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번뇌지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산스크리트어: kleśa-mahā-bhūmika dharmā)은 설일체유부5위 75법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位]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 ·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 ·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 ·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다.[1][2]

대번뇌지법은 일체(一切)의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들어 혼탁해진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 즉 번뇌에 물들어 사물[事]과 이치[理]를 명료하게 알지 못하는 무지(無知)의 상태에 처한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두루 함께[大]' 일어나며,[3] 따라서 염오심에서 '항상[大]' 발견되는[4] 마음작용(심소법)을 말한다.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이라는 낱말에서 '대(大)'는 번뇌가 심하다는 의미가 아니며, 해당 마음작용번뇌에 물든 마음과 '두루 함께[大]' 일어나며 번뇌에 물든 마음에서 '항상[大]' 발견된다는 의미이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다음의 6가지 마음작용이 대번뇌지법을 구성한다.[1][5][6][7][8]

  1. (癡)
  2. 방일(放逸)
  3. 해태(懈怠)
  4. 불신(不信)
  5. 혼침(昏沈)
  6. 도거(掉擧)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권오민 2003, 69–81쪽.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168-172 / 1397쪽.
  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171 / 1397쪽.
  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168 / 1397쪽.
  5.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b28 - T29n1558_p0019c03.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大煩惱法地名大煩惱地。此中若法大煩惱地所有名大煩惱地法。謂法恒於染污心有。彼法是何。頌曰。
      癡逸怠不信  惛掉恒唯染"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8 / 1397.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나아가 대번뇌법(大煩惱法)의 '지'를 대번뇌지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제법 가운데 어떤 법이 만약 '대번뇌지'에 소유되었으면 이것을 대번뇌지법이라고 이름하니, 이를테면 항상 염오심에 존재하는 법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법이란 바로 어떠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치(癡)·일(逸)·태(怠)·불신(不信)과
      혼(惛)·거(擧)는 오로지 항상 염오한 것이다.
      癡逸怠不信 惛掉恒唯染"
  7. 운허, "大煩惱地法(대번뇌지법)". 2012년 11월 6일에 확인
    "大煩惱地法(대번뇌지법): 【범】 kleśa-mahābhūmika 악심(惡心)과 유부무기(有覆無記)와 상응하는 정신작용. 치(癡)·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惽沈)·도거(掉擧)의 6법."
  8. 星雲, "五位七十五法". 2012년 11월 6일에 확인.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五位七十五法: ... (3)大煩惱地法(與一切不善心,及雖非惡非善,卻有礙於道的心相應之心所),有癡、放逸、懈怠、不信、惛沈、掉舉等六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