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제 불교에서 넘어옴)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에 위치한 백제불교최초도래지

백제의 불교침류왕(枕流王) 1년(384)에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에서 백제로 들어옴으로써 최초로 전래되었다. 침류왕이 이 외국 승려를 환영했고 궁중에 있게 한 것으로 보아 이미 백제에 그 이전부터 불교가 전해져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1]

백제 최대의 사찰인 익산 미륵사무왕 때 창건되어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호국 사찰이었다.[2]

일본으로 불교 전례[편집]

백제의 불교는 예술 · 외교불교라고 말할 수 있다.[3]

성왕 때, 백제는 일본에 불교를 전파했다(538년).[4] 성왕은 긴메이 천황(재위 539년 ~ 571년)에게 사신과 함께 불상 및 불경을 보냈다. 이때 백제에서 건너온 물품 속에는 불교의 교리는 탁월하나 난해하고, 그것을 믿으면 무한한 복이 있을 것이라는 편지도 있었다.[5] 그리고, 백제는 석가불금동상 1구, 번개(幡蓋) 약간, 경론(經論) 약간권을 딸려서 달솔 노리사치계(怒唎思致契) 등을 일본에 파견(552년)하였다.[6] 이 번개는 그 장엄함이 기록되지 않았으나 《일본서기》에 기록될 정도이므로 보통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7] 552년에는 사원 건설을 위해 백제의 많은 학자와 기술자들이 일본에 파견되었다.[8]

577년(위덕왕 24년, 비다쓰 천황 6년)에는 백제에서 일본으로 경론 몇 권, 대대적인 학자와 율사 · 선사 · 비구니 · 주금사 등 승려 집단, 불상 만드는 기술자, 사찰을 지을 목수들이 파견되었다.[9] 이때부터 일본에서는 절과 부처 등을 만들었다.[10] 그 뒤, 금속공예사, 기와 굽는 기술자들까지 건너갔다.[11] 583년에는 비다쓰 천황의 요청으로 고승 일라(日羅)가 건너갔다.[12][13] 584년 백제는 다시 왜국에 불상 1구와 미륵상 1구를 보냈다.[14] 588년(위덕왕 35년)에 백제는 불사리(佛舍利)와 승려 여섯 명, 노반박사(鑪盤博士)로서 장덕(將德) 백매순(白昧淳), 와박사(瓦博士)로서 마나문노(麻奈文奴) · 양귀문(陽貴文) · 석마제미(昔麻帝彌) 등 네 명, 화공(畵工) 한 명 등 사찰 건설에 필요한 기술자를 일본에 파견하여 백제의 공예미술이 일본에 널리 전파되었다.[15][16][17]

602년 관륵(觀勒)이 일본에 건너가 천문 · 책력 · 지리 · 둔갑방술(遁甲方術) 등에 관한 많은 책을 전하고, 불교를 전파하였고,[18][19] 일본 최초의 승정(僧正)이 되었다.[20] 이리하여 백제는 일본 불교의 연원지(淵源地)가 되었으며 아울러 탁월한 불교예술을 진작시켰다.[2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불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백제(百濟)에는 침류왕(枕流王) 1년(384)에 인도승(印度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에서 들어왔다. 왕은 이 외국 승을 환영했고, 궁중에 있게 한 것으로 보아 백제에도 그 이전부터 불교가 전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2. “관광명소 익산 미륵사지”. 익산시청. 2024년 1월 11일에 확인함. 
  3. 삼국시대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백제의 불교는 예술·외교불교라고 말할 수 있다. 
  4. 이은직 (2005). 《조선명인전》. 정홍준 역. 일빛. 28쪽. ISBN 8956450889. 백제는... 538년에는 불교를 전파했다. 
  5.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3). 《세계 종교사 입문》. 청년사. 229쪽. ISBN 8972783765. 일본에 불교가 도입된 것은 538년 C.E(일설에는 552년 C.E.)이다. 당시의 일본 왕 긴메이(欽明) 천황이 백제의 성왕(聖王 또는 聖明王)이 사신과 함께 보내온 불상 및 불경을 받은 것이 그 시초였다. 이때 백제에서 건너온 물품 속에는 불교의 교리는 탁월하나 난해하고, 그것을 믿으면 무한한 복이 있을 것이라는 편지도 있었다고 한다. 
  6. 卷第十九 欽明天皇〉. 《일본서기》. 720. 十三年...冬十月、百濟聖明王、更名聖王。遣西部姬氏達率怒唎斯致契等、獻釋迦佛金銅像一軀・幡蓋若干・經論若干卷。 (13년(552년) 겨울 10월, 백제의 성명왕(혹은 성왕이라고도 한다)이, 서부달솔 희씨 노리사치계를 보내어 석가불금동상 1구와 깃발 약간, 경전 여러 권을 보냈다. 
  7. 고유섭 (2005). 《구수한 큰맛》. 다할미디어. 160쪽. ISBN 8989988241. 원래 백제의 공예는 고도로 발달되었나니, 성왕 3년에 일본에 전한 번개(幡蓋)는 그 장엄함이 기록되지 않았으나, 일본 정사에 특히 그 기록이 실려 있는 것만 보더라도 보통이 아니었음을 알겠고, ... 
  8. 이은직 (2005). 《조선명인전》. 정홍준 역. 일빛. 28쪽. ISBN 8956450889. 552년에는 사원 건설을 위해, 많은 학자와 기술자를 비롯하여 의사나 음악가까지 파견하였다. 
  9. 卷第二十 敏達天皇〉. 《일본서기》. 720. 六年...冬十一月庚午朔、百濟國王、付還使大別王等、獻經論若干卷、幷律師・禪師・比丘尼・呪禁師・造佛工・造寺工、六人。遂安置於難波大別王寺。 
  10. 최범서 (2006). 《야사로 보는 삼국의 역사1》. 가람기획. 166쪽. ISBN 8984352411. 그 후 위덕왕 24년에 백제왕이 경론 몇 권, 율사律師 · 선사禪師 · 비구니 · 주금사呪噤師 · 조불공造佛工 · 조사공造寺工 등 6명을 보내었다. 이때부터 일본에서는 절과 부처 등을 만들었다. 
  11. 최용범 (2008).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페이퍼로드. 48쪽. ISBN 9788992920162. 백제는 그 뒤 577년(위덕왕 24년)에 불상 만드는 기술자, 절 건축자를 보냈고, 이어 금속공예사, 기와 굽는 기술자까지 보냈다. 
  12. 卷第二十 敏達天皇〉. 《일본서기》. 720. 十二年... 今在百濟火葦北國造阿利斯登子達率日羅、賢而有勇。... 冬十月、紀國造押勝等、還自百濟。復命於朝曰、百濟國主、奉惜日羅、不肯聽上。 
  13. 이기영 (2000). 《한국인의 윤리사상사》. 학문사. 132쪽. ISBN 8946710926. 위덕왕... 30년(583)에는 일본왕의 요청으로 고승 일라(日羅)가 건너갔으며, ... 
  14. 卷第二十 敏達天皇〉. 《일본서기》. 720. 十三年... 秋九月、從百濟來鹿深臣、闕名字。有彌勒石像一軀。佐伯連、闕名字。有佛像一軀。 
  15. 卷第廿一 用明天皇 崇峻天皇〉. 《일본서기》. 720. 崇峻天皇 ... 元年春三月、... 百濟國遣恩率首信・德率蓋文・那率福富味身等、進調幷獻佛舍利、僧聆照律師・令威・惠衆・惠宿・道嚴・令開等、寺工太良未太・文賈古子・鑪盤博士將德白昧淳、瓦博士麻奈文奴・陽貴文・㥄貴文・昔麻帝彌、畫工白加。 
  16. 고유섭 (2005). 《구수한 큰맛》. 다할미디어. 160쪽. ISBN 8989988241. 원래 백제의 공예는 고도로 발달되었나니, ... 위덕왕 35년에 노반박사(露盤博士)로서 장덕(將德) · 백미순(將德白味淳)의 도일, 와박사(瓦博士)로서 마나부노(麻奈父奴) · 양귀문(陽貴文) · 석마제미(昔麻帝彌)의 도일 등 백제의 공예미술이 널리 전파된 것을 알겠다. 
  17.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 분과 (2004). 《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85쪽. ISBN 8987787796. 《일본서기》에 따르면, 민달천황 敏達天皇 원년(588)에 백제가 불사리佛舍利와 승려 여섯 명, 노반박사 露盤博士 한 명, 와박사 네 명, 화공畵工 한 명 등 사원 건설에 필요한 기술자를 일본에 파견하였다고 한다. 
  18. 卷第廿二 推古天皇〉. 《일본서기》. 720. 十年... 冬十月、百濟僧觀勒來之。仍貢暦本及天文地理書、幷遁甲方術之書也。是時、選書生三四人、以俾學習於觀勒矣。 
  19. 관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觀勒 백제의 고승. ...문무왕 3년(602) 불교 외에 역본(曆本)·천문(天文)·지리(地理) 및 둔갑방술(遁甲方術)의 책을 가지고 일본에 건너가 ... 
  20. 삼국시대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그 후 무왕 3년(602)에 관륵(灌勒)이 각종 역서(譯書)를 가지고 가서 일본 최초의 승정(僧正)이 되었다. 
  21. 삼국시대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백제는 일본불교의 연원지(淵源地)가 되었으며 아울러 탁월한 불교예술을 진작시켰다. 

참고 문헌[편집]