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0번째 줄: 40번째 줄:
 梵語 purusakāra-phala。又作士夫果、功用果。係五果之一。謂由士夫之作用所得之果。「士」謂「士夫」,指人,「用」謂「作用」,指造作,此謂人使用工具所造作之各類事情,實指「俱有因、同類因」所引起之果,因其力強,故稱為士用果。<br>
 梵語 purusakāra-phala。又作士夫果、功用果。係五果之一。謂由士夫之作用所得之果。「士」謂「士夫」,指人,「用」謂「作用」,指造作,此謂人使用工具所造作之各類事情,實指「俱有因、同類因」所引起之果,因其力強,故稱為士用果。<br>
 又成唯識論卷八(大三一‧四二中):「士用,謂諸作者假諸作具所辦事業。」成唯識論述記卷八本依此而謂其義有二,即:(一)就人而言,此力用乃依有情而生;如農夫之於米麥,商賈之於理財,皆依彼士夫之力而成諸事業。(二)就法而言,諸法之生乃因諸作具而有;如農夫因稼而成熟,商賈因貨而獲利,作者假諸作具而成就之事業,其果廣通一切有為法。<br>
 又成唯識論卷八(大三一‧四二中):「士用,謂諸作者假諸作具所辦事業。」成唯識論述記卷八本依此而謂其義有二,即:(一)就人而言,此力用乃依有情而生;如農夫之於米麥,商賈之於理財,皆依彼士夫之力而成諸事業。(二)就法而言,諸法之生乃因諸作具而有;如農夫因稼而成熟,商賈因貨而獲利,作者假諸作具而成就之事業,其果廣通一切有為法。<br>
 又俱舍論卷六所謂由「俱有因、相應因」之作用所得之果,亦相當於今所說之士用果。〔大毘婆沙論卷一二一、順正理論卷十八、雜阿毘曇心論卷三、瑜伽師地論卷五〕 p748"}}
 又俱舍論卷六所謂由「俱有因、相應因」之作用所得之果,亦相當於今所說之士用果。〔大毘婆沙論卷一二一、順正理論卷十八、雜阿毘曇心論卷三、瑜伽師地論卷五〕 p748"}}{{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A3%AB&rowno=19 士用果(사용과)]". 2013년 4월 24일에 확인|quote=<br>"士用果(사용과):
5과(果)의 하나. 사용이라 함은 사부(士夫)의 작용이란 뜻으로, 사람의 노력에 의하여 어떤 사업을 성공함과 같이, 상응인(相應因)ㆍ구유인(俱有因)의 동용(動用)에 의하여 얻은 결과를 말함."}}


==사(事)==
==사(事)==

2013년 4월 24일 (수) 08:46 판

불교 용어로서의 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邪)는 그릇된 것 또는 잘못된 것을 뜻하며 삿된 것 또는 삿됨이라고도 하는데, 바른 것을 뜻하는 (正)의 반대이다.[5] 사(邪)는 이치[理]상 어긋난 것을 뜻한다. 불교에서는 우주의 불변의 이법이라고 보는 연기설 또는 인과설과 불교의 진리[諦]인 4성제에 어긋난 견해[見] 또는 실천[行]을 가리켜 특히 사(邪)라고 한다. 예를 들어, 8사행(八邪行)은 4성제(四聖諦)의 도제에 해당하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이며,[6][7] 5견사견(邪見)은 연기설 또는 인과설을 부정하는 견해8정도정견(正見)의 반대이다.[8][9] 사만(邪慢)은 '불교의 이치 또는 진리에서 볼 때 이 아닌 것'을 이라고 생각하여 그것을 많이 가진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거만 또는 오만을 뜻한다.[10][11] 예를 들어, 도둑질은 5계 가운데 하나를 범하는 것이므로 불교의 이치이 없는 것인데, 도둑질을 잘하는 것을 대도(大盜)라고 하여 자랑스러워 하는 것이 사만에 해당한다.

사(事)

사(邪)

(邪)는 그릇된 것을 뜻하며, 바른 것을 뜻하는 정(正)의 반대이다. 불교에서는 불교의 진리4성제연기설 또는 인과설에 어긋난 견해 또는 실천을 특히 사(邪)라고 한다.

사(邪)는 (聖)스러운 것 또는 출세간의 상대 개념인 세간 또는 세속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 어긋난 것을 뜻한다. 불교의 인과설에 따르면, 진리에 어긋나게 되면 필연적으로 나쁜 과보괴로운 과보를 불러오게 되는데 이러한 뜻에 사(邪)라고 한다. 예를 들어, 5견 가운데 사견(邪見)은 인과설을 부정하는 견해를 말하고, 8사행(八邪行)은 4성제(四聖諦)의 도제에 해당하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가 되는 실천을 말한다.

사(思)

사(捨)

사(伺)

사(士)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현양성교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1(16-1), T.1602(31-48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대승광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9(17-641), T.1613(31-85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주석

  1. 운허, "理事(이사)". 2012년 10월 31일에 확인.
  2.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0a09 - T31n1585_p0030a10. 사(事)와 이(理).
  3.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6권. p. 289 / 583. 사(事)와 이(理).
  4. 곽철환 2003, "사리(事理)". 2012년 10월 31일에 확인.
  5. 星雲, "邪正". 2013년 2월 23일에 확인.
  6.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7. 곽철환 2003, "팔사(八邪)".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8.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3a06 - T31n1613_p0853a18. 사견(邪見).
  9.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p. 11-12 / 24. 사견(邪見).
  10.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101a20 - T29n1558_p0101a21. 사만(邪慢).
  1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 879 / 1397. 사만(邪慢).
  12. 星雲, "". 2013년 2월 23일에 확인.
  1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권. p. T29n1558_p0004a06 - T29n1558_p0004a15. 사(思)와 행온(行蘊).
  1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22 / 1397. 사(思)와 행온(行蘊).
  15. 권오민 2003, 49–56쪽.
  16. 권오민 2003, 69–81쪽.
  17.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1c19 - T31n1602_p0481c23. 사(捨).
  18.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19 / 293. 사(捨).
  19.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4a22 - T31n1613_p0854a24. 사(伺).
  20.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7 / 24. 사(伺).
  21.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4a18 - T31n1613_p0854a21. 심(尋).
  22.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7 / 24. 심(尋).
  23.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4b18 - T44n1851_p0864c02. 무상사조어장부(無上士調御丈夫).
  24. 星雲, "士用果".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25. 운허, "士用果(사용과)".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틀:12처 틀:18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