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Buddhist texts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불교 |
---|
불경(佛經, 영어: Buddhist texts)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다.
중복되는 예도 많고 인도, 중국, 티베트, 한국을 거치면서 같은 경전이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불교의 경전은 1차 결집은 석가모니의 말을 제자들이 다시 암송하는 것이었다. 즉 현재처럼 책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같이 암송하여 석가모니의 말임을 확인하는 것이 결집이었다. 그 후 3차 결집에서는 패엽에 기록하였고 이후 경, 논, 율 의 3장 삼장으로 분류하여 각국에서 대장경을 결집하였다.
현재 일본의 신수대장경이 가장 체계적인 정리이므로 불교 연구에서 대장경의 표준이다. 대한민국 해인사의 팔만대장경도 2004년 현재 전산화가 완료되었다.
불교 경전은 상좌부 불교 계통인 아함경 등 상좌부 경전 / 대승불교의 대승경전 / 티베트 불교, 즉 밀교의 금강승 계통의 경전으로 나눌 수 있다. 밀교는 일반적으로 대승에 속한다.
주요 불경[편집]
대승삼부경(大乘三部經)[편집]
오부대승경(五部大乘經)[편집]
천태종에서 중시하는 다섯 경전이다.
법화삼부경(法華三部經)[편집]
- 법화경
- 무량의경(無量義經)
- 관보현경(觀普賢經)
미륵삼부경(彌勒三部經)[편집]
- 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
- 관미륵보살하생도솔천경
- 미륵대성불경
미륵육부경(彌勒六部經)[편집]
-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
- 미륵내시경(彌勒來時經)
- 미륵하생성불경(彌勒下生成佛經)
- 미륵대성불경(彌勒大成佛經)
-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 미륵상생성불경(彌勒上生成佛經)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편집]
지장삼부경(地藏三部經)[편집]
- 지장십륜경(地藏十輪經)
- 지장본원경(地藏本願經)
-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대일여래삼부경(大日如來三部經)[편집]
- 대일경(大日經)
- 금강정경(金剛頂經)
- 소실지경(蘇悉地經)
진호국가삼부경(鎭護國家三部經)[편집]
나라를 지키는 세 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