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가경
불교 |
---|
《능가경(楞伽經)》(산스크리트어: लंकावतारसूत्र 랑카바타라 수트라)은 후기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400년 쯤에 성립되었다고 한다.[1] 한역으로는 송역(宋譯) 4권본 · 위역(魏譯) 10권본 · 당역(唐譯) 7권본의 3종과, 티베트역으로는 법성(法成)의 손으로 이루어진 2종이 현존하는데 그 중에서도 송역 4권본이 가장 원초적인 형태를 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1]
《능가경》은 대승불교 중에서도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서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모든 인간은 여래와 같은 본성을 구비하고 있다는 입장)에 입각하여 그 이전의 여러 학파의 설을 풍부하게 채택하고, 이들 학설이 종교경험과 어떻게 맺어져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는 점에서 귀중한 불교 경전으로 여겨지며 특히 초기의 선종에서 중시되었다.[1]
내용[편집]
구성은 고타마 붓다가 나바나왕(羅婆那王)의 권청(勸請)에 의하여 랑카(楞伽: 일반적으로는 현재 스리랑카와 동일시되고 있다)에 건너가 불제자 중 대표적인 질문자인 대혜(大慧 · Mahāmati)의 물음에 대하여 대승불교의 여러 교설을 설명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1]
종교의 유래[편집]
종교[宗敎] 같은 언어도 능가경에서 유래하였다. 싯단타 데사나(Siddhanta Desana)를 종교[宗敎] 즉 으뜸 되는 가르침이라는 의미 하에 해석되었다.
한역본[편집]
- 유송 구나발타라의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K.159, T.0670) 4권[2]
- 북위 보리유지의 《입능가경(入楞伽經)》(K.160, T.0671) 10권
- 당역(唐譯) 7권본의 정식 명칭은 《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K.0161, T.0672)이며, 당나라 때 실차난타(實叉難陀)가 700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704년에 완성하였다.[3]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교 > 불교의 성전 > 능가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운허 & 동국역경원, "大乘入楞伽經(대승입능가경)" Archived 2016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4월 6일에 확인.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교 > 불교의 성전 > 능가경"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 한역본
- 실차난타 한역. 《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 대정신수대장경. Vol. 16, No. 672, CBETA. 2011년 4월 6일에 확인.
- 한글본
- 실차난타 한역, 김진철 번역. 《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 K.161(10-919), T.672(16-587),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동국역경원. 2011년 4월 6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