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톨츠-체사로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5번째 줄: 135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각주}}
{{각주}}

* {{citation
| language = en
| last = Mureşan | first = Marian
| isbn = 978-0-387-78932-3
| location = Berlin
| page = 85
| publisher = Springer
| title = A Concrete Approach to Classical Analysis
| url = http://books.google.com/books?id=5iK9OX9z014C&pg=PA85
| year = 2008}}.
* {{citation
| language = de
| last1 = Pólya | first1 = George | author1-link = George Pólya
| last2 = Szegő | first2 = Gábor | author2-link = Gábor Szegő
| location = Berlin
| publisher = Springer
| title = Aufgaben und Lehrsätze aus der Analysis
| volume = I
| year = 1925}}.
G. M. Fichtenholz: Rachunek różniczkowy i całkowy. Wyd. dwunaste. T. 1. Warszawa: Wydawnictwo Naukowe PWN, 2002, s. 55-56. ISBN 83-01-02175-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5년 8월 28일 (금) 15:30 판

해석학에서, 슈톨츠-체사로 정리(영어: Stolz–Cesàro theorem)는 수열수렴할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체사로 평균의 일반화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로피탈의 정리의 이산적인 형태로 볼 수 있는데, 도함수의 개념 대신 계차수열의 개념을 사용한다.

내용

두 실수열 , 이 세 조건

  1. 이며 순단조수열
  2. 이며 순증가수열[1]
  3. 이며 순감소수열

중 하나를 만족하고, 계차수열

의 비의 극한

이 존재하면, 두 수열의 비의 극한도 같은 값으로 존재한다.

예1

슈톨츠-체사로 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극한을 계산할 수 있다.

분모 수열은 정리의 두 번째 전제를 만족한다.

  • 은 순증가수열이다.

분자와 분모의 계차수열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정리에 의해 원래의 극한은 계차수열의 비의 극한과 같다.

예2

일 때, 다음의 극한도 정리의 전제()를 만족하기에 쉽게 구할 수 있다.

증명

다음은 두 번째 조건에 관한 정리의 증명이다.

임에 따라, 임의의 에 대해 모든 자연수 (은 어떤 큰 자연수)에 대하여, , 즉 이 성립한다. 따라서

여기서 는 각 위치의 항들을 간략히 쓴 것이다. 는 0으로 수렴한다. 에 대해서만 설명하자면,

고로 로 수렴한다.

정리의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두 수열

에 대해, 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순증가수열이고, 이지만, 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첫 번째 조건에 대한 부분적 역인 다음 명제는 참이다.

두 실수열 이 세 조건

  • 은 유계이다.

모두를 만족하면,

이다.

관련 명제

루트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한 가지 변형은 다음과 같다. 두 실수열 , 이 두 조건

  • 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순증가수열이다.

모두를 만족하면

이다.

일반화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일반화된 형식은 다음과 같다.[2]

두 실수열 , 에 관하여, 이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순증가수열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평균의 극한

이 정리를 응용하여 몇몇 평균의 극한에 대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 수렴하는 수열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산술 평균의 극한
    • 이를 일반화 한 가중 산술 평균의 극한도 로 같다. 다만, 이는 가중값의 총합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 조화 평균의 극한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샌드위치 정리, 그리고 위에 적힌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에 대한 명제에 따라, 기하 평균의 극한도 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 멱평균, 가중 멱평균, 일반화된 f-평균의 극한도 를 값으로 한다. (각 전제조건은 아래에 쓰여있다.)
    단, .
    단, .
    , 단 가역 연속함수.

다른 응용

역사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오토 슈톨츠(독일어: Otto Stolz)[3]이탈리아의 수학자 에르네스토 체사로(이탈리아어: Ernesto Cesàro)[4]가 제시하였다.

참고 문헌

  1. 이 조건은 이 비유계 순증가수열이라는 것으로 서술되기도 한다. 세 번째 조건도 마찬가지이다.
  2. L’Hopital’s Theorem - IMOmath
  3. Stolz, Otto (1885), 《Vorlesungen über allgemeine Arithmetik: nach den Neueren Ansichten》, Leipzig: Teubners, 173–175쪽, JFM 17.0116.01 
  4. Cesàro, Ernesto (1888). “Sur la convergence des séries”. 《Nouvelles annales de mathématiques (series 3)》 7: 49–59. JFM 20.0242.01. 

G. M. Fichtenholz: Rachunek różniczkowy i całkowy. Wyd. dwunaste. T. 1. Warszawa: Wydawnictwo Naukowe PWN, 2002, s. 55-56. ISBN 83-01-02175-6.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