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멸무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는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설하는 6무위 가운데 하나이다.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6무위의 각각은 별도의 실체가 아니며 진여(眞如) · 법성(法性) · 실상(實相) · 열반(涅槃) · 법계(法界) 등으로 불리는 1가지 무위법의 중요한 6가지 측면을 말한다.[1][2][3]

상수멸무위는 줄임말로 상수멸(想受滅)이라고도 한다.

상수멸(想受滅)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想)과 (受)의 마음작용이 소멸되었다는 것으로, 이 두 마음작용5온에서 각각 상온수온에 해당한다.[4][5] 따라서, 상수멸무위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상수멸의 무위'로, 상수멸의 상태에서 드러나는 또는 깨닫게 되는 무위를 말한다. 한편, 멸진정(滅盡定)을 상수멸정(想受滅定) 또는 멸수상정(滅受想定)이라고도 하는데,[6] 멸진정은 상수멸무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상수멸무위는 무색계의 제4천인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에서 멸진정(滅盡定)을 닦는 중에 점차로 드러나는 또는 깨닫게 되다가 멸진정이 완성되었을 때 완전히 드러나는 또는 깨닫게 되는 '진여 · 법성 · 실상 · 열반 또는 법계의 한 측면'을 말한다.[7][8][9][10] 그리고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멸진정은 '불항행(不恒行)의 모든  · 심소[不恒行諸心心所]'와 '항행(恒行)의 일분의  · 심소[恒行一分心心所滅]', 즉 '항상 현행하지는 않는 부류에 속한 모든 마음마음작용'과 '항상 현행하는 부류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되는 선정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제6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전부 그리고 '제7말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되는 선정이다.[11][12][13][14]

즉, 상수멸무위는 멸진정에 의해 증득되는, '제6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전부 그리고 '제7말나식과 그것의 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된 적정(寂靜)의 상태를 말하는데,[8][9][10] 이 상태를 두고 무위법의 하나라고 말하는 것은 이 적정(寂靜)의 상태가 유위법인연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어떤 상태가 아니라 진여의 한 측면, 즉 1가지 무위법의 한 측면이라는 것을 뜻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1991). 《경량부철학의 비판적 체계 연구》. 동국대학원 철학박사 학위논문.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현양성교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1(16-1), T.1602(31-48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44, T.1614). 《대승백법명문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4(17-808), T.1614(31-855).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4,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4, p. T31n1614_p0855c17 - T31n1614_p0855c19. 6무위(六無爲)
    "第五無為法者。略有六種。一虛空無為。二擇滅無為。三非擇滅無為。四不動滅無為。五想受滅無為。六真如無為。"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44, T.1614, p. 3 / 3. 6무위(六無爲)
    "다섯째의 함이 없는 법이 대략 여섯 가지가 있으니, 허공의 함이 없음이 그 하나이고, 택멸(擇滅)의 함이 없음이 그 둘이고, 간택하거나 판정하는 것이 비택멸(非擇滅)의 함이 없음이 그 셋이고, 부동멸(不動滅)의 함이 없음이 그 다섯이고, 진여의 함이었음이 그 여섯이다."
  3. 세친 조, 현장 한역, 규기 주해 & T.1836, p. T44n1836_p0051c26 - T44n1836_p0052a18. 6무위(六無爲)
    "第五、無為法者,略有六種: 此標章,下別列。一、虛空無為,二、擇滅無為,三、非擇滅無為,四、不動滅無為,五、想受滅無為,六、真如無為。
    言無為者,是前四位真實之性,故云識實性也。以六位心所則識之相應,十一色法乃識之所緣,不相應行即識之分位,識是其體,是故總云識實性也,而有六種。謂之無為者,為,作也。以前九十四種乃生滅之法,皆有造作,故屬有為。今此六法,寂寞沖虛,湛然常住,無所造作,故曰無為。言虛空無為者,謂於真諦離諸障礙,猶如虛空,豁虛離礙,從喻得名。下五無為,義倣此說。擇滅者,擇謂揀擇,滅謂斷滅,由無漏智,斷諸障染,所顯真理,立斯名焉。非擇滅者,一真法界,本性清淨,不由擇力,斷滅所顯;或有為法,緣闕不生,所顯真理。以上二義,故立此名。不動者,以第四禪離前三定,出於三災、八患,無喜樂等動搖身心所顯真理,此從能顯彰名,故曰不動。想受滅者,無所有處想受不行所顯真理,立此名爾。真如者,理非妄倒,故名真如,真簡於妄,如簡於倒,遍計、依他,如次應知。又曰:「真如者,顯實常義,真即是如,如即無為。」"
  4. 곽철환 2003,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 2013년 3월 3일에 확인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 대상의 특징이나 관념을 떠올리는 표상 작용과 괴로움이나 즐거움 등을 느끼는 감수 작용이 소멸된 마음 상태."
  5. 佛門網, "想受滅". 2013년 3월 3일에 확인
    "想受滅:
    出處: Other
    解釋: 想受滅 [py] xiăngshòu miè [wg] hsiang-shou-mieh [ko] 상수멸 sangssumyŏl [ja] ソウジュメツ sōjōmetsu ||| An expression of the condition of the experience of true reality, wherein at the time of entry into the samādhi of the extinction of the mano (6th) consciousness, the main mental functions of feeling and perception are extinguished.
    頁數: [Dictionary References] Naka872d [Credit] cmuller(entry) cwittern(py)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雜集論二卷十頁云:想受滅者:謂已離無所有處欲,止息想作意為先故;諸不恆行心心所、及恆行一分心心所、滅,無為。當知此中有二種應斷法。謂諸煩惱、及此所依受。受有二種。謂變異及不變異。如其次第,苦樂非苦樂。當知煩惱斷故,建立擇滅。二受斷故,如其次第,建立不動,及受想滅。煩惱斷者、謂除此品麤重,所得轉依。受斷者、謂除此能治定障,所得轉依。是故得第二靜慮時,雖證苦滅;而不建立無為。以變異受、未盡斷故。 二解大毗婆沙論一百五十二卷八頁云:問:滅盡定中,滅一切心心所法;何故但言想受滅,不說心等?答:譬喻者說:此定有心。唯滅想受。問:今不問彼;但問說無心者、何故爾耶?答:說想受滅,顯餘亦滅。非餘相應法、離想受起故。有說:此中說最勝者。以諸心品、想受最勝。以勝滅故,餘亦隨滅。有說:此中現門現略現趣入故。謂心聚中、有是根性,有非根性。若說受;當知已說是根性者。若說想;當知已說非根性者。如根性、非根性;有明、無明,有現見、無現見,應觀察、不應觀察,妙、非妙,尊、非尊,勝、非勝,應知亦爾。有說:想受是諸瑜伽師極所厭患。由受力故;令諸有情、色界勞弊。由想力故;令諸有情、無色勞弊。是故世尊、說想受滅。有說:想受、二界中勝。受於色界中勝。想於無色界中勝。有說:耽樂受故,執倒想故;令諸有情、輪迴生死,受諸苦惱。有說:想受各別立蘊、及立識住。有說:想受能起愛見二種煩惱。受力故起愛。想力故起見。一切煩惱、此二為首。有說:想受是二諍根。由受故,耽著諸欲;令在家者、起諸鬥諍。由想故,耽著諸見;令出家者、起諸鬥諍。如二諍根,二邊、二箭、二戲論、二我所、二雜染、應知亦爾。有說:行者憎受想故;入滅盡定。由如是義,故佛唯說滅此二法。"
  6. 곽철환 2003, "멸진정(滅盡定)". 2013년 1월 9일에 확인
    "멸진정(滅盡定): ① 모든 마음 작용이 소멸된 선정(禪定). ② 무소유처(無所有處)의 경지에 이른 성자가 모든 마음 작용을 소멸시켜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닦는 선정(禪定).
    약어: 멸정(滅定)
    동의어: 상수멸정(想受滅定), 멸수상정(滅受想定) "
  7. 佛門網, "想受滅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
    "想受滅無為: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生於無色界非想天,入滅盡定,想受俱滅,名想受滅無為.
    出處: Other
    解釋: 想受滅無為 [py] xiăng shòumiè wúwéi [wg] hsiang-shou-mieh wu-wei [ko] 상수멸무위 sangsumyŏl mūi [ja] ソウジュメツム sōjōmetsu mui ||| 'concentration of cessation.' xiangshoumie >想受滅 refers to the samādhi of the extinction of the first six consciousnesses. When feeling and perception are destroyed, the sixth consciousness, the mind elements, and mental function elements are also destroyed. A deep form of meditation which is one of the six unconditioned elements in Consciousness-only theory.
    頁數: [Dictionary References] Naka873a [Credit] cmuller(entry) cwittern(py)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顯揚一卷十五頁云:想受滅者:謂離無所有處欲,入滅盡定;於其中間,不恆現行心心法、及恆行一分心心法滅,而離繫性。 二解成唯識論二卷四頁云:想受不行,名想受滅。"
  8. 운허, "六無爲(육무위)". 2013년 3월 3일에 확인
    "六無爲(육무위): 유식종(唯識宗)에서 무위법(無爲法)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설(假設)로 6존의 이름을 세움. (1) 허공무위(虛空無爲). 걸림 없음을 성품으로 하여 다른 것을 장애하거나 다른 것에 장애됨이 없어 허공ㆍ공간과 같은 무위. (2) 택멸(擇滅)무위. 지혜로 간택(簡擇)ㆍ판정(判定)하는 힘에 따라 얻는 무위. (3) 비택멸(非擇滅)무위. 지혜의 힘에 의하지 않고, 생길 인연이 없어서 나타나는 무위. (4) 부동(不動)무위. 제4선(禪)에 들어가서 선정의 장애를 여의고 얻는 무위. (5) 상수멸(想受滅)무위. 멸진정(滅盡定)에 들어 상(想)과 수(受)를 멸한 곳에 나타나는 무위. (6) 진여(眞如)무위. 진여가 곧 무위임을 말함."
  9. 星雲, "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
    "無為:  梵語 asajskrta。無造作之意。為「有為」之對稱。即非由因緣所造作,離生滅變化而絕對常住之法。又作無為法(梵 asajskrta-dharma)。原係涅槃之異名,後世更於涅槃以外立種種無為,於是產生三無為、六無為、九無為等諸說。於小乘各部派中,說一切有部立擇滅無為、非擇滅無為、虛空無為,合為三無為。大眾部、一說部、說出世部於三無為之外,立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等四無色處,及緣起支性(十二緣起之理)、聖道支性(八聖道之理)等,總為九無為。化地部則以不動、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取代四無色處,亦作九無為之說。大乘唯識家於三無為外,別立不動、想受滅、真如,合為六無為;或開立真如為善法、不善法、無記法,而為八無為。然無論開立為六無為或八無為,非謂無為有多種別體,而係斷除我、法二執所顯之一種法性;復以此一法性從所顯之諸緣而稱種種之名。準此而言,真如、法性、法界、實相等亦皆為無為法。又以涅槃而言,上記三無為中之擇滅無為、六無為中之真如無為即涅槃;而涅槃乃一切無為法中之最殊勝者。
     又關於無為法之體,說一切有部主張其為有體,經量部及大乘唯識家以其為無體,不承認其實相。其中,唯識家依「識變」與「法性」假立六種無為,即:(一)指遠離煩惱所知障之真如,以其無有障礙,恰如虛空,稱為虛空無為。(二)指遠離一切有漏之繫縛而顯之真理,稱為擇滅無為。(三)指本來自性清淨之真如,以其非由無漏智之簡擇力而來,稱為非擇滅無為。(四)指顯現於第四靜慮(第四禪)之真如,以第四靜慮已滅苦、樂二受,寂靜不動,稱為不動無為。(五)指顯現於滅盡定之真如,以滅盡定已滅六識心想與苦、樂二受,稱為想受滅無為。(六)指真實如常,無有絲毫虛妄變異之法性真如,稱為真如無為。〔品類足論卷一、大毘婆沙論卷二十一、卷三十九、俱舍論卷一、卷六〕(參閱「有為」2445) p5112"
  10. 星雲, "六無為". 2013년 3월 3일에 확인
    "六無為:  梵語 sadasajskrta。法相宗對無為法之分類。無為,謂無因緣造作,又無生、住、異、滅之四相;即真理之異名。大乘唯識家以無為法為無體,依識變與法性假立六無為。其法性(依空無我所顯真如)之六無為者,即:(一)虛空無為,謂離煩惱、所知諸障所顯現之真如,其無障礙恰如虛空,故稱虛空無為。(二)擇滅無為,此係就正斷障立名。擇滅,即離繫之意。離一切有漏之繫縛而顯真理,故稱擇滅無為。(三)非擇滅無為,真如之自性本來清淨,離諸雜染,以其非由無漏智之簡擇力,故稱非擇滅無為,此乃大乘之解釋。又有為法之緣缺故不生,此不生若滅,即顯真理,故稱非擇滅無為,此亦非由無漏智之簡擇力,為大小乘共通之解釋。(四)不動無為,指顯現於第四靜慮之無為。第四禪唯有捨受,而離苦樂二受,故稱不動。於滅苦樂受處顯現寂靜之真理,故稱不動無為。(五)想受滅無為,乃顯現於滅盡定之無為。於滅盡定中,滅盡六識心想及苦樂二受,故稱想受滅無為。(六)真如無為,無為乃真實如常而不虛妄變異者,故稱真如無為。六者之中,前五者為詮法性之相的假名,後一者為詮法性之體的假名。
     識變(內識所變)之六無為者,即曾聞說虛空等名,隨分別有虛空等相,由數習力故,變現似虛空等無為之相,此所現之相,前後相似而無變易,假說為常。又唯識家或開六無為中之真如無為,成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三者,而立八無為之說。〔成唯識論卷二、成唯識論述記卷二末、百法問答鈔卷九〕(參閱「無為」5112) p1294"
  11.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05 - T31n1605_p0665c08. 멸진정(滅盡定)
    "何等滅盡定。謂已離無所有處欲。超過有頂暫息想。作意為先故。於不恒行諸心心所及恒行一分心心所滅。假立滅盡定。"
  12.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7 / 159. 멸진정(滅盡定)
    "어떠한 것이 멸진정 불상응행법입니까? 무소유처의 욕을 이미 여의고서 유정천을 초월하되 그 잠식상(暫息想)을 작의 심소법에 앞세우는 까닭이다. 모든 불항행의 심ㆍ심소와 항행(恒行)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심ㆍ심소가 소멸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멸진정이라 한다."
  13.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07 - T31n1606_p0700b11. 멸진정(滅盡定)
    "滅盡定者。謂已離無所有處欲。超過有頂。暫息想作意為先故。於不恒行諸心心法及恒行一分心心法滅。假立滅盡定。此中所以不言未離上欲者。為顯離有頂欲。阿羅漢等亦得此定故。一分恒行者。謂染污意所攝。"
  14.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4 / 388. 멸진정(滅盡定)
    "어떠한 것이 ‘멸진정(滅盡定)불상응행법’입니까? 무 소유처의 욕을 이미 여의고서 유정천을 초월하되 그 잠식상(暫息想)을 작의심소법에 앞세우는 까닭이다. 모든 불항행의 심ㆍ심소와 항행(恒行)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심ㆍ심소가 소멸하는 것을 가립하여 멸진정이라 한다. 여기에서 그 상계의 욕을 미처 여의지 못한 것을 언급하지 않은 이유는 유정천의 욕을 여읜 것을 드러내려는 것이니, 아라한 따위도 역시 이 같은 정을 획득하기 때문이다. [釋] ‘항행의 일부분’이란 염오의(染汚意)에 수렴된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