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불교 용어 목록 (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8혜에서 넘어옴)

바로가기:

파불

[편집]

파불(破佛)은 극심한 불교 탄압(Persecution of Buddhists)을 뜻한다.

팔근

[편집]

8근(八根)은 22근 가운데 신근(信根) · 근근(勤根) · 염근(念根) · 정근(定根) · 혜근(慧根)의 5선근(五善根)과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 · 이지근(已知根) · 구지근(具知根)의 3무루근(三無漏根)을 통칭하는 말이다.[1][2] 줄여서 (信) · (勤) · (念) · (定) · (慧) · 미지(未知) · 당지(當知) · 이지(已知) · 구지(俱知)라고도 한다.

팔근의 증상

[편집]

8근의 증상[八根根增上]은 22근 가운데 8가지인 신근 · 근근 · 염근 · 정근 · 혜근 · 미지당지근 · 이지근 · 구지근8근(八根)이 가지는 뛰어난 작용력을 말한다.[1][3]

'(根)'은 증상력(增上力) 즉 뛰어난 힘 또는 작용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데,[4][5][6][7] 8근정증상(淨增上)이라는 뛰어난 작용력을 가지고 있다.[1][3]

정증상(淨增上)은 (淨: 청정법, 무루, 선)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는 뜻으로, (信) · (勤) · (念) · (定) · (慧) · 미지(未知) · 당지(當知) · 이지(已知) · 구지(俱知)의 8근이 온갖 청정법을 섭수(攝受)하여서 생겨나게 하고(즉, 미래의 법이 현재의 법이 되게 하고) 또한 기존의 청정법증장시킨다는 것을 말한다.[1][3]

팔무위

[편집]

8무위(八無爲)는 8종무위(八種無爲)라고도 하며,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설하는 허공(虛空) · 비택멸(非擇滅) · 택멸(擇滅) · 부동(不動) · 상수멸(想受滅) · 선법진여(善法真如) · 불선법진여(不善法真如) · 무기법진여(無記法真如)의 8가지 무위법(無爲法)을 말한다.[8][9]

팔사

[편집]

8사(八邪)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로, [身] · [語] · [意, 마음]으로 행하는 다음의 8가지 종류의 잘못된 행위, 또는 8가지 그릇된 길을 말한다.[10][11][12]

8사행(八邪行), 8사지(八邪支) 또는 8사법(八邪法)이라고도 한다.[10][11]

  1. 사견(邪見) · 부정견(不正見) · 악견(惡見)
  2. 사사유(邪思惟) · 사지(邪志) · 사사(邪思) · 부정사유(不正思惟)
  3. 사어(邪語)
  4. 사업(邪業)
  5. 사명(邪命) 또는 사활명(邪活命)
  6. 사정진(邪精進) 또는 사방편(邪方便)
  7. 사념(邪念)
  8. 사정(邪定)

팔식십명

[편집]

8식10명(八識十名, 영어: ten names of the eighth consciousness, ten names of the eighth vijñāna) 또는 제8식10명(第八識十名)은 《종경록(宗鏡錄)》 제50권에 나오는,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을 가리키는 다음의 10가지 다른 명칭을 말한다.[13]

  1. 8식(八識)
  2. 화합식(和合識)
  3. 장식(藏識)
  4. 훈변식(熏變識)
  5. 출생식(出生識)
  6. 금강지식(金剛智識)
  7. 적멸식(寂滅識)
  8. 체식(體識)
  9. 본각식(本覺識)
  10. 일체종지식(一切種智識)

팔전

[편집]

8전(八纏)은 다음의 8가지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아래 목록은 《구사론》 제21권에 따른 것이다.[14][15]

  1. 무참(無慚)
  2. 무괴(無愧)
  3. (嫉)
  4. (慳)
  5. (悔)
  6. (眠)
  7. 도거(掉舉)
  8. 혼침(惛沈):

팔혜

[편집]

8혜(八慧)는 (慧)의 8가지 다른 이름인 (智) · (見) · (明) · (覺) · (解) · (慧) · (光) · (觀)을 말한다. (참고: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보광(普光)의 《구사론기(俱舍論記)》 제26권에 따르면, 8혜(八慧) 즉 혜의 8가지 다른 이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16]

  1. (智): 결단(決斷) 또는 중지(重知: 거듭하여 앎)
  2. (見): 추구(推求) 또는 현조(現照)
  3. (明): 조명(照明)
  4. (覺): 각오(覺悟)
  5. (解): 달해(達解)
  6. (慧): 간택(簡擇)
  7. (光): 혜광(慧光)
  8. (觀): 관찰(觀察)

평등성지

[편집]

평등성지(平等性智)는 유식유가행파4지(四智)와 밀교5지(五智) 가운데 하나로, 오염된 상태의 제7말나식(轉: 질적 변형)하여 증득하는 무루혜로, 일체의 사상(事相: 현상계의 )과 자타(自他)가 평등하여 하나[不二, 一如]라는 것을 깨달아 대자비심(大慈悲心)을 일으키는 지혜이다.[17][18][19]

유식유가행파의 수행 계위인 자량위(資糧位) · 가행위(加行位) · 통달위(通達位) · 수습위(修習位) · 구경위(究竟位)의 5위(五位) 가운데 통달위에서 평등성지의 일부를 증득하고 구경위에서 불과(佛果)를 성취할 때 그 전체를 증득한다.[17]

평등향

[편집]

평등향(平等香)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를 말한다. 호향(好香: 좋은 냄새) · 오향(惡香: 나쁜 냄새) · 평등향(平等香: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의 3향(三香)의 하나이다.[20][21]

포살

[편집]

포살(布薩)은 한 달에 두 번 계경(戒經: 계율이 수록된 경전)을 염송(念誦)하는 것을 듣고 자기 자신을 반성하는 것이다.[22]

폭류

[편집]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23][24][25][26]

폭류(暴流)는 번뇌다른 이름(結) · (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纏) · 폭류(暴流) · (軛) · (取) · (繫) · (蓋) · 주올(株杌) · (垢) · 상해(常害) · (箭) · 소유(所有) · (根) · 악행(惡行) · (漏) · (匱) · (燒) · (惱) · 유쟁(有諍) · (火) · 치연(熾然) · 조림(稠林) · 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
폭류(暴流)는 심난도(深難渡)와 순류표(順流漂)를 뜻한다. 즉, 번뇌가 매우 건너기 어려운 것이며 유정으로 하여금 흐름에 따라 떠내려가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푸갈라

[편집]

푸갈라(팔리어: puggala)는 푸드갈라의 다른 말이다.

푸드갈라

[편집]

푸드갈라 또는 푸갈라(산스크리트어: pudgala, 팔리어: puggala, 영어: ego, soul, individual)는 사람을 뜻한다. 실체로서의 (我) 또는 (人)을 뜻하는데, 불교에서는 주로 이기성에 근거한 개체자, 즉 유정(有情) 또는 중생의 '나[我]'를 가리키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음역하여 보가라(補伽羅) · 보특가라(補特伽羅) · 복가라(福伽羅) · 부특가라(富特伽羅) · 부특가야(富特伽耶) · 불가라(弗伽羅)라고도 하며, 번역하여 사부(士夫) · 삭취취(數取趣)라고도 한다.[27][28][29][30][31][32] 삭취취(數取趣)는 중생번뇌인연으로 자주[數] 6취(六趣)에 왕래한다는 뜻의 번역이다.[32]

무아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보특가라무아(인무아)이고 다른 하나는 법무아이다.
(言無我者 略有二種 一補特伽羅無我 二法無我)

—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33]

피갑

[편집]

피갑(被甲)은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호법 등의 《성유식론》 등에 나오는, 정진(精進) 또는 (勤)의 5단계의 차별인 피갑(被甲) · 가행(加行) · 무하(無下) · 무퇴(無退) · 무족(無足)의 5정진(五精進) 가운데 하나이다.[34][35][36][37]

피갑(被甲)은 불교 경전에서의 유세(有勢: 세력이 있는 것)를 말하는데, 갑옷[甲]을 입고[被] 군대가 진(陣)을 친 곳에 들어갈 때 두려워하지 않고 큰 위세가 있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하는 것으로, 맹렬하고 날카롭게 즐거운 욕구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37]

피동분

[편집]

피동분(彼同分, 산스크리트어: tat-sabhāga)에 대해서는 동분(同分)을 참조하십시오.

필당상삼매

[편집]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 산스크리트어: niyata-dhvaja-ketu)는 결정당상삼매(決定幢相三昧)라고도 하며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9번째 삼매이다. 제8번째 삼매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이고 제10번째 삼매금강삼매(金剛三昧)이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38][39]

云何名畢幢相三昧?住是三昧能持諸三昧幢,是名畢幢相三昧。

무엇을 필당상(畢幢相)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모든 삼매의 당기[幢]를 지니게 되나니, 이것을 필당상삼매라 하느니라.

《대지도론》 제47권. 한문본 & 한글본

필법성삼매

[편집]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 산스크리트어: dharma-dhātu-niyata)는 법계결정삼매(法界決定三昧)라고도 하며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8번째 삼매이다. 제7번째 삼매관정삼매(觀頂三昧)이고 제9번째 삼매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이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40][41]

云何名畢法性三昧?住是三昧決定知法性,是名畢法性三昧。

무엇을 필법성(畢法性)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기필코 법의 성품을 알게 되나니, 이것을 필법성삼매라 하느니라.

《대지도론》 제47권. 한문본 & 한글본

핍박

[편집]

핍박(逼迫, 산스크리트어: pīḍā)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억누르고 괴롭힘이며,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형편이 쪼들리고 어렵게 함, 내몸, 다그침'이다.[42][43] 산스크리트어 피다(pīḍā)는 고통(pain), 괴로움(suffering), 약올림(annoyance), 해침(harm), 상처입힘(injury), 방해(violation), 손상(damage), 황폐화(devastation), 제약(restriction), 제한(limitation)을 뜻한다.[44]

구사론》에 따르면, 다른 유정에 대한 핍박수번뇌 가운데 하나인 (害)의 마음작용의 본질적 성질이다.[45][46]

3수(三受) 가운데 고수(苦受)는 '몸과 마음이 받는 핍박의 느낌' 또는 '몸과 마음을 핍박하는 느낌'으로 정의되기도 한다.[47][48][49] 마찬가지로, (苦)는 마음핍박을 받고 있는 고뇌(苦惱)의 상태로 정의되기도 한다.[50]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3권. p. T29n1558_p0013c08 - T29n1558_p0013c13.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
    "樂等五受。信等八根。於染淨中如次增上。樂等五受染增上者。貪等隨眠所隨增故。信等八根淨增上者。諸清淨法隨生長故。有餘師說。樂等於淨亦為增上。如契經說。樂故心定。苦為信依。亦出離依喜及憂捨。毘婆沙師傳說如此。"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3권. p. 114-115 / 1397.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
    "낙(樂) 등의 5수근(受根)과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은 염오함과 청정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증상력이 있다.6) 이를테면 낙 등의 다섯 가지가 염오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그것에 의해 탐 등의 수면(隨眠)이 수증(隨增)하기 때문이다.7)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이 청정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함은, 온갖 청정법이 그것에 따라 증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여사는 다음과 같이 설하기도 하였다. "낙 등은 청정함에 대해서도 역시 증상력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니, 계경에서 설한 바와 같다. 즉
    낙(樂)으로 인해 마음은 정(定)에 들게 되고8)
    고(苦)는 신(信)의 소의(所依)가 되며9)
    여섯 가지 출리(出離)의 소의가 희(喜)와 우(憂)와 사(捨)이다."10)
    비바사사(毘婆沙師)가 전(傳)하여 설(說)하는 바는 이상과 같다.11)
    6) 낙 등의 5수근이란 낙(樂)·고(苦)·사(捨)·우(憂)·희(喜)의 다섯 가지 감각적 기능을 말하며, 신(信) 등의 8근이란 일체의 청정법을 낳는 신(信)·근(勤)·염(念)·정(定)·혜(慧)·미지(未知)·당지(當知)·이지(已知)·구지(俱知)의 여덟 가지 근을 말한다.
    7) 탐수면(貪隨眠)은 희근과 낙근에 따라 증장[隨增]하고, 진(瞋)수면은 우근과 고근에 따라, 치(癡)수면은 사근에 따라 증장한다.
    8) 『중아함경』 권제10 『하의경(何義經)』(대정장1, p. 485중)에 나온다. 즉 심신이 안락하면 마음도 삼매와 상응하여 정(定)을 획득하게 된다는 뜻.
    9) 『증일아함경』 권제23(대정장2, p. 668중)에 나온다. '낙으로써 낙을 구할 수는 없고, 괴로움 이후에 도를 성취하게 된다.' 즉 생사의 괴로움을 혐오하는 마음이 근본이 되어 열반의 대락(大樂)을 욕구하고 그것으로의 신(信)을 일으키기 때문에, 고(苦)는 신(信)의 소의가 된다.
    10) 『중아함경』 권제42 『분별육처경(分別六處經)』(대정장1, p. 692하 이하)에 나온다. 여기서 여섯 가지 출리란 색 등 6경을 반연하여 일어나는 희·우·사를 말하는 것으로, 소연의 경계에 근거하여 여섯이라고 하였다. 즉 선심상응의 희·우·사가 색 등의 6경을 반연하여 애착을 낳지 않을 때 그것은 바로 생사 출리(出離)의 소의가 되는 것이다.
    11) 논주 세친은 '근'의 의의에 관한 이상의 논설을 믿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을 다만 비바사사(毘婆沙師)가 전하는 설 즉 '전설(kila)'이라고 하였으며, 계속하여 이에 대한 이설(普光의 『俱舍論記』에서는 識見家등의 설, 法寶의 『俱舍論疏』에서는 曇無德 Dharmagupta, 즉 법장부의 설, 『稱友釋』에서는 경량부설로 해석됨)로서 다음의 세 게송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현은 『현종론』(권제5)에서 이를 삭제하였다."
  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3권. pp. 114-115 / 1397.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
    "낙(樂) 등의 5수근(受根)과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은 염오함과 청정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증상력이 있다.6) 이를테면 낙 등의 다섯 가지가 염오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그것에 의해 탐 등의 수면(隨眠)이 수증(隨增)하기 때문이다.7)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이 청정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함은, 온갖 청정법이 그것에 따라 증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여사는 다음과 같이 설하기도 하였다. "낙 등은 청정함에 대해서도 역시 증상력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니, 계경에서 설한 바와 같다. 즉
    낙(樂)으로 인해 마음은 정(定)에 들게 되고8)
    고(苦)는 신(信)의 소의(所依)가 되며9)
    여섯 가지 출리(出離)의 소의가 희(喜)와 우(憂)와 사(捨)이다."10)
    비바사사(毘婆沙師)가 전(傳)하여 설(說)하는 바는 이상과 같다.11)
    6) 낙 등의 5수근이란 낙(樂)·고(苦)·사(捨)·우(憂)·희(喜)의 다섯 가지 감각적 기능을 말하며, 신(信) 등의 8근이란 일체의 청정법을 낳는 신(信)·근(勤)·염(念)·정(定)·혜(慧)·미지(未知)·당지(當知)·이지(已知)·구지(俱知)의 여덟 가지 근을 말한다.
    7) 탐수면(貪隨眠)은 희근과 낙근에 따라 증장[隨增]하고, 진(瞋)수면은 우근과 고근에 따라, 치(癡)수면은 사근에 따라 증장한다.
    8) 『중아함경』 권제10 『하의경(何義經)』(대정장1, p. 485중)에 나온다. 즉 심신이 안락하면 마음도 삼매와 상응하여 정(定)을 획득하게 된다는 뜻.
    9) 『증일아함경』 권제23(대정장2, p. 668중)에 나온다. '낙으로써 낙을 구할 수는 없고, 괴로움 이후에 도를 성취하게 된다.' 즉 생사의 괴로움을 혐오하는 마음이 근본이 되어 열반의 대락(大樂)을 욕구하고 그것으로의 신(信)을 일으키기 때문에, 고(苦)는 신(信)의 소의가 된다.
    10) 『중아함경』 권제42 『분별육처경(分別六處經)』(대정장1, p. 692하 이하)에 나온다. 여기서 여섯 가지 출리란 색 등 6경을 반연하여 일어나는 희·우·사를 말하는 것으로, 소연의 경계에 근거하여 여섯이라고 하였다. 즉 선심상응의 희·우·사가 색 등의 6경을 반연하여 애착을 낳지 않을 때 그것은 바로 생사 출리(出離)의 소의가 되는 것이다.
    11) 논주 세친은 '근'의 의의에 관한 이상의 논설을 믿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을 다만 비바사사(毘婆沙師)가 전하는 설 즉 '전설(kila)'이라고 하였으며, 계속하여 이에 대한 이설(普光의 『俱舍論記』에서는 識見家등의 설, 法寶의 『俱舍論疏』에서는 曇無德 Dharmagupta, 즉 법장부의 설, 『稱友釋』에서는 경량부설로 해석됨)로서 다음의 세 게송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현은 『현종론』(권제5)에서 이를 삭제하였다."
  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3권. p. T29n1558_p0013b11 - T29n1558_p0013b13. 근(根)의 뜻
    "根是何義。最勝自在光顯名根。由此總成根增上義。"
  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3권. p. 111 / 1397. 근(根)의 뜻
    "'근'이란 무슨 뜻인가?1)
    가장 수승[最勝]한 자재(自在)이며, 빛나고 현저[光顯]하기 때문에 '근'이라 이름한 것이니,2) 이에 따라 근은 증상력(增上力 : 탁월하고 뛰어난 힘)의 뜻이라는 것이 모두 성취되는 것이다.
    1) 근의 원어 indriya는 'Indra에 상응하는' 혹은 '∼속한'이라고 하는 뜻의 형용사로서, 명사로 쓰일 경우 인드라의 힘, 인드라의 영역의 뜻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논설처럼 근은 뛰어난 힘 즉 증상력(增上力, adhipatya)의 뜻으로 해석된다."
  6.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57권. p. T30n1579_p0614a15. 근(根)의 뜻
    "問何等是根義。答增上義是根義。"
  7.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57권. p. 222 / 692. 근(根)의 뜻
    "[문] 무엇이 근(根)의 뜻인가.
    [답]뛰어남[增上]이라는 뜻이 근의 뜻이다."
  8. 佛門網, "八種無為". 2013년 5월 29일에 확인
    "八種無為: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顯揚一卷十五頁云:無為者:此有八種。謂虛空、非擇滅、擇滅、不動、想受滅、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虛空者:謂諸心心法所緣外色對治境界性。非擇滅者:謂因緣不會,於其中間,諸行不起滅,而非離繫性。擇滅者:謂由慧方便,有漏諸行,畢竟不起滅,而是離繫性。不動者:謂離遍淨欲,得第四靜慮;於其中間,苦樂離繫性。想受滅者:謂離無所有處欲,入滅盡定;於其中間,不恆現行心心法,及恆行一分心心法滅,而離繫性。善不善無記法真如者:謂於善不善無記法中,清淨境界性。
    二解 集論一卷十二頁云:此無為法,復有八種。謂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虛空、非擇滅、擇滅、不動、及想受滅。何等善法真如?謂無我性。亦名空性,無相、實際、勝義、法界。何故真如說名真如?謂彼自性,無變異故。何故真如名無我性?離二我故。何故真如名為空性?一切雜染所不行故。何故真如名為無相?以一切相,皆寂靜故。何故真如名為實際?以無顛倒所緣性故。何故真如名為勝義?最勝聖智所行處故。何故真如名為法界?一切聲聞獨覺諸佛妙法所依相故。如善法真如,當知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亦爾。何等虛空?謂無色性。容受一切所作業故。何等非擇滅?謂是滅,非離繫。何等擇滅?謂是滅,是離繫。何等不動?謂已離遍淨欲,未離上欲,苦樂滅。何等想受滅?謂已離無所有處欲,超過有頂,暫息想作意為先故;諸不恆行心心所滅,及恆行一分心心所滅。"
  9. 구글 CBETA 검색, "八無為". 2013년 5월 29일에 확인.
    "八無為:
    CBETA T31 No. 1616《十八空論》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1/1616_001.htm
    何者。一內空。二外空。 T31n1616_p0861a21(03)║三內外空。四大空。五空空。六
    真實空。七有為空。 T31n1616_p0861a22(01)║八無為空。九畢竟空。十無前後空。
    CBETA T31 No. 1606《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2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6_002.htm
    T31n1606_p0702b03(03)║不動及想受滅。 T31n1606_p0702b04(00)║如是建立
    八無為中。 ... T31n1606_p0702c18(07)║及此所說八無為法。如是十六總名法界。
    CBETA X08 No. 236《華嚴懸談會玄記》卷2
    www.cbeta.org/result/normal/X08/0236_002.htm
    ... 起色定自在所生色)并八無為(謂六無為中開真如為三性也雜集第二言無為法有八種
    謂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虛空擇滅非擇滅不動及受想滅)今取所知八無為 ...
    CBETA T46 No. 1925《法界次第初門》卷3
    www.cbeta.org/result/normal/T46/1925_003.htm
    T46n1925_p0689b14(02)║ 八無為空九畢竟空十無始空十一散空.
    T46n1925_p0689b15(00)║ 十二性空十三自相空十四諸法空.
    T46n1925_p0689b16(00)║ 十五 ...
    CBETA T36 No. 1736《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卷83
    www.cbeta.org/result/normal/T36/1736_083.htm
    八無為者。 T36n1736_p0654a22(02)║已見十藏。謂六中開真如為三性故。
    T36n1736_p0654a23(04)║其無礙門亦見問明。不合不散即不一不異義也。 疏。
    CBETA T45 No. 1870《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卷1
    www.cbeta.org/result/normal/T45/1870_001.htm
    如是建立八無為中。 T45n1870_p0542b03(00)║當知。所依差別故。分折真如。 ...
    及此所說八無為法。 T45n1870_p0542c14(00)║如是十六。總名法界。五種色者。
    CBETA T10 No. 281《佛說菩薩本業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0/0281_001.htm
    八無為。九無欲。 T10n0281_p0450a11(01)║十無求。復有十學。當念人。當念剎。
    當念法。 T10n0281_p0450a12(01)║當念地種。當念水種。當念火種。當念風種。
    CBETA T31 No. 1603《顯揚聖教論頌》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3_001.htm
    T31n1603_p0588c07(00)║ 四種離繫故建立八無為. T31n1603_p0588c08(00)║
    三界應當知十二相差別. T31n1603_p0588c09(00)║ 所治及能治唯能損伏種 ...
    CBETA T31 No. 1602《顯揚聖教論》卷18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2_018.htm
    T31n1602_p0572a24(00)║ 四種離繫故建立八無為. T31n1602_p0572a25(00)║
    論曰。八種無為。如攝事品已說。 T31n1602_p0572a26(05)║虛空無為者由心所緣 ...
    CBETA T31 No. 1605《大乘阿毘達磨集論》卷1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5_001.htm
    諸不恒行心心所滅。 T31n1605_p0666b09(08)║及恒行一分心心所滅又若五種色若
    受想行蘊。 T31n1605_p0666b10(06)║及此所說八無為法。如是十六總名法界。
    CBETA T48 No. 2016《宗鏡錄》卷4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48/2016_004.htm
    T48n2016_p0436a15(06)║謂受想行蘊及五種色并八無為。此十六法。唯意所知。
    T48n2016_p0436a16(01)║十八界中。名為法界。二無礙門。謂一心法界。
    CBETA T31 No. 1599《中邊分別論》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1/1599_001.htm
    六第一義空。七有為空。 T31n1599_p0452c18(03)║八無為空。九畢竟空。十無前後
    空。十一不捨空。 T31n1599_p0452c19(01)║十二性空。十三相空。十四一切法空 ...
    CBETA X08 No. 237《華嚴經文義要決問答》卷3
    www.cbeta.org/result/normal/X08/0237_003.htm
    X08n0237_p0432a18 (01)║并八無為。此十六法。唯意識所知故。
    X08n0237_p0432a19 (07)║十八界中名法界也。十二處門。亦名法處。(此義出對
    法論也曉公此為 ...
    CBETA X48 No. 796《雜集論述記》卷5
    www.cbeta.org/result/normal/X48/0796_005.htm
    ... 何故建立界處無別相耶下問答分別於中有二初略問答無別建立處相處雖下始明
    建立然近前問答二問答界法蘊所不攝於此中有三初問蘊不攝法列八無為名二隨八
    無為 ...
    CBETA T43 No. 1830《成唯識論述記》卷8
    www.cbeta.org/result/normal/T43/1830_008.htm
    三者離繫至善無為法。 述曰。 T43n1830_p0509c05(04)║此即無漏斷障所證。八
    無為中不動.想受滅。 T43n1830_p0509c06(03)║擇滅三性真如是。對法云。隨眠永 ...
    CBETA T35 No. 1733《華嚴經探玄記》卷18
    www.cbeta.org/result/normal/T35/1733_018.htm
    T35n1733_p0440c09(12)║謂受想行蘊及五種色并八無為。此十六法唯意識所知。
    T35n1733_p0440c10(07)║十八界中名為法界。二無礙門。謂一心法界具含二門。
    CBETA T35 No. 1735《大方廣佛華嚴經疏》卷54
    www.cbeta.org/result/normal/T35/1735_054.htm
    謂受想行蘊及五種色。并八無為。 T35n1735_p0908a29(01)║此十六法。唯意所知
    十八界中名為法界。 T35n1735_p0908b01(02)║二無礙門。謂一心法界具含二門。
    CBETA T44 No. 1851《大乘義章》卷13
    www.cbeta.org/result/normal/T44/1851_013.htm
    八無為。三善不攝。 T44n1851_p0732b07(05)║大乘法中隨事解脫與毘曇同。觀
    空解脫與成實同。 T44n1851_p0732b08(01)║體性如是。 第三門中就位分別。
    CBETA T45 No. 1870《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卷2
    www.cbeta.org/result/normal/T45/1870_002.htm
    T45n1870_p0559a09(07)║開六無為成八無為。三種真如。即屬無為攝得知。真如
    成無為。 T45n1870_p0559a10(00)║上此初教始終。並通分別無分別教義。
    CBETA T32 No. 1641《隨相論》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41_001.htm
    不能稱所對無為之理。 T32n1641_p0163a07(00)║所對無為。即是此貪愛若被斷。
    T32n1641_p0163a08(05)║即證得此無為故。九十八惑。有九十八無為業及果報逐 .."
  10.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八邪行: 「八正道」之對稱。即身、語、意等所犯之八種誤謬。又作八邪支、八邪法。略稱八邪。即:(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恚、害等之思惟。(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五)邪命,指不如法之生活。(六) 邪方便,又作邪精進,指為惡事所作之方便精勤。(七)邪念,指不如法之觀念。(八)邪定,指非正定之定。以上八者,乃凡夫外道所常行,求涅槃者悉皆捨離。〔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經卷四十九、八正道經、維摩經弟子品〕"
  11. 운허, "八邪(팔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八邪(팔사): [1] 또는 팔미(八迷)ㆍ팔계(八計)ㆍ팔류(八謬)ㆍ팔사(八事). ⇒팔미(八迷) [2] 또는 팔사행(八邪行)ㆍ팔사지(八邪支). ↔팔정도. 즉 사견(邪見)ㆍ사지(邪志;邪思惟)ㆍ사어(邪語)ㆍ사업(邪業)ㆍ사명(邪命)ㆍ사방편(邪方便;邪正進)ㆍ사념(邪念)ㆍ사정(邪定)."
  12. 곽철환 2003, "팔사(八邪)".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팔사(八邪): 여덟 가지 그릇된 길, 곧 팔정도(八正道)의 반대. 사견(邪見)·사사(邪思)·사어(邪語)·사업(邪業)·사명(邪命)·사정진(邪精進)·사념(邪念)·사정(邪定)."
  13. 연수 편찬 & T.2016, 제50권. p. T48n2016_p0712c14 - T48n2016_p0713a06. 8식10명(八識十名)
    "每識別立十名。... 三第八識十名者。一七後得稱。名為八識。二真偽雜間。名為和合識。三蘊積諸法。名為藏識。四住持起發。名熏變識。五凡成聖。名為出生識。六藏體無斷。名金剛智識。七體非靜亂。名寂滅識。八中實非假。名為體識。九藏體非迷。名本覺識。十功德圓滿。名一切種智識。"
  1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b13 - T29n1558_p0109b23. 수번뇌: 8전 또는 10전
    "後當略論纏煩惱垢攝者。且應先辯。纏相云何。頌曰。
     纏八無慚愧 嫉慳并悔眠
     及掉舉惛沈 或十加忿覆
     無慚慳掉舉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論曰。根本煩惱亦名為纏。經說欲貪纏為緣故。然品類足說有八纏。毘婆沙宗說纏有十。謂於前八更加忿覆。"
  1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p. 953-954 / 1397. 수번뇌: 8전 또는 10전
    "[이러한 수번뇌에 대해서는] 뒤에서 응당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시켜 간략히 논설하리라.
    바야흐로 먼저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니, '전'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참·무괴·
     질(嫉)·간(慳)·회(悔)·수면(睡眠)
     그리고 도거·혼침이 바로 그것이다.
     혹은 분(忿)과 부(覆)를 더한 열 가지이다.29)
     纏八無慚愧 嫉慳幷悔眠
     及掉擧惛沈 或十加忿覆
     무참과 간과 도거는
     모두 탐에서 생겨난 것이며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무명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다.
     無慚慳掉擧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질과 분은 진(瞋)에서 일어난 것이고
     회는 의(疑)로부터, '부'에 대해서는 여러 쟁론이 있다.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를 역시 '전'이라고도 이름하니, 경에서 "욕탐의 전을 연(緣)으로 한다"고 설하였기 때문이다.30)
    그런데 『품류족론』에서는 8전이 있다고 설하였지만 비바사종(毘婆沙宗)에서는 '전'에 열 가지가 있다고 설하고 있으니,31) 이를테면 앞의 여덟 가지에 다시 분(忿)과 부(覆)를 더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29) 이 같은 열 가지는 유정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에 가두기 때문에 이름하여 '전'이라고 하였다. 혹은 이러한 열 가지가 원인이 되어 온갖 악행을 일으키며, 악취로 잡아 가두기 때문에 이름하여 '전'이라고 하였다.(『현종론』 권제27, 앞의 책, p.225)
    30) 『잡아함경』 권제35 제977경(대정장2, p.253상), '시바여, 다섯 가지 인(因)과 다섯 가지 연(緣)으로 인해 심법에 우고(憂苦)가 생기니, 이를테면 욕탐전을 인으로 하고 욕탐전을 연으로 하여 심법에 우고가 생기며…….'
    31) 『품류족론』 권제1(한글대장경117, p.23). 『대비바사론』 권제47(한글대장경119, p.508) ; 권제50(동 p.579)."
  16. 보광 술 & T.1821, 제26권. p. T41n1821_p0386a11 - T41n1821_p0386a14.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智謂決斷。或謂重知。見謂推求。或謂現照。明謂照明。覺謂覺悟。解謂達解。慧謂簡擇。光謂慧光。觀謂觀察。智等八種並慧異名。"
  17. 운허, "平等性智(평등성지)". 2013년 1월 27일에 확인
    "平等性智(평등성지): 5지(智)의 하나. 제7식을 전(轉)하여 얻은 무루 지혜니, 통달위(通達位)에서 그 일부분을 증득하고, 불과(佛果)에 이르러 그 전체를 증득한다. 일체 모든 법과 자기나 다른 유정들을 반연하여 평등 일여한 이성(理性)을 관하고 너와 나의 차별심을 여의어 대자대비심을 일으키며, 보살을 위하여 여러 가지로 교화하여 이익되게 하는 지혜."
  18. 곽철환 2003, "평등성지(平等性智)". 2013년 1월 27일에 확인
    "평등성지(平等性智): 사지(四智)의 하나. 번뇌에 오염된 말나식(末那識)을 질적으로 변혁하여 얻은 청정한 지혜. 이 지혜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떠나 자타(自他)의 평등을 깨달아 대자비심을 일으킴으로 이와 같이 말함."
  19. 星雲, "平等性智". 2013년 1월 27일에 확인
    "平等性智: 梵語 samatā-jñāna。又作平等智。乃四智心品之一,五智之一。指體悟自、他平等之智。即轉第七末那識所得之智慧,依此智慧而了知一切事相及自他皆平等,乃生起大慈悲心。佛地論卷三謂平等性智乃觀自、他一切皆平等,大慈大悲恆常相互契合而無間斷,故建立佛地「無住涅槃」(不住於生死、涅槃之涅槃)。隨諸有情之所樂,示現自、他受用之身與土等種種影像。對於初地以上之菩薩,示現他受用之身土,常行大慈大悲之化益。心地觀經卷二(大三‧二九八下):「平等性智,轉我見識得此智慧。是以能證自佗平等二無我性,如是名為平等性智。」
     此外,密教所建立之五智,其中平等性智又作灌頂智,為南方寶生佛之智。祕藏記卷上本(大八六‧二中):「平等性智,清淨智水,不簡情、非情故,彼此同如故,常住不變故,名曰平等性智。」(參閱「五智」1161、「四智心品」1771)"
  20. 권오민 2003, 61–67쪽.
  2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8 / 1397쪽.
  22.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인도불교의 의례 > 포살,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포살: 布薩 산스크리트어의 우파바사타(upavasatha), 우포사다(uposadha)·포사다(posadha) 등의 음사로서, 정주(淨住)·장양(長養)·재(齋)·설계(說戒) 등으로 번역된다. 한달에 두번, 동일 지역의 승려가 모여 계경(戒經)을 송(誦)함을 듣고, 자기반성을 하고, 죄과를 고백참회(告白懺悔)하는 것을 말한다. 즉 계(戒)에 정주(淨住)하여 선법(善法)을 장양(長養)하기 위해서이다. 포살이 행하여지는 날은 매달 15일(만월일)과 30일(신월일)이다. 재가(在家)에서는 14, 15, 29, 30의 4일과 8, 23의 양일(兩日)을 첨가한 6재일(六齋日)에 하루만 출가생활을 한다는 형식으로, 정하여진 8종의 계(戒:8종계)를 지키는 일을 말하며, 1년에 한번 행하는 것을 대포살이라고 한다. 이 포살에 관한 규정은 율장(律藏) 중 칸다카(Khandhaka)라는 부문에 있으며, 그 속의 포살건도에 역설되어 있다."
  23.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권. p. T30n1579_p0314b20 - T30n1579_p0314b23. 번뇌(煩惱)의 차별(差別)
    "煩惱差別者。多種差別應知。謂結。縛。隨眠。隨煩惱。纏。暴流。軛。取。繫。蓋。株杌。垢。常害。箭。所有。根。惡行。漏。匱。燒。惱。有諍。火。熾然。稠林。拘礙。如是等類煩惱差別當知。"
  24.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8권. pp. 220-221 / 829. 번뇌(煩惱)의 차별(差別)
    "번뇌(煩惱)의 차별(差別)31)이란 여러 가지 차별(差別)이 있는 줄 알아야만 한다. 말하자면 결(結) 박(縛) 수면(隨眠) 수번뇌(隨煩惱) 전(纏) 폭류(暴流) 액(軛) 취(取) 계(繫) 개(蓋) 주올(株杌) 구(垢) 상해(常害) 전(箭) 소유(所有) 근(根) 악행(惡行) 루(漏) 궤(匱) 소(燒) 뇌(惱) 유쟁(有諍) 화(火) 치연(熾然) 조림(稠林) 구애(拘礙)이다.
    위와 같은 등의 종류가 번뇌의 차별(差別)인 줄 알아야 한다.
    31)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여덟 번째로 번뇌(煩惱)의 차별(差別)에 대해서 기술한다."
  25.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권. p. T30n1579_p0314b27 - T30n1579_p0314b28. 폭류(暴流)
    "深難渡故。順流漂故故名暴流。"
  26.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8권. p. 221 / 829. 폭류(暴流)
    "건너기 매우 어렵고 흐름에 따라서 떠내려가기 때문에 폭류(暴流)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27.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K.650, T.99, 475 / 2145쪽.
  28.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1353-1354 / 1397쪽.
  29. Macdonell 1929, "pudgala".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30. Rhys Davids, T.W. & William Stede (eds.) & 1921-5, "puggala".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31. 星雲, "補特伽羅". 2011년 9월 23일에 확인.
  32. 황욱 1999, 29쪽.
  3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4, T31n1614_p0855c20(00) - T31n1614_p0855c21(02). 2011년 3월 28일에 확인.
  3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b13 - T31n1605_p0664b15. 피갑(被甲)
    "證智決擇為體。惡行不轉所依為業。何等為勤。謂心勇悍為體。或被甲或加行。或無下或無退或無足。差別成滿善品為業。"
  35.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7c04 - T31n1606_p0697c08. 피갑(被甲)
    "勤者。被甲方便無下無退。無足心勇為體成滿善品為業。謂如經說。有勢有勤有勇堅猛不捨善軛。如其次第應配釋被甲心勇等諸句。滿善品者。謂能圓滿隨初所入根本靜慮。成善品者。謂即於此極善修治。"
  36.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0a23 - T31n1585_p0030b01. 피갑(被甲)
    "勤謂精進。於善惡品修斷事中勇悍為性。對治懈怠滿善為業。勇表勝進簡諸染法。悍表精純簡淨無記。即顯精進唯善性攝。此相差別略有五種。所謂被甲加行無下無退無足。即經所說有勢有勤有勇堅猛不捨善軛。如次應知。此五別者。謂初發心自分勝進。自分行中三品別故。"
  37.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6권. pp. 291-292 / 583. 피갑(被甲)
    "‘근(勤)심소’49)는 정진(精進)을 말한다. 선품을 닦고 악품을 끊는 일에 대해서 용맹스럽고 굳세게 함을 체성으로 삼는다. 게으름[懈怠]을 다스려서 착한 일을 원만하게 이루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용맹스럽다는 것은 정진하는 것을 나타내어 모든 잡염법을 가려낸다. 굳세다는 것은 지극히 순수한 것을 나타내어 청정 무구성을 가려낸다. 곧 정진은 오직 착한 성품에만 포함됨을 나타낸다. 이것의 양상의 차이는 대략 다섯 종류가 있으니 곧 맹렬함을 일으키는 것[被甲]50)ㆍ가행51)ㆍ낮추지 않음[無下]52)ㆍ물러나지 않음[無退]53)ㆍ만족하지 않음[無足]54)이다. 경전에서 말씀한, 세력이 있음[有勢] · 정진함[有勤] · 용감함[有勇]ㆍ견고하고 용맹함[堅猛] · 선의 멍에55)를 버리지 않음[不捨善軛]이니, 순차적으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다섯의 차이를 말하면 초발심 · 자분(自分) · 승진(勝進) · 자분행(自分行) 중의 세 가지 품류로서 다르기 때문이다.56)
    49) 근(勤, vīrya)심소는 ‘정진’의 심리작용으로서, 용맹스럽게 선행을 닦고 악행을 끊게 한다. 해태(懈怠)심소를 다스린다.
    50) 피갑(被甲)은 맹렬하고 날카롭게 즐거운 욕구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세력이 있는 것[有勢]이라고 이름한다. 갑옷[甲]을 입고[被] 군대가 진(陣)을 친 곳에 들어갈 때 두려워하지 않고 큰 위세가 있는 것과 같음을 일컫는다.
    51) 가행(加行)은 견고하고 용감한 방편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정진하는 것[有勤]으로 이름한다. 마음을 견고하게 해서 스스로 책려(策勵)하는 것을 일컫는다.
    52) 낮추지 않음[無下]은 증득해야 할 것에 대해서 스스로를 경멸하지 않고, 역시 법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용감한 것[有勇]으로 이름한다.
    53) 물러나지 않음[無退]이란 추위나 배고픔 등의 고통을 능히 인내로써 받아들이고, 열등한 선(善)에 대해서 혐오(嫌惡)나 만족함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음 단계의 뛰어난 공덕 등을 기쁘게 구하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견고하고 용맹한 것[堅猛]으로 이름한다.
    54) 만족하지 않음[無足]은 이후에 점차 4성제를 관찰함[諦觀] 등 뛰어난 도(道)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선(善)의 멍에를 버리지 않는 것[不捨善軛]으로 이름한다.
    55) 소[牛]에게 멍에를 씌움으로써 소로 하여금 도망가지 않고 능히 나아가게 한다. 선법(善法)도 역시 그러해서 수행자에게 멍에를 지워 선품(善品)에서 벗어나지 않고 열반에 나아가게 하므로 이렇게 표현한다.
    56) 다섯 가지 중에서 맹렬함을 일으키는 것[被甲 · 有勢]은 발심이고, 나머지 넷은 수행인데, 이 수행은 다시 자분(自分)과 승진(勝進)으로 나뉜다. 자분은 가행(加行. 有勤:下品), 낮추지 않음[無下. 有勇:中品], 물러나지 않음[無退. 堅猛:上品]의 3품이고, 만족하지 않음[無足. 不捨善]은 승진에 해당된다."
  38.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47권. p. T25n1509_p0397a12 - T25n1509_p0397a13.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
    "云何名畢幢相三昧?住是三昧能持諸三昧幢,是名畢幢相三昧。"
  39.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47권. p. 1667 / 2698.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
    "무엇을 필당상(畢幢相)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모든 삼매의 당기[幢]를 지니게 되나니, 이것을 필당상삼매라 하느니라."
  40.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47권. p. T25n1509_p0397a10 - T25n1509_p0397a12.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
    "云何名畢法性三昧?住是三昧決定知法性,是名畢法性三昧。"
  41.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47권. p. 1667 / 2698.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
    "무엇을 필법성(畢法性)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기필코 법의 성품을 알게 되나니, 이것을 필법성삼매라 하느니라."
  42. "逼迫",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15일에 확인.
    "逼迫(핍박): ①(사람을) 억누르고 괴롭히는 것 ②(형편(形便)이) 쪼들리거나 어려워 절박(切迫)한 상태(狀態)
    逼 핍박할 핍
    1. 핍박하다(逼迫--) 2. 닥치다 3. 가까이하다 4. 몰다 5. 좁다 6. 좁아지다 7. 쪼그라들
    迫 핍박할 박
    1. 핍박하다(逼迫--) 2. 닥치다 3. 줄어들다 4. 가까이하다 5. 궁하다(窮--: 가난하고 어렵다) 6. 좁다 7. 몰리다 8. 다가오다 9. 다급하다(多急--) 10. 허둥거리다 11. 다그치다"
  43. 佛門網, "逼迫". 2013년 3월 30일에 확인
    "逼迫: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pīḍā, utpīḍana, upagruta, √bādh; abhi-nir-ṇī(√nī), ava-√kram, avaṣṭambha, ārta, utpīḍa, utpīḍā, upakramaka, upakramika, upadrava, uparodha, aupakramika, pari-√kliś, paripīḍana, paripīḍā, parōtpīḍa, pīḍana, pīḍayati, vādhanātmaka, viheṭhana, √vyath, saṃpīḍana.
    頁數: P.3769-P.3775"
  44.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pida". 2013년 3월 30일에 확인
    "pida: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pIDa m. n. in %{tila-p-} , %{triNa-p-}.
    2 (mwd) pIDA f. pain , suffering , annoyance , harm , injury , violation , damage (%{ayA} ind. with pain i.e. unwillingly) Mn. MBh. &c. ; devastation (cf. %{pIDana}) W. ; restriction , limitation Ka1tyS3r. Sch. ; obscuration , eclipse (of a planet cf. %{graha-p-}) Var. ; pity , compassion L. ; a chaplet or garland for the head L. (cf. %{ApIDa}) ; Pinus Longifolia L. ; a basket L. ; w.r. for %{pITha}.
    3 (cap) pIDA f. pain, ache, harm, wrong."
  45.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c10 - T29n1558_p0109c11. 해(害)
    "害謂於他能為逼迫。由此能行打罵等事。"
  4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 956 / 1397. 해(害)
    "'해'란 이를테면 다른 유정에 대해 능히 핍박하는 것을 말하니, 이것에 의해 능히 때리고 꾸짖는 등의 일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47. 星雲, "三受". 2013년 3월 30일에 확인
    "三受:  梵語 tisro vedanāh,巴利語 tisso vedanā。又作三痛。受,領納之義。即內之六根,觸對外之六境,所領納之三種感覺。即:(一)苦受(梵 duhkha-vedanā),又作苦痛。即領納違情之境相,令身心受逼迫。(二)樂受(梵 sukha-vedanā),又作樂痛。即領納順情之境相,令身心適悅。(三)捨受(梵 upeksā-vedanā),又作不苦不樂受、不苦不樂痛。即領納中容之境相,身心無有逼迫,亦無有適悅。此三受通於眼等六根,亦通有漏無漏。或各自分成兩種,與五識相應者,稱為身受;與意識相應者,稱為心受。〔雜阿含經卷八、成唯識論卷五、阿毘達磨發智論卷十四、成實論卷六〕(參閱「五受」1103、「受」3096) p559"
  48. 운허, "三受(삼수)". 2013년 3월 30일에 확인
    "三受(삼수): 세 가지 감각. 고수(苦受)ㆍ낙수(樂受)ㆍ사수(捨受). (1) 고수. 외계(外界)의 접촉에 의하여 몸과 마음에 받는 괴로운 감각. (2) 낙수. 바깥 경계와 접촉하여 즐거움을 느끼는 감각. (3) 사수. 고수와 낙수에 속하지 않은 감각. 곧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수(受)는 바깥 경계를 받아 들인다는 뜻. ⇒수(受)"
  49. 星雲, "苦受". 2013년 3월 30일에 확인
    "苦受:  梵語 duhkha-vedanā。三受之一,五受之一。受者,領納外境之義。境有順、違、俱非三境,故受有苦、樂、捨三受。逼迫身心,領納違情之境而起苦惱之感者,稱為苦受。其為三受之一者,係指於身心所領納的逼迫不悅之感受;其為五受之一者,僅指於身所領納的逼迫不悅之感受。〔成唯識論卷九、四念處卷一〕(參閱「三受」559、「五受」 1103) p3945"
  50. 星雲, "". 2013년 3월 30일에 확인
    "苦:  梵語 duhkha 之意譯。音譯作豆佉、諾佉、納佉。泛指逼迫身心苦惱之狀態。苦與樂乃相對性之存在,若心向著如意之對象,則感受到樂;若心向著不如意之對象,則感受到苦。清淨論道謂,苦具有嫌惡(du)與空虛(khaj)二義,即嫌惡,及無「常、樂、我、淨」之空虛狀態,稱之為苦。在稱「苦、樂、捨(不苦不樂)」等三受之時,苦指身心所感之苦(廣義),配列於五受、二十二根之苦,而可分為身感受之苦(狹義)與心感受之憂兩類。「一切行皆苦」乃佛教根本思想之一,亦為四法印之一。苦之分類有多種,其大別如下:
     (一)二苦,起自一己身心之苦,稱為內苦;受外界逼迫所產生之苦(如惡賊、天災等),稱為外苦。
     (二)三苦,對不如意之對象感受其苦,是為苦苦。對所愛者之毀壞感受其苦,是為壞苦。見世間一切無常而感受其苦,是為行苦。以上三者相當於苦、樂、捨(不苦不樂)之順序。數論外道舉三苦為:依內苦、依外苦(惡賊等)、依天苦(天災等)。
     (三)四苦,指生苦(以有生,故有苦)、老苦、病苦、死苦四者。
     (四)八苦,生老病死等四苦,再加上愛別離苦、怨憎會苦、求不得苦、五陰熾盛苦。
     (五)十八苦,即老苦、死苦、憂苦、悲苦、苦苦、惱苦、大苦聚等七苦,再加上無明苦、行苦、識苦、名色苦、六入苦、觸苦、受苦、愛苦、取苦、有苦、生苦等十一苦,合為十八苦。
     (六)老、病、死等三種身苦,與貪、瞋、癡等三種心苦,可為佛教所立「身心之苦」的典型代表。其中,臨命終時,其苦有如千百隻刀割裂身子,稱為風刀苦。
     此外,諸經論所舉苦的分類甚多,如瑜伽師地論卷四十四即有百十苦之說。〔北本大般涅槃經卷十二、佛地經卷五、舍利弗阿毘曇論卷十二、大智度論卷十九〕 p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