 불교적인 개념을 담아서 바가바트(bhagavat)라고 표기한다는 견해가 있다.[10][11]

하지만, 모니어 윌리엄스의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에 따르면, 바가바타(bhāgavata)의 뜻이 오히려 '비슈누크리슈나 등의 바가바트에 관련된 또는 바가바트로부터 온 (relating to or coming from Bhagavat i.e. Vishnu or Krishna)'이라는 뜻이다.[12] 그리고 바가바트(Bhagavat)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13]

  1. 재산 · 행운 · 번영 · 행복을 가진 (possessing fortune , fortunate , prosperous , happy)
  2. 눈부시도록 빛나는, 저명한, 신성(神性)한, 경배할 만한, 공경할 만한 (glorious, illustrious, divine, adorable, venerable)
  3. ( · 반신 또는 성인에 적용되는 의미로) 성스러운, 신성(神聖)한 (holy [applied to gods, demigods, and saints as a term of address, either in voc. bhagavan, bhagavas, bhagos])
  4. 불교 경전의 제목에 흔히 붙는 성스러움의 뜻의 접두어 (with Buddhists often prefixed to the titles of their sacred writings)
  5. 비슈누, 크리슈나 등의 신 또는 경배할 존재 (the divine or adorable one of Vishnu-Krishna Bhag. BhP.)
  6. 부처 또는 보살 또는 자이나교의 깨달은 자(a Buddha or a Bodhi-sattva or a Jina Buddh)

힌두교

[편집]

불교

[편집]

불교에서 바가반은 고타마 붓다를 비롯한 부처의 지위증득한 이를 칭하는 호칭 가운데 하나이다.[14][15] 박가범(薄伽梵) · 박아범(薄阿梵) · 바가범(婆伽梵) · 바가반(婆伽伴) · 바아부저(婆誐嚩底) · 바아부제(婆誐嚩帝) 또는 박가발제(薄伽跋帝)라고도 음역한다.[16][17]

이러한 호칭을 '모든 부처 또는 여래에게 통용되는 호칭' 즉 부처의 다른 명칭이라는 뜻에서 전통적인 용어로 제불통호(諸佛通號)라고 한다. 제불통호는 부처 또는 여래에 대한 특정한 10가지 호칭인 여래10호(如來十號)를 포함하는 개념이다.[14] 바가바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바가바트(bhagavat)는 세존(世尊)이라고도 의역되는데, 이 때의 바가바는 여래10호에 속한다. 불교 경전과 논서들에서 고타마 붓다는 아주 흔히 세존이라 호칭되고 있다.[18][19]

용수의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바가바에 다음의 4가지 뜻이 있다.

  1. 유덕(有德): 이 있음[20][21]
  2. 분별교(分別巧): 을 잘 분별함[22][23]
  3. 유명성(有名聲): 명성이 있음[24][25]
  4. 능파(能破): 3독(三毒)을 깨뜨림에 있어 능함[26][27]

세존과 바가바

[편집]

바가바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바가바트(bhagavat)를 비롯하여 로카나타(loka-nātha, 世主) · 로카즈예스타(loka-jyestha, 世中最尊者) 등의 많은 명칭이 모두 세존(世尊)이라고 의역되기도 하는데, 세존여래10호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바가바의 뜻을 세존이라고 볼 경우에 바가바는 여래10호에 속한다.[18][19]

대지도론》 제2권에서는 바가바(婆伽婆)의 대표적인 의역은 유덕(有德)이며 로카나타(loka-nātha, 路迦那他, 노가나타)의 의역이 세존(世尊)인 것으로 말하여 둘을 구분하고 있다.[28][29]

세존은 온갖 공덕을 원만히 갖추어 세간을 이익케 하고 세간에서 존중을 받으므로 세존이라 하고, 또한 세상에서 가장 높다는 뜻에서 세존이라 한다. 불교 경전과 논서들에서 고타마 붓다는 아주 흔히 세존이라 호칭되고 있다.[18][19]

바가바의 4가지 뜻

[편집]

유덕

[편집]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바가바(婆伽婆, bhagavat)에는 유덕(有德)의 뜻이 있다.

유덕(有德)은 이 있음을 말한다.

분별교

[편집]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바가바(婆伽婆, bhagavat)에는 분별교(分別巧)의 뜻이 있다.

분별교(分別巧) 모든 의 총상(總相: 전체적인 모습)과 별상(別相: 개별적인 모습)을 잘 분별하는 것을 말한다.

유명성

[편집]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바가바(婆伽婆, bhagavat)에는 유명성(有名聲)의 뜻이 있다.

유명성(有名聲)은 명성이 있다는 것으로, 단순히 유명하다 또는 명성이 높다는 뜻은 아니다. 《대지도론》에 따르면, 전륜성왕(轉輪聖王) · 인드라(釋, Indra) · 브라흐마(梵, Brahmā) · 로카팔라(護世, Lokapāla) 등도 명성이 있지만 부처의 명성은 이들보다 더 높은데 그 이유는 부처에게는 (結) 즉 번뇌가 없기 때문이다.

능파

[편집]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바가바(婆伽婆, bhagavat)에는 능파(能破)의 뜻이 있다.

능파(能破)는 (婬: 음욕) · (怒: 성냄) · (癡: 어리석음)의 3독(三毒), 즉 (貪) · (瞋) · (癡)의 불선근을 깨뜨림에 있어 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추가 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James Lochtefeld (2000), "Bhagava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978-0823931798, page 94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james"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Friedhelm Hardy (1990), The World's Religions: The Religions of Asia, Routledge, ISBN 978-0415058155, pages 79-83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riha"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Buswell, Robert E.; Lopez, Donald S. (2014).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8쪽. 
  4. Friedhelm Hardy (1990), The World's Religions: The Religions of Asia, Routledge, ISBN 978-0415058155, page 84
  5. Sarah Caldwell (1998), Bhagavati, in Devi: Goddesses of India (Editors: John Stratton Hawley, Donna Marie Wulff),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912, pages 195-198
  6. The latter term preferred by Bhikkhu Bodhi in his English translations of the Pali Canon
  7. Ju-Hyung Rhi (1994), From Bodhisattva to Buddha: The Beginning of Iconic Representation in Buddhist Art, Artibus Asiae, Vol. 54, No. 3/4, pages 207-225
  8. John Campbell (2009), Vajra hermeneutics: A study of Vajrayana scholasticism in the "Pradipoddyotana", PhD Thesis accepted by Columbia University (Advisor: Robert Thurman), page 355

    Christian K. Wedemeyer, Aryadeva's Lamp that Integrates the Practices (Caryamelapakapradlpa): The Gradual Path of Vajraydna Buddhism According to the Esoteric Community Noble Tradition, ed. Robert A. F. Thurman, Treasury of the Buddhist Sciences series (New York: The American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at Columbia University, 2007), ISBN 978-0975373453
  9. Peter Harvey, Buddhism, Bloomsbury Academic, ISBN 978-0826453501, page 4
  10. “The Newly Discovered Three Sets Of Svetaka Gangacopper Plates” (PDF). 2009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 Kielhorn, F. (1908). “Bhagavats, Tatrabhavat, and Devanampriya”.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502–505. 2011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0일에 확인함. 
  12.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bhagavata".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bhagavata: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bhAgavata see s.v.
    2 (mwd) bhAgavata mf(%{I})n. (fr. %{bhaga-vat}) relating to or coming from Bhagavat i.e. Vishn2u or Kr2ishn2a , holy , sacred , divine MBh. Hariv. Pur. ; m. a follower or worshipper of BhñBhagavati or Vishn2u ib. (cf. IW. 321 , 1) ; N. of a king VP. ; n. N. of a Pura1n2a (cf. %{bhAgavata-p-}).
    3 (cap) bhAgavata , f. {I} relating to Bhagavant (Vis2n2u), m. a follower of Bh.; n. = seq."
  13.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bhagavat".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bhagavat: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bhagavat &c. see p. 743 , col. 3.
    2 (mwd) bhagavat ind. like a vulva Vishn2. Sch. -2.
    3 (mwd) bhagavat mfn. see below.
    4 (mwd) bhagavat 2 mfn. (for 1. see under %{bha4ga}) possessing fortune , fortunate , prosperous , happy RV. AV. Gr2S. BhP. ; glorious , illustrious , divine , adorable , venerable AV. &c. &c. ; holy (applied to gods , demigods , and saints ae a term of address , either in voc. %{bhagavan} , %{bhagavas} , %{bhagos} [cf. Pa1n2. 8-3 , 1 Va1rtt. 2 Pat. , and viii , 3 , 17] f. %{bhagavatI} m. pl. %{bhagavantaH} ; or in nom. with 3. sg. of the verb ; with Buddhists often prefixed to the titles of their sacred writings) ; m. `" the divine or adorable one "'N. of Vishn2u-Kr2ishn2a Bhag. BhP. ; of S3iva Katha1s. ; of a Buddha or a Bodhi-sattva or a Jina Buddh. (cf. MWB. 23) ; (%{I}) f. see below."
  14. 운허, "婆伽婆(바가바)".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婆伽婆(바가바): 【범】 bhagavat (1) 제불통호(諸佛通號)의 하나. 박가범(薄伽梵)이라고도 쓰며, 세존(世尊)ㆍ중우(衆祐)ㆍ파정지(破淨地)라 번역. 『대지도론』 제3권에는 네 가지 뜻을 들어 설명하였다. ① 바가(婆伽)는 덕을 말하고, 바(婆)는 유(有)를 말한 것으로 이는 덕이 있다는 뜻. ② 바가는 분별, 바는 교(巧)라 이름하니, 이는 공교하게 모든 법의 총상(總相)과 별상(別相)을 잘 분별한다는 뜻. ③ 바가는 명성(名聲), 바는 유(有)를 말한 것으로, 명성을 얻은 것이 부처님과 같은 이가 없다는 뜻. ④ 바가는 파(破), 바는 능(能)이란 말로 능히 음(婬)ㆍ노(怒)ㆍ치(癡)를 없애버렸다는 뜻. 보통 바가범의 6의(義)라고 하니, 『불지론』 제1권에 있다. ① 자재(自在). ② 치성(熾盛). ③ 단엄(端嚴). ④ 명칭(名稱). ⑤ 길상(吉祥). ⑥ 존귀(尊貴). (2)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094EAB080EBB094rowno1 婆伽婆(바가바)]". 2013년 4월 1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5. 星雲, "婆伽婆".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婆伽婆:  梵語 bhagavat。(一)為諸佛通號之一。又作薄伽梵、婆伽梵、婆伽伴、薄阿梵、婆誐嚩帝、婆誐嚩底、薄伽跋帝。意譯作有德、有大功德、有名聲、眾祐巧分別、能破、世尊。即具備眾德為世所尊重恭敬者之意。亦即佛之尊稱。
     關於婆伽婆之語義,於大智度論卷二、佛地經論卷一、法蘊足論卷二證淨品等諸經論中,皆有引用或釋義。又據佛地經論卷一、玄應音義卷三載,婆伽婆(薄伽梵)一名總攝眾德,故將其置於經首。此即指諸經首之「如是我聞,一時佛在」中之「佛」字,譯自婆伽婆。由上所述,足證婆伽婆之名廣為人知。此外,婆伽婆原無世尊之義,「世尊」一詞為一般人所易解,故自古以來譯者多以其為婆伽婆之意譯。
     又據佛地經論卷一,舉出薄伽梵六義,即:(一)自在義,(二)熾盛義,(三)端嚴義,(四)名稱義,(五)吉祥義,(六)尊貴義。另據北本涅槃經卷十八,亦列舉出婆伽婆七義,即:(一)能破煩惱。(二)能成就諸善法。(三)善解諸法義。(四)有大功德,無人能勝。(五)有大名聞,遍於十方。(六)能做種種大惠施。(七)於無量阿僧祇劫吐(即不受之義)女根,盡捨諸惡煩惱。此外,在印度一般人尊稱神仙、貴人亦用婆伽婆一語,此時之婆伽婆則具有自在、正義、離欲、吉祥、名稱、解脫等六義。(參閱「世尊」1522)
     (二)為阿彌陀佛三十七號之一。於讚阿彌陀佛偈中載有「我頂禮婆伽婆」一語,即擷取諸佛之通號而立名,此乃因十方菩薩為恭敬歌頌阿彌陀佛無量廣大之功德,故以具有大功德意味之婆伽婆名,讚歎阿彌陀佛。〔增一阿含經卷十四、百論卷上、瑜伽師地論卷三十八、大乘義章卷二十末、異部宗輪論述記、翻梵語卷一〕 p4453"
  16. 운허, "薄伽梵(박가범)".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薄伽梵(박가범): 바가바와 같음. 『현응음의』 제3권에 박가를 덕(德)이라 번역하고, 범은 성취의 뜻이라 하여 온갖 덕을 성취하였다는 뜻으로 박가범이라 한다고 하였다. ⇒바가범(薄伽梵)"
  17. 星雲, "薄伽梵".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薄伽梵:  梵語 bhagavat,巴利語 bhagavā 或 bhagavant。為佛陀十號之一,諸佛通號之一。又作婆伽婆、婆伽梵、婆誐嚩帝。意譯有德、能破、世尊、尊貴。即有德而為世所尊重者之意。在印度用於有德之神或聖者之敬稱,具有自在、正義、離欲、吉祥、名稱、解脫等六義。在佛教中則為佛之尊稱,又因佛陀具有德、能分別、受眾人尊敬、能破除煩惱等眾德,故薄伽梵亦具有有德、巧分別、有名聲、能破等四種意義。另據佛地經論卷一載,薄伽梵具有自在、熾盛、端嚴、名稱、吉祥、尊貴等六種意義。此外,亦有將佛與薄伽梵併稱為「佛薄伽梵」者。〔大智度論卷二、清淨道論卷七、大乘義章卷二十〕(參閱「世尊」1522、「婆伽婆」4453) p6510"
  18. 운허, "世尊(세존)".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世尊(세존): 【범】 Bhagavat;Lokanātha;Lokajyeha 바가범(婆伽梵)ㆍ로가나타(路迦那他)ㆍ로가야슬타(路伽惹瑟吒)라 음역. (1) 부처님 10호(號)의 하나. 부처님은 온갖 공덕을 원만히 갖추어 세간을 이익케 하며, 세간에서 존중을 받으므로 세존이라 하고, 또 세상에서 가장 높다는 것을 이렇게 이름. (2) 석존을 말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8ECA1B4rowno2 世尊(세존)]". 2013년 4월 1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9. 星雲, "世尊:". 2013년 4월 18일에 확인
    "世尊:  如來十號之一。即為世間所尊重者之意,亦指世界中之最尊者。梵語中被譯作「世尊」者甚多,如 loka-nātha(世主)、loka-jyestha(世中最尊者)、loka-vid(世間解)、lokādhipati(世之勝者)、nātha(主)、nāyaka(導師)、sugata(善逝)、maha-rsi(大仙)、mahā-vīra(大雄者)、tāyin(救度者)、anuttara(無上士)、dharma-rāja(法王)等。但諸經論中以使用 bhagavat 之情形為最多,此字音譯作婆伽婆、婆誐嚩帝、婆伽梵、薄伽梵。意譯作「世尊」之外,亦直譯作有德、有名聲等。即「富有眾德、眾祐、威德、名聲、尊貴者」之意。其中,以「世尊」一語最易解知,故自古以來之譯者多以其為意譯,我國即為一例。然在印度,一般用為對尊貴者之敬稱,並不限用於佛教;若於佛教,則特為佛陀之尊稱。〔十號經、大日經疏卷一、往生論註卷上(曇鸞)、翻譯名義集卷一〕(參閱「婆伽婆」4453) p1522"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274DTITLEA5B4L 世尊:]". 2013년 4월 1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0.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0b14 - T25n1509_p0070b16. 유덕(有德)
    "【經】 婆伽婆。 【論】 今當說。 釋曰: 云何名「婆伽婆」? 「婆伽婆」者,「婆伽」言「德」,「婆」言「有」,是名有德。"
  21.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p. 77-78 / 2698. 유덕(有德)
    "[經] 바가바(婆伽婆)께서
    [論] 이제부터 설명하여 해석하리라. 어찌하여 바가바109)라 하는가? 바가바라고 할 때 바가(婆伽)110)는 덕(德)111)이요,112) 바(婆)113)는 있음[有]이니, 이를 유덕(有德)이라 부른다.
    109) 범어로는 Bhagavat.
    110) 범어로는 bhaga.
    111) 범어로는 guṇa.
    112) 범어로는 Bhāga는 ‘행복,’ ‘덕,’ ‘지복’ 등의 의미를 지닌다.
    113) 범어로는 vat. ‘지니다’라는 의미를 지니는 어미이다."
  22.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0b16 - T25n1509_p0070b17. 분별교(分別巧)
    "復次,「婆伽」名「分別」,「婆」名「巧」,巧分別諸法總相別相,故名「婆伽婆」。"
  23.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 78 / 2698. 분별교(分別巧)
    "또한 바가는 분별(分別)114)이라 하고, 바는 교묘함[巧]115)이라 부른다. 모든 법의 전체적인 모습과 부분적인 모습을 교묘하게 잘 분별하기 때문에 바가바라 한다.
    114) 범어로는 vibhāga.
    115) 범어로는 kuśala."
  24.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0b17 - T25n1509_p0070c01. 유명성(有名聲)
    "復次,「婆伽」名「名聲」,「婆」名「有」,是名「有名聲」,無有得名聲如佛者。轉輪聖王、釋、梵、護世者,無有及佛,何況諸餘凡庶!所以者何?轉輪聖王與結相應,佛已離結;轉輪聖王沒在生、老、病、死泥中,佛已得渡;轉輪聖王為恩愛奴僕,佛已永離;轉輪聖王處在世間曠野災患,佛已得離;轉輪聖王處在無明闇中,佛處第一明中;轉輪聖王若極多領四天下,佛領無量諸世界;轉輪聖王財自在,佛心自在;轉輪聖王貪求天樂,佛乃至有頂樂亦不貪著;轉輪聖王從他求樂,佛內心自樂。以是因緣,佛勝轉輪聖王。諸餘釋、梵、護世者,亦復如是,但於轉輪聖王小勝。"
  25.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 78 / 2698. 유명성(有名聲)
    "또한 바가는 명성(名聲)116)이라 하고 바는 있음이라 하니, ‘명성이 있는 분’이란 뜻이다. 아무도 부처님과 같이 명성을 얻은 이가 없으니, 전륜성왕(轉輪聖王)117)이나 석(釋) · 범(梵) · 호세(護世)118)도 부처님께 미치지 못하거늘 하물며 그 밖의 범부나 서민들이겠는가.
    왜 냐하면 전륜성왕은 번뇌[結]와 상응하지만 부처님은 이미 번뇌를 여의었기 때문이다. 전륜성왕은 생 · 노 · 병 · 사의 수렁에 빠져 있지만 부처님은 이미 건너셨고, 전륜성왕은 은애(恩愛)의 노예이지만 부처님은 이미 영원히 여의었고, 전륜성왕은 세간이라는 광야(曠野)의 재앙 구덩이에 있지만 부처님은 이미 여의었고, 전륜성왕은 무명119)의 어두움 속에 있지만 부처님은 으뜸가는 밝음 가운데 계시고, 전륜성왕은 기껏 사천하를 거느리지만 부처님은 한량없는 세계를 통솔하시고, 전륜성왕은 재물에 자재하지만 부처님은 마음에 자재하시고, 전륜성왕은 하늘의 즐거움을 탐하고 구하지만 부처님은 유정천(有頂天)의 즐거움조차 탐내지 않으시고, 전륜성왕은 남에게서 즐거움을 구하지만 부처님은 마음속에서 스스로 즐기신다.
    이런 까닭에 부처님은 전륜성왕보다 훌륭하시다. 그 밖의 석 · 범 · 호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그들은 전륜성왕보다는 약간 수승할 따름이다.
    116) 범어로는 yaśas.
    117) 범어로는 Cakravartin.
    118) 범어로는 각각 Indra, Brahmā, Lokapāla이다.
    119) 범어로는 avidyā. 제법의 존재방식에 대한 무지를 의미한다."
  26.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0c01 - T25n1509_p0070c11. 능파(能破)
    "復次,「婆伽」名「破」,「婆」名「能」,是人能破婬怒癡故,稱為「婆伽婆」。 問曰: 如阿羅漢、辟支佛,亦破婬怒癡,與佛何異? 答曰: 阿羅漢、辟支佛雖破三毒,氣分不盡;譬如香在器中,香雖出,餘氣故在;又如草木薪火燒煙出,炭灰不盡,火力薄故。佛三毒永盡無餘;譬如劫盡火燒須彌山,一切地都盡,無煙無炭。如舍利弗瞋恚氣殘,難陀婬欲氣殘,必陵伽婆磋慢氣殘;譬如人被鎖,初脫時行猶不便。"
  27.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p. 78-79 / 2698. 능파(能破)
    "또한 바가는 깨뜨린다[破]120)는 뜻이고 바는 능하다는 뜻이니, 이 분은 음욕 · 성냄 · 어리석음을 깨뜨리기 때문에 바가바라 부른다.
    [문] 아라한이나 벽지불들도 음욕 · 성냄 · 어리석음을 깨뜨리는데 부처님과 무엇이 다른가?
    [답] 아라한이나 벽지불이 비록 3독(毒)121)을 깨뜨렸으나 그 기분(氣分)122)은 다하지 못했으니, 비유하건대 향 그릇에서 향을 이미 비웠으나 향기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과 같다.
    또한 풀 · 나무 · 섶을 불로 태워 연기가 났으나 숯과 재는 다하지 않은 것과 같나니, 불의 힘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부처님은 3독이 영원히 다하여서 남음이 없나니, 비유하건대 겁(劫)123)이 다하여 불이 수미산을 몽땅 태우면 모두 타버려 연기도 숯도 없어지는 것과 같다.
    사리불은 성내는 습기가 남았고, 난타(難陀)124)는 음욕의 습기가 남았고, 필릉가바차(必陵伽婆磋)125)는 교만한 습기가 남았으니, 비유하건대 사람이 오라에서 풀려나면 걷기는 하되 매우 불편한 것과 같다.
    120) 범어로는 bhaṅga.
    121) 위에서 말한 음욕 · 성냄 · 어리석음이다.
    122) 이어지는 비유로 본다면 그 뜻은 ‘습기,’ ‘흔적,’ ‘자취,’ ‘잠재력’ 등이 된다.
    123) 범어로는 kalpa.
    124) 범어로는 Nanda. 석존의 사촌으로 석가족과 함께 출가했으나 집에 남겨둔 부인을 잊지 못해 수행에 전념할 수 없었다고 한다. 세존의 교화를 받아 출가생활을 계속하나 옷이나 발우, 신발 등의 물욕이 많았다고 한다.
    125) 범어로는 Pilindavatsa. 사위성에 살던 바라문으로 남을 멸시하는 등 교만했으나, 나중에 출가하여 불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28.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3b06 - T25n1509_p0073b13. 세존(世尊)
    "婆伽婆名有德,先已說。 復名「阿婆磨」(秦言無等);復名「阿婆摩婆摩」(秦言無等等);復名「路迦那他」(秦言世尊);復名「波羅伽」(秦言度彼岸);復名「婆檀陀」(秦言大德);復名「尸梨伽那」(秦言厚德);如是等無量名號。父母名字悉達陀(秦言成利),得道時,知一切諸法故,是名為佛。應受諸天世人供養。如是等得名大德、厚德。如是種種,隨德立名。"
  29.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 93 / 2698. 세존(世尊)
    "바가바(婆伽婆)는 ‘덕을 지닌 분(有德)175)’이라 함은 이미 설명했다.
    또한 아바마(阿婆磨)176)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같을 이 없는 분(無等)이다.] 또한 아바마바마(阿婆摩婆摩)177)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등등함이 없는 분(無等等)’이라 한다.] 또한 노가나타(路迦那他)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세상에서 존귀한 분(世尊)’이라 한다.] 또한 바라가(波羅伽)178)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피안으로 건너가신 분(渡彼岸)이다.] 또한 바단타(婆檀陀)179)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큰 덕을 지닌 분(大德)’이라 한다.] 또한 시리가나(尸梨伽那)180)라 하다.[진나라 말로는 ‘후덕하신 분(厚德)’이라 한다.]
    이와 같이 한량없는 명호가 있지만 부모가 주신 이름은 실달타(悉達陀)181)이다.[진나라 말로는 ‘이로움을 성취한 자(成利)’라 한다] 도를 얻으셨을 때에 모든 법을 알았으므로 부처님이라 불렀다. 또한 하늘과 세간 사람의 공양을 받아 마땅했다.
    이와 같이 해서 ‘큰 덕이 있는 분,’ ‘후덕한 분’이라 불리게 되었느니, 이처럼 갖가지 덕에 따라 이름을 붙였던 것이다.
    175) 범어로는 guṇavat.
    176) 범어로는 Asama.
    177) 범어로는 Asamasama.
    178) 범어로는 Pāraga.
    179) 범어로는 Bhadanta.
    180) 범어로는 Śrīguṇa.
    181) 범어로는 Siddhārt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